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직수아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5)
- 직수아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 조선 후기에는 비변사와 포도청이 직수아문에 추가되었다. 또, 종부시는 전주이씨의 족보를 편찬하는 작업이 진행 중일 때 외에는 직수아문에서 제외되었다. 이러한 직수 규제제도는 각 아문의 직권남용을 예방하고 형벌을 신중히 하기 위한 배려에서 마련된 것이...
- 계옥(繫獄)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을 재판을 위해 의금부(義禁府)나 형조의 감옥에 잡아두는 행위. [내용] 조선전기에 범죄자를 직접 체포하고 수금할 수 있는 직수아문(直囚衙門)은 병조(兵曹)·형조(刑曹)·한성부(漢城府)·사헌부(司憲府)·승정원(承政院)·장례원(掌隷院)·종부시(宗簿寺)·관찰사(觀察...관련어구류(拘留), 옥수(獄囚), 의금부(義禁府), 형조(刑曹), 전옥서(典獄署)
- 경수(輕囚)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경수 경수 輕囚 전옥서(典獄署), 의금부(義禁府), 사수(死囚), 형조(刑曹) 정치사법/행형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차인배 [정의] 조선시대 직수아문에 갇힌 용의자 가운데 범죄의 내용이관련어전옥서(典獄署), 의금부(義禁府), 사수(死囚), 형조(刑曹)
- 옥수(獄囚)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감금된 죄수. [내용] 조선전기 범죄자를 직접 체포하고 수금할 수 있는 직수아문은 병조(兵曹)·형조(刑曹)·한성부(漢城府)·사헌부(司憲府)·승정원(承政院)·장례원(掌隷院)·종부시(宗簿寺)·관찰사(觀察使)·수령(守令) 등이 있었지만 조선후기에는 비변사(備邊司)·의...동의어죄수(罪囚) | 관련어전옥서(典獄署), 동환(東圜), 서환(西圜)
- 조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장례원은 노비에 관한 문서와 소송을 맡았다. 감옥으로는 전옥서(典獄署)가 있고, 경찰로는 중앙에 포도청(捕盜廳), 지방에 진영장(鎭營將)이 겸하는 토포사(討捕使)가 있었다. 그리고 위법자를 직접 체포, 구금할 수 있는 기관을 직수아문(直囚衙門)이라 하였다. ...
주제어사전(1)
-
직수아문 / 直囚衙門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죄인을 직접 검거하여 구속할 수 있었던 관서. 곧, 형조·병조·한성부·사헌부·승정원·장례원·종부시 및 관찰사와 지방 수령의 관서이다. 다른 관서에서 죄인을 구속하고자 할 때에는 반드시 형조에 통보하게 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비변사와 포도청이 직수아문에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