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진무영” 에 대한 검색결과 16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1)

사전(5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아지자 은 국방상 중요한 군영으로 취급되어 조정에서는 의 지위를 정2품 아문으로 승격시키고 기구를 대폭 강화하였다. 체제는 강화유수가 겸임하는 진무사 밑에 정3품의 중군 1인과 상영대솔군관(上營帶率軍官) 3인, 중영대솔군관(中營帶率軍官) 2인을 두었다...
  • 진무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에 설치된 강화도 ()의 종2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강화부유수(江華府留守)가 당연직으로 겸임하였다. 강화도는 고려시대 이래 방어의 요충지로 중시되었으나, 조선 초기의 진관체제하에서는 병마동첨절제영(兵馬同...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기연해방영(畿沿海防營), 강화부(江華府), 진무사(鎭撫使), 친군심영(親軍沁營) 정치군사·국방/편제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숙종~고종 윤훈표 숙종 고종 [정의]...
    관련어기연해방영(畿沿海防營), 강화부(江華府), 진무사(鎭撫使), 친군심영(親軍沁營)
  • 중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종2품 무관직으로 각 군영(軍營)의 대장 또는 사(使)에 버금가는 장관(將官). [내용] 총리영(摠理營)과 (), 각 도의 순영중군(巡營中軍)은 정3품직이다. 각 영에서 대장 또는 사를 보좌하면서 모든 실무를 총괄하...
  • 영장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지방 군대를 통솔하던 각 진영(鎭營)의 으뜸 장관(將官). 팔도의 감영(監營).병영(兵營)계통과 총융청(摠戎廳).수어영(守禦營).() 계통이 있었음. 洪州營將李. 妄毒刻薄 大失軍情 皆懷逃散 不得已罷黜矣, 이경억(李慶億), 051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109)

  • 50353 B050353 덕포진 德浦鎭 군사교통 京畿道邑誌 通津郡邑誌 通津郡 鎭堡 德浦鎭在郡南二十里僉使一員屬統禦營防船二隻伺候船一隻 客舍三間禦變廳六間文殊鎭在郡西十里別將一員屬兼本府中軍至乙未更張幷廢止
    출처전거京畿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同僉節制使, 仁川鎭兵馬僉節制使京畿水軍防禦使左海防將監牧官, 改以仁川鎭兵馬僉節制使左海防將監牧官德山鎭兵馬僉節制使, 別中營將討捕使, 改以洪州鎭管德山兵馬同僉節制使, 下批之意, 敢啓。 傳曰, 知道。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7023 B017023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輿地圖書 京畿道 豊德府誌 豊德府 豊德府長湍鎭管江華府屬邑(東至交河郡海界四十里至長湍府界四十里距京一百八十里二日程南至通津府海界三十里至江華府海界十里西至喬桐府水營海界十五里一日程至黃海道白川郡 ...
    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7024 B017024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輿地圖書 京畿道 豊德府誌 豊德府 豊德府長湍鎭管江華府屬邑(東至交河郡海界四十里至長湍府界四十里距京一百八十里二日程南至通津府海界三十里至江華府海界十里西至喬桐府水營海界十五里一日程至黃海道白川郡海界二十里北至開城府界十五里)
    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8519 B028519 교동부 喬桐府 정치행정 輿地圖書 京畿道 豊德府誌 豊德府 豊德府長湍鎭管江華府屬邑(東至交河郡海界四十里至長湍府界四十里距京一百八十里二日程南至通津府海界三十里至江華府海界十里西至喬桐府水營海界十五里一日程至黃海道白川郡海界二十里北至開城府界十五里)
    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6)

  • /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 강화도에 있었던 군영. 강화도에 본영을 두고 바다를 지키는 일을 맡아보게 하였다. 1700년(숙종 26)에 설치. 1866년(고종 3) 병인양요 이후 외국 선박의 침입이 잦아지자 은 국방상 중요한 군영으로 취급되어 조정에서는 의 지위를 정2품

  • 기패관 / 旗牌官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 여러 군영에 두었던 군관직. ≪대전회통≫에 의하면 훈련도감에 20인, 금위영에 10인, 어영청에 11인, 총융청에 2인, 수어청에 19인, 그리고 강화도의 ()에 71인을 두었으나 시기에 따라 증감이 있었다.

  • 진영장 / 鎭營將 [정치·법제/국방]

    1627년 각 도의 지방군대를 관할하기 위하여 설치한 진영의 정3품 당상직 장관. 팔도에 46인(경기 6인, 충청 5인, 경상 6인, 전라 5인, 황해 6인, 강원 3인, 함경 6인, 평안 9인)과 강화부의 에 5인이 있었다. 이들은 중앙의 총융청·수어청·

  • 파총 / 把摠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오군영·관리영·총리영 등에 두었던 서반 관직. 오군영 및 수원의 총리영, 개성의 관리영, 강화도의 등에 두었다. 훈련도감·금위영·어영청에는 각각 5인, 총융청에는 3인, 수어청에는 2인의 파총이 설치되어 있었다. 또, 금위영과 어영청에는 각 지방의

  • 중군 / 中軍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종2품 무관직. 총리영과 , 각 도의 순영중군은 정3품직이다. 각 영에서 대장 또는 사를 보좌하면서 모든 실무를 총괄하였다. 5군영 중 용호영의 중군은 금위별장을 겸하기도 하였으며, 금군별장과 함께 초관·교련관을 시취하였다. 훈련도감의 중군은 훈련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