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진주사” 에 대한 검색결과 28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73)

사전(16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실려 있다는 점과 가집에 노래 제목이 붙은 채 독립적으로 기록되어 있다는 점 등을 들어 가사로 보는 견해도 있다. 하지만 그렇게 볼 수만도 없는 것이 <장>는 평시조의 정형을 일탈하면서도 3장 구성체계라는 사설시조의 구조적 질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대중국관계에서 임시로 파견되는 비정규 사절 또는 그 사신. [내용] 중국과의 사이에 외교적으로 알려야 할 일이 발생하였을 경우 임시로 파견하였다. 외교사항을 집대성한『동문휘고(同文彙考)』에 의하면 의 임무는 중국으로...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중기에 정철(鄭澈, 1536-1593)이 지은 사설시조.
    정의조선 중기에 정철(鄭澈, 1536-1593)이 지은 사설시조.[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Jangjinju sa | MR표기Changjinju 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장진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가곡(歌曲)의 변조곡. [내용] 조선 선조 때 정철(鄭澈)이 지은「장(將)」를 여창(女唱) 가곡조에 의하여 부르는 곡조이다. 음악적인 형태는 초장과 2장은 가곡과 같이 16박 장단에 의하여 부르고, 3장은 한 장단 8박...
  • 범학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차적으로 각 도에 관립사범학교가 설치되기 시작하여 범학교도 1940년 4월에 관립으로 설치되었다. 조선총독부는 1940년 4월 6일자 총독부 고시 제357호로 경상남도 진주에 관립범학교를 개설하고 5년제의 심상과(소학교 졸업자가 입학)와 1년제의 강습...

고서·고문서(99)

  • 04418 잡가 가집 16002 1934년 이후 이왕직 아악부 필사본 將 [6]  盞 먹새근여   盞쟌 먹새근여 곳 것거 籌노코 無盡無盡 먹새근여 이 몸 죽은 後면 지게우 거적덥허주리 혀여가나 流蘇寶帳의 萬人이 우러녜나 어...
    구분잡가 | 편저자이왕직 아악부
  • 03632 잡가 고금가곡 13027 1764 송계연월옹 將 [8]  盞 먹새 그려   盞 먹새 그려 곳 것거 算 노코 無盡無盡 먹새 그려 이 몸 죽은 후의 지게 우희 거적 덥허 주프리혀 여 가나 流蘇寶帳의 百眼緦麻울어녜나 어...
    구분잡가 | 편저자송계연월옹
  • 02392 잡가 韓國歌唱大系 12044 1976 李昌培 弘人文化社 李基玉 18,000원 將 [14] 한 잔(盞) 먹사이다. 또 한 잔 먹사이다. 꽃 꺾어 주(籌)를 놓고 무궁무진(無窮無盡) 먹세그녀. 이 몸이 죽은 후에
    구분잡가 | 편저자李昌培
  • 十一句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03857 잡가 잡가 13060 將 十一句 [13]  잔 먹그려   잔 먹 그려  것거 산 노코 無盡無盡 먹 그려 이 몸 죽근 후면 지게 우 거적덥허 주프리 여야 가나 流蘇寶帳의 萬人이 우러 예나 어욱 더욱 덥가나모 白...
    구분잡가
  • 1617년 림(林) 향안(鄕案)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선생안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구술자료(1)

  • 정하용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와 박석기에 대해서 증언한 자료이다. 2) 음질 상 정하용 정철 박석기 김용선 김소희 임방울 박초월 한애순 음률 거문고 양금 퉁소 한시 시조 가야금 단소 젓대 산조 풍류 영산회상 창극단 수연화답시조 장 권주가 지름시조 시조;풍류;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시조;풍류;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정하용

신문·잡지(2)

  • 刈査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진고 일본 본원 관리뎡파창씨가 진쥬군구산셩 찰이 오폐기 터이니 그찰을 차급야 한일량국인에계 포교케라으로 부에셔경상남도 관찰에계 훈령야 그 찰이 진폐기것과 그기슈와 부속물품을셰셰샤보케얏난 군슈가 샤보기를 그찰이긔년을하로도폐기가...
    게재일1907년 5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 정년으로 퇴임하는 김병로씨-법에 살고 법에 늙은 애국자 12 신문기자가 본 건-연극은 감상의 대상이 될 뿐 이원홍 14 야당위원이 본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58

멀티미디어(1)

