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진재해” 에 대한 검색결과 3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7)

사전(1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韓國浙派畵風의 硏究(安輝濬, 美術資料 20, 1977) 월하취적도 1691(숙종 17)∼1769(영조 45). 조선 후기의 화가. 의 작품 '월하취적도'. 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
    이칭별칭 정백(井白)| 벽은(僻隱)
  • 잠도병풍(蠶圖屛風)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잠도병풍 잠도병풍 蠶圖屛風 무일도(無逸圖), 빈풍도(豳風圖), 잠직도(蠶織圖), () 문화예술/미술 개념용어 신선영 [정의] 여성이 주로 담당했던 누에치기부터 옷감 짜기에
    관련어무일도(無逸圖), 빈풍도(豳風圖), 잠직도(蠶織圖), 진재해(秦再奚)
  • 유수영정병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화가 ()가 그린 조선 후기의 문인 유수(柳綏, 1678∼?)의 초상화. [내용] 1726년 작.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166.5 cm, 가로 88 cm. 보물 제1176호. 개인 소장. 유수는 호는 성곡(...
    연계항목유수영정병함(柳綏影幀幷函)
  • 김진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등과 더불어 어용화사로 발탁되었다. 유작으로는 1720년 박동보(朴東普)‧장득만(張得萬) 등과 함께 그 전해에 있었던 기로연 (耆老宴)의 장면과 참석 중신들의 초상을 그린 「기사계첩(耆社契帖)」이 전한다. 이밖에 그의 작품으로 4폭의 「성적도(聖蹟...
    이칭별칭 옥애(玉崖)
  • 조영복선생영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二知堂府君) 조영복의 54세 초상이다. 갑진년(1724년)에 영석이 영춘(永春)의 유배지에서 부군을 뵙고 처음 초를 잡은 뒤, 다음 해 을사년(1725년)에 부군께서 조정으로 돌아오셨을 때 약간 손질을 가하였으며, 화사 (, 1691∼1769년)를 시켜 따로...
    연계항목조영복선생영정(趙榮福先生影幀)

고서·고문서(21)

  • 11057 B011057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31年 1月 15日_035 意則或恐有未盡處, 若使·張景周摹畫, 則豈無所勝乎? 今若重摹, 汝能爲之耶? 榮祏曰, 雖使輩重摹, 似無所加, 而臣則眼昏已久, 雖重着眼鏡, 猶有所未瑩者, 且屢次移摹, 則雖是善...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410 B001410 가리포 加里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6年 2月 12日_024 ○兵批, 以李廷樑爲同知, 姜再發爲僉知, 許㙉爲五衛〈將〉, 許賓爲加里浦僉使, 趙東漸爲都摠都事, 柳春馥爲訓鍊判官, 李重泰爲內禁衛將, 丁載興爲惠山僉使, 尹淳爲知事, 爲忠翊〈將〉,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6903 B016903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江都志 _ _ 古跡 ... [在甲串岸. 李詹記, 漢江臨津合流爲祖江, 西迤赴海, 而別流爲甲串. 前朝高王避亂于玆, 元兵追至謂曰, 積甲可濟, 故名甲串(惠宗朝已有甲串之名, 此說恐誤). 江華府爲巨之門, 不與陸接. 府之北渚水...
    출처전거江都志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故名甲串(惠宗朝已有甲串之名, 此說恐誤). 江華府爲巨之門, 不與陸接. 府之北渚水道皆通, 但水極闊或値風浪, 阻隔未克以時濟, 苟舟祖江. 行陸三十餘里至甲串 ...
    출처전거江都志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之門, 不與陸接. 府之北渚水道皆通, 但水極闊或値風浪, 阻隔未克以時濟, 苟舟祖江. 行陸三十餘里至甲串 ...
    출처전거江都志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3)

  • 11 당조직은 지를 전승하는데 있어서의 중견이다 중국공산당 풍남현위원회 17 군중적인 지진관측예방공작을 대대적으로 전개하자 중국공산당 북...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76
  • 표지 및 목차, 판권지 지지구인민들에게 보내는 중공중앙의 위문전 중공중앙 5 인간은 대자연을 전승할 수 있다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76
  • 출판경찰보 001호 선전인쇄물 1매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순진한 성장(成長)에 철저한 탄압을 시도했다. 보라. 대삼(大杉)사건, 귀호(龜戶)사건, 조선동포사건은 무엇을 의미하고 있는가? 지라는 천변재화(天變災禍)를 이용하여 공포에 떠는 민중을 기만(欺瞞)하고 교사(敎唆)해 해방전선의 용감한 전사들을 다수 참살(慘殺)했다...
    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001호 선전인쇄물 1매 | 출판물명선전인쇄물 1매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화가(1691∼1769). 조선 후기에 활약했던 화가로서 산수·인물에 모두 뛰어났으며 숙종어진도사의 주관화사로 참여하였다. 현존하는 작품으로는 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의〈월하취적도〉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