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진무사” 에 대한 검색결과 32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20)

사전(6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뒤에도 계속 존속시키면서 고려의 내정간섭을 본격적으로 행하는 관서로 성격이 변질되었다. 그 뒤 이문소(理問所) 등 여러 기구가 설치될 때 도도 설치되었으며, 그 임무는 군사사무를 관장하는 것이었다. 여기에 임명된 관리는 원나라 조정의 지령을 받아 고려 내정...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상경을 하던 중에 도적을 만나 자결하려 하는 장씨부인을 구하고, 곡을 하던 임씨부인을 구출한다. 왕세승의 소굴을 격파하고 곽씨부인을 잡아상경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되고, 유수가 를 겸임하였다. 예하에는 중군(中軍, 3품) 1인, 진영장(鎭營將, 정3품, 강화 인근고을의 수령들이 겸직) 5인, 종사관(從事官, 종4품, 강화부경력이 겸임) 1인, 천총(千摠) 4인, 파총(把摠) 10인, 초관(哨官) 63인, 교련...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시대 원(元)나라 지배하에 설치된 정동행중서성(征東行中書省) 산하 관서. 일본정벌을 위해 설치했으나 그 후에 내정간섭 관서로 존속.
    정의고려시대 원(元)나라 지배하에 설치된 정동행중서성(征東行中書省) 산하 관서. 일본정벌을 위해 설치했으나 그 후에 내정간섭 관서로 존속.[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Dojinmusa | MR표기Tojinmu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257)

  • 宋名臣言行錄 後集 卷十四 주희(朱熹), 이유무(李幼武) 43 名師道一字履常以侍從合薦爲徐州教授官至祕書省正字 無已苦節厲志自其少時蚤以文謁南豐曽舍人曽一【並行状王資深撰】見奇之許其必以文著時人未之知也在頴賦六一堂詩有向来一瓣香敬爲曽南豐之句 傅公欽之初爲吏部侍郎聞師道遊京師...
    서명宋名臣言行錄 | 저자주희(朱熹), 이유무(李幼武)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1848년 황재성(黃在成) 차첩(差帖)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848년(헌종14) 4월에 강화부유수겸가 황재성을 정족산성사고의 사고참봉으로 임명하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차첩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차첩 | 현소장처완도 창원황씨 황정웅
  • 1803년 김준기(金俊起) 관(關)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03년에 강화부유수겸가 김준기를 강화부에 있는 학궁분교관(學宮分校官)으로 임명한 것을 알리는 관문이다. 김준기는 김흥태의 아들로 부인은 함양조씨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명령-관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관 | 현소장처부안 우동 김형복
  • 16128 B016128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3年 9月 24日_032 ○敎江華府留守兼使宋成明書, 王若曰, 橫經前席, 纔長論思之班, 守籥別都, 爰畀居留之命, 玆申綸綍, 庸侈恩榮, 眷彼沁州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6256 B016256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3年 9月 24日_032 ○敎江華府留守兼使宋成明書, 王若曰, 橫經前席, 纔長論思之班, 守籥別都, 爰畀居留之命, 玆申綸綍, 庸侈恩榮, 眷彼沁州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6)

  • / 都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원나라 지배하에 설치된 정동행중서성 산하 관서. 원나라 세조는 일본을 정복하기 위하여 개경에 행성을 설치하고 그 사무를 관장시켰다. 그 뒤 이문소등 여러 기구가 설치될 때 도도 설치되었다. 임무는 군사사무를 관장하는 것이었다. 여기에 임명된 관리는 원

  • / 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설치된 강화도 진무영의 종2품 관직. 정원은 1인. 강화부유수가 겸임하였다. 강화도는 고려이후 방어의 요충지로 중시되었다. 조선 초기의 진관체제하에서는 병마동첨절제영의 하나로 편성되어 강화부사가 동첨절제사를 겸하도록 하였다. 예하에는 중군(3품)

  • 이용희 / 李容熙 [역사/근대사]

    제독이 이끄는 프랑스함대를 물리쳤고, 이후에도 프랑스함대가 퇴각하는 데 결정적인 공을 세워 특별히 형조판서에 발탁되었다. 주사대장(舟師大將)‧(使)‧어영대장‧훈련대장‧한성부판윤을 지냈다. 강화도조약 체결 당시에는 김병학(金炳學)‧홍순목(洪淳穆)‧양헌수 등과 함

  • 김선필 / 金善弼 [역사/조선시대사]

    사한 진무중군 어재연의 후임으로 가 되어 중군을 지휘하였다. 1882년 임오군란으로 지삼군부사를 거쳐 대호군에 이르렀다. 1882년 강화부유수를 역임하기도 했다.

  • 정효전 / 鄭孝全 [종교·철학/유학]

    ?∼1453(단종 1). 조선 전기의 문신. 아버지는 진. 태종의 딸 숙정옹주 부마, 1422년(세종 4) 일성군에 봉하여졌다. 1433년 사은사로, 1450년(문종 즉위년) 진하사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 병조판서를 거쳐 삼군도에 올랐다. 1453년 (단종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