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직제학”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0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61)
사전(748)
- 직학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중추원의 정3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품계는 정3품. 문종 때 처음 설치되었다. 정3품 관직임에도 불구하고 중추원의 추신(樞臣)으로서 일반적으로 2품 이상을 가리키는 재추(宰樞)에 포함되었다. 10...
- 직제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시대 홍문관‧예문관‧규장각의 정3품 관직. [내용] 예문관의 직제학은 도승지가 겸하였다. 제학의 제는 고려 때 학사(學士)를 고친 이름이다. 1392년(태조 1) 7월의 태조신반관제에 따르면 예문춘추관에 정2품의 대학사 1인...
- 직제학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홍문관(弘文館)과 예문관(藝文館)에 딸린 정3품 당하관.정의조선시대 홍문관(弘文館)과 예문관(藝文館)에 딸린 정3품 당하관.[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jikjehak | MR표기chikcheha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직제학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규장각의 종이품 벼슬정의규장각의 종이품 벼슬 | 문광부표기jikjehak | MR표기chikcheha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직제학(直提學)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직제학 직제학 直提學 겸직(兼職), 녹관(祿官), 당하관(堂下官), 동반(東班), 부제학(副提學), 실직(實職), 정직(正職), 참상관(參上官) 전한(典翰) 경연(經筵), 경연청(經筵廳), 사관(史官), 승정원(承政院), 실록청(實錄廳...상위어겸직(兼職), 녹관(祿官), 당하관(堂下官), 동반(東班), 부제학(副提學), 실직(實職), 정직(正職), 참상관(參上官) | 하위어전한(典翰) | 관련어경연(經筵), 경연청(經筵廳), 사관(史官), 승정원(承政院), 실록청(實錄廳), 예문관(藝文館), 지제교(知製敎), 집현전(集賢殿), 참찬관(參贊官), 춘추관(春秋館)
고서·고문서(213)
- 復拜直提學辭疏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五 疏箚 三 8 復拜直提學辭疏 05_089_012.jpg 復拜直提學辭疏 復……疏: 초1・초3・중규1・중공2에는 “辭直提學䟽【八月】”. 伏以犬馬孤臣, 濫荷天恩, 召命之下, 至再愈勤。 撫己揣分, 惶駭罔措。 人君之不好士, 尙矣。 以崇高自尊, 以富貴自重,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辭直提學疏【癸酉】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五 疏箚 三 8 辭直提學疏【癸酉】 05_089_004.jpg 辭直提學疏【癸酉】 伏以蟣蝨微臣, 跧伏田里, 疾病支離, 累拒朝旨, 席槀私室, 恭俟譴責。 聖量天涵, 含垢棄瑕, 非常之命, 復降草野, 撫已惶恐, 精爽飛越, 力疾還京, 謹謝恩命, 竊念愚衷, 未獲...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七月, 以李珥爲弘文館直提學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九 經筵日記二 52 七月, 以李珥爲弘文館直提學 29_207_023.jpg ○七月, 以李珥爲弘文館直提學。 珥退居 居: 대규에는 “去”.坡州, 辭疾不來。 自上不聽其辭, 珥乃詣闕謝恩, 因上疏辭職。 疏三上, 上 上: 대규에는 없음. 乃許其退。 三司交...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당(堂)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1566_384_030 1566년1월 ○당(堂)에 머물렀다 1566년 1월 30일 임술. ○당(堂)에 머물렀다. 재계하며 지냈다. ○송순(宋珣)이 와서 꿩 2마리를 주었다. ○권(權) 직제학(直提學) 댁이 맛있는 떡[美餄] 1상자[笥]를 보내 주었다.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6867 B016867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正祖實錄 九年(1785) 冬十月 정조실록_10910001_002 ○遣檢校直提學徐浩修等, 奉安八朝實錄、各殿宮冊寶、冊印、敎命、竹冊于江華府。출처전거正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42)
-
직제학 / 直提學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시대 홍문관·예문관·규장각의 정3품 당상관직. 예문관의 직제학은 도승지가 겸하였다. 1392년(태조 1) 7월의 태조신반관제에 따르면 예문춘추관에 정2품의 대학사 1인, 종2품의 학사 2인을 두었는데, 1401년(태종 1) 7월의 관제 개혁 때 예문춘추관이 예
-
관각당상 / 館閣堂上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홍문관·예문관·규장각 소속의 당상관. 홍문관의 대제학·제학·부제학, 예문관의 대제학·제학·직제학, 규장각의 제학·직제학을 말한다. 홍문관·예문관은 보통 한 사람이 겸직하여 양관대제학이라 칭하였으며, 예문관의 직제학은 도승지가 당연직으로 겸임하였다.
-
시강관 / 侍講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경연의 정4품 관직. 태조 때에는 고려의 제도인 강독관 4인을 두었는데, 정종 때에 시강관과 시독관으로 분리하였다. 세종 때에는 집현전의 부제학이 이를 겸하였으며, 성종 이후에는 홍문관의 직제학·전한·응교·부응교가 이를 겸하였다.
-
시독관 / 侍讀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경연의 정5품 관직. 조선 태조 때에는 고려의 제도인 강독관 4인을 두었었는데, 정종 때에 시강관과 시독관으로 분리하였다. 그 뒤 세종 때에는 집현전의 직제학이 이를 겸하였으며, 성종 이후에는 홍문관의 교리와 부교리가 이를 겸하였다.
-
논맹인물유취 / 論孟人物類聚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이만수·박준원 등이 『논어』와 『맹자』에 나오는 인물들의 성·명·자·출신지·경력·언행 등을 수록한 인명록. 1책(29장). 고활자본(정리자). 1800년(정조 24) 왕명에 따라 규장각 직제학(直提學) 이만수(李晩秀)를 비롯, 박준원(朴準源)·김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