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진위장군” 에 대한 검색결과 3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0)

사전(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군은 ()으로, 위의장군은 소위장군(昭威將軍)으로 개칭되었다. →무산계 『태조실록(太祖實錄)』 『세조실록(世祖實錄)』 『경국대전(經國大典)』 『조선초기(朝鮮初期) 양반(兩班) 연구(硏究)』(이성무, 일조...
  • 소위장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군은 ()으로, 위의장군은 소위장군(昭威將軍)으로 개칭되었다. → 무산계 『조선초기(朝鮮初期) 양반(兩班) 연구(硏究)』(이성무, 일조각, 1980)
  • 정사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毅將軍)이라고 하였다. 그런데『경국대전』에는 무산계의 위용장군은 ()으로, 위의장군은 소위장군(昭威將軍)으로 개칭되어 수록되었다. 한편, 1443년(세종 25) 종친계의 상계‧하계는 선위대부‧광휘대부로 신설해『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 1865년(고...
  • 남계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43(인조 21)∼1705(숙종 31).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자장(子長), 호는 은계옹(隱溪翁). 아버지는 () 문성(文星)이다. [내용] 음서로 선공감(繕工監)에 나가...
    이칭별칭 자장(子長)| 은계옹(隱溪翁)
  • 영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남편의 경우는 문관 정4품은 상계에 봉정대부(奉正大夫), 하계에 봉렬대부(奉列大夫)로, 종4품은 상계에 조산대부(朝散大夫), 하계에 조봉대부(朝奉大夫)로, 무관의 경우는 정4품은 상계에 (), 하계에 소위장군(昭威將軍), 종4품은 상계에 정략장군(定略將軍...

고서·고문서(22)

  • () 권귀동(權貴東) 입안(立案)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입안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입안 | 현소장처안동 주촌 진성이씨 경류정
  • 1612년 이태길(李泰吉) 고신(告身) 5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612년 4월에 광해군이 이태길의 품계를 으로 올리면서 발급한 교지이다. 그는 이때 별가(別加)의 사유로 승급되었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연안이씨종중문적박물관
  • 1600년 박광춘(朴光春) 고신(告身) 1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600년(선조33)에 선조가 밀성박씨 박광춘을 전라우도수군우후로 임명하는 문서.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영암 밀성박씨 박은식
  • 1602년 오신남(吳信男)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602년(선조35) 9월에 선조가 해주오씨 오신남에게 정4품 무관의 품계인 을 내린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강진 덕호사
  • 1610년 오신남(吳信男)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610년(광해군2) 1월에 광해군이 오신남을 수선사포진수군첨절제사로 임명하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강진 덕호사

주제어사전(4)

  • /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무신 정4품 상계의 품계명.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무산계를 제정할 때 정4품 상계는 위용장군(威勇將軍), 하계는 위의장군(威毅將軍)이라고 하였다. 그런데 ≪경국대전≫에서는 무산계의 위용장군은 ()으로, 위의장군은 소

  • 소위장군 / 昭威將軍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정4품 하계의 무관의 품계명.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무산계를 제정할 때 상계는 위용장군(威勇將軍), 하계는 위의장군(威毅將軍)이라고 하였다. 그런데 ≪경국대전≫에서는 위용장군은 ()으로, 위의장군은 소위장군(

  • 남계하 / 南啓夏 [종교·철학/유학]

    1643(인조 21)∼1705(숙종 31). 조선 중기의 문신. 아버지는 문성. 음서로 선공감에 나가게 되었다. 그뒤 내섬시주부·활인서별제를 거쳐, 의금부도사를 역임하고, 외직으로는 청하현감을 지냈다. 평소 학문에도 뜻이 있어 윤원거 문하에 들어가 학문을 쌓

  • 정사품 / 正四品 [정치·법제/법제·행정]

    장군은 으로, 위의장군은 소위장군으로 개칭되어 수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