  • 갱생보호주간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1월 1일 상오 법무부장관실에서 전 법보호회상무이사 배병문씨에게 공로표창장을 수여하였는데 배씨는 15년간을 무급으로 상무이사직에 있으면서 보호사업에 성의와 열의를 다하여 형을 마치고 사회에 나온 사람들을 선도하였으며 특히 30명을 결혼시켜주는 한편 전세까지 마련해
    자료구분대한뉴스KC | 제작년도1961년 11월 11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기타자료(9)

  • 교육대학개편을 앞둔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개편을 앞둔 범 교육대학개편을 앞둔 범 敎育大學改編을 앞둔 範 교육 문헌 현대 교원 양성
    범주1교원 | 형식잡지 | 한글저자장지형 | 사료철명교육평론
  • 신라가 보낸 진조사(調使) 김만물(金萬物) 등이 일본에서 귀국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신라가 보낸 진조사(調使) 김만물(金萬物) 등이 일본에서 귀국하다 교류담당 671(辛未/신라 문무왕 11/唐 咸亨 2/倭 天智 10) 신라 신라→일...
    대표표제어신라가 보낸 진조사(進調使) 김만물(金萬物) 등이 일본에서 귀국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71(辛未/신라 문무왕 11/唐 咸亨 2/倭 天智 10)
  • 홍성도;洪聖徒;德山隆一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1286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同窓會名簿 1941―12―28 61면 홍성도;洪聖徒;德山隆一 防사무소 제20회 1933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백제가 왜에 만지 등을 보내어 조와 물품을 바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왜 【번역】 6월 기미일이 초하루인 병술일(28) 백제가 달솔 만지(萬智) 등을 보내 조(調)와 물품을 바쳤다. (『日本書紀』 27 天智紀) 【원문】 六月己未朔丙戌 百濟遣達率萬智等 調物 (󰡔日本書紀󰡕 27 天智紀)
    대표표제어백제가 왜에 만지 등을 보내어 조와 물품을 바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62년(壬戌/신라 문무왕 2/고구려 보장왕 21/唐 龍朔 2/倭 天智 1)
  • 백제가 왜에 만지 등을 보내어 조와 물품을 전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백제→왜 【번역】 6월 기미일이 초하루인 병술일(28) 백제가 달솔 만지(萬智) 등을 보내 조(調)와 물품을 바쳤다. (『日本書紀』 27 天智紀) 【원문】 六月己未朔丙戌 百濟遣達率萬智等 調物 (『日本書紀』 27 天智紀)
    대표표제어백제가 왜에 만지 등을 보내어 조와 물품을 전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662년(壬戌/신라 문무왕 2/고구려 보장왕 21/唐 高宗 龍朔 2/倭 天智天皇 1)

주제어사전(10)

  • / 將 [문학/고전시가]

    보는 견해도 있다. 하지만 그렇게 볼 수만도 없는 것이 「장」는 평시조의 정형을 일탈하면서도 3장 구성체계라는 사설시조의 구조적 질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한다면 사설시조로 봄이 옳다.

  • / 使 [정치·법제/외교]

    조선시대 대중국관계에서 임시로 파견되는 비정규 사절 또는 그 사신. 중국과의 사이에 외교적으로 알려야 할 일이 발생하였을 경우 임시로 파견하였다. 외교사항을 집대성한 <동문휘고>에 의하면 의 임무는 중국으로부터의 책문또는 중국측의 오해에 대한 해명, 특히 중국

  • 맹상군가 / 孟嘗君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단편가사로 장가 또는 사설시조의 형태와 비슷하다. 맹상군의 생애를 슬퍼하고, 살아 있을 동안에 한껏 놀며 즐기자는 내용으로 정철(鄭澈)의 「장(將)」와 비슷한 주제의 노래이다. 『청구영언』·『교주가곡집』 등에 실려 전한다.

  • 신창향교 / 新昌鄕校 [교육/교육]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읍내리에 있는 향교. 1872년(고종 9)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숙종 때 창건하였다는 설도 있으나 확실하지 않으며, 신창현감 왕경렬(王景烈)이 도고산(道高山) ()를 이건하여

  • 이영준 / 李榮俊 [과학/과학기술]

    생몰년 미상. 조선 인조 때의 역관(曆官). (使)로 명나라에 가서 정두원(鄭斗源)과 함께 예수회 선교사인 로드리게스(Rodrigues, J., 陸若漢)에게 서양과학을 배웠다. 특히 서양식 천문추산법을 배워 그 지식을 조선에 전하였으며, 그들이 가지고 돌아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