[전체] “집단부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0)
사전(4)
- 집단부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공하는 만주 농민을 격리시키기 위해 집단부락 정책을 실시했다. 집단부락 정책은 소위 일제의 치안숙정공작(治安肅正工作)의 일환인 ‘비민분리’(匪民分離) 공작의 핵심이었다. 일제는 이 공작의 추진과정에서 주로 항일유격구를 무주지대(無住地帶 혹은 無人地區)로 설정한...
- 만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집단부락(集團部落)을 건설하는 동시에, 북변진흥계획(北邊振興計劃) 등의 일환으로 수전(水田)을 개발하였다. 다른 한편 만주국의 성립으로 조선과 만주가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 통치권으로 포괄되면서 이들 양 지역 사이의 인적‧물적 교류가 활발해지자 화북(華北)이나 만...
- 횡성군(강원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연맹왕국이 성립되었던 2,000년 전경에 집단부락이 형성되었음을 알려주는 유적이 1983년 발굴에 의해 확인되었다. 불교문화재로는 횡성읍의 읍하리석불좌상(강원도 유형문화재 제22호)‧읍하리삼층석탑(강원도 유형문화재 제23호)과 갑천면의 중금리삼층석탑(강원도 유형...
- 조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농민들에게까지 부과시켜 농민수탈의 간편한 수단으로 전락하고 말았다.고려시대에는 특산물의 생산지로서 소(所)라고 하는 특수행정단위가 있어서 여기에 별공이 부과되었다. 이것은 향(鄕)‧부곡(部曲)과 같은 천민의 집단부락이었다. 그 당시 상공‧별공의 종류로서는 금‧은‧백동‧...
고서·고문서(13)
- 1942년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 이국땅, 북만주, 의민, 일본사람들, 세울, 집단부락, 보리, 감자, 집단부락, 생활난, 질병, 성행, 아버지, 30여세, 할아버지, 4촌, 따라, 연길, 일년간, 살다가, 연길현, 유서구, 이주, 황지, 개간, 어머님, 당시, 남조선, 친족들, 서신래왕, 단절,...대표표제어1942년 | 성씨최
- 기쁜소식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운영, 야간업여학교, 조선인, 집단부락, 사회청년, 대상, 고국역사, 조선어, 조선사람, 긍지, 자랑, 간곡한부탁대표표제어기쁜소식 | 성씨최
- 방송국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우리마을, 한국인집단부락, 몇년후, 상봉, 재미있는뉴스, 나누기, 결속, 방송국, 전체복무원, 형님, 만수무강, 바라면서, 안녕히, 85, 10, 17대표표제어방송국 | 성씨길
- 저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 815해방전, 중국, 간도성, 연길현, 로두구, 세린하, 문화촌, 농사, 하고계시던, 맏오빠, 이씨, 어머님, 본남편, 타여난, 성씨, 리씨, 세상, 뜨신후, 재가, 통하여, 집단부락, 계시는, 결혼대표표제어저 | 성씨최
- 농사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농사 황 여자 길림성(吉林省) 휘남현(辉南县) 상집강공사 4 2 농사, 휘남현, 헉주하시, 집단부락, 개척단, 전라남도...대표표제어농사 | 성씨황
신문·잡지(10)
- 조사월보_1935_06-0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실수고 97 두류실수고 101 작잠상황 103 간도집단부락건설개황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5
- 함남로동신문_1949_1108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로두에 추방하고 소나 돼지처럼 『집단부락』에 강제수용하고 있음을 알았습니다. 그러나 개놈들이 제아무리 발악한다 하더라도 단결된 인민의 위력을 이겨내지 못할 것이며 머지않아 우리의 손에 처단되거야 말 것입니다. (중략) 여러분이 보내주신 감자와 담배를 고맙게 받았습니...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1108_03 | 책임주필강길모
- 새빛_1973_11_0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36) 31 강원 나협서 임의 집단부락 통합 32 상지원에 한우 입주식 32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3
- 조선_1934_22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滿洲人の文化と社會 158 熱河承德の離宮と喇嘛寺 森爲三 166 間琿地方に於ける鮮農集團部落 中谷給治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4
- 투사신문_1950_0526_03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영덕군에서는 병하면 창수면의 45개 부락 중 7개 부락만 남기고 영주군에서는 단산면 부석면의 42개 부락 중 11개 부락을 남기고 모주리 불사라 버렸다. 원쑤들은 인민들을 이와 같이 강제소개하면서 인민들이 혹시나 집단부락에서 자기들의 옛 부락으로 돌아가거나 리용할까...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50_0526_03_01 | 책임주필한효
기타자료(3)
- 이문식;李文植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6032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留學生同窓會 회원명부 1939―06―30 31면 이문식;李文植 滿洲國 間島省 延吉縣 銅佛寺 細リン河集團部落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최재석;崔在錫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6641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留學生同窓會 회원명부 1939―06―30 43면 최재석;崔在錫 滿洲國 吉林省 敦化縣 馬號集團部落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문식;李文植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8858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同窓會 회원명부 1941―06―30 45면 이문식;李文植 만주국 간도성 延吉縣 銅佛寺 細リン河집단부락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
-
집단부락 / 集團部落 [역사/근대사]
일본이 만주 지역에서 항일세력의 연계를 차단할 목적으로 건설한 촌락. 집단부락 건립정책이 추진됨으로써 만주의 항일유격대들은 점차 자신들의 인적·물적 토대를 상실함으로써 괴멸적인 타격을 입었으며, 집단부락민들 역시 경제적인 궁핍과 질병, 정치적인 압박을 겪는 등 많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