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직강”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7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51)
사전(491)
- 직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성균관의 종5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1308년(충렬왕 34) 6월에 국자감의 후신인 성균감(成均監)을 성균관으로 고치고, 정5품의 승(丞) 1인을 두었다가 뒤에 직강이라 고쳤다. 1356년(공민...
- 직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렇게 정한 것 같다. 1472년(성종 3) 8월에 겸교관제를 부활하였으나 관제에는 별 변동이 일어나지 않았으며, 1477년 8월에는 학관구임법(學官久任法)을 마련하여 직강 1인을 구임하게 한 것이 그대로『경국대전』에 법제화되었다. 그 뒤 아무 변동없이 1865년...
- 직강(直講)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직강 직강 直講 성균관(成均館) 사학(四學), 종학(宗學) 정치행정/관직·관품|교육·출판/교육기관/성균관 직역 대한민국 조선 조선 조준호 1392년(태조 1) 1895년(고종 32) 성균관 ...상위어성균관(成均館) | 관련어사학(四學), 종학(宗學)
- 변복일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직강으로, 호란 때에 강화로 들어간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외제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지방관에 제수됨. 聞院正及守令 文.明政當出 或以司藝直講 次次陞差 或以直講外除而出闕 使歸於吳則幸矣, 이제(李濟), 21(禮)-316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296)
- 與顏直講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歐蘇手簡 第二卷 與顏直講 구양수(歐陽脩)‧소식(蘇軾) 25 與顏直講 某啓嚮傳例罷學職初聞可疑及辱書始駭果然又承有淮陽之命君子出處不違道而無愧則所居皆樂況淮陽近家之便乎亮不動浩然之氣也交年積雪極寒體況想佳計行李不久當東相去逾遠會見何時千萬加愛 某啓嚮在京師會吾子來人事匆匆不能以從容接高論及至...서명歐蘇手簡 | 저자구양수(歐陽脩)‧소식(蘇軾)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與梁直講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歐蘇手簡 第二卷 與梁直講 구양수(歐陽脩)‧소식(蘇軾) 25 與梁直講 某啓衰病退藏自宜屏跡忽辱惠問雅眷不忘其爲感著未易遽陳兼喜春和氣體清裕董直講來自學舍具道群居之詳今其還也亦備見郡齋之況燕譚之際諒可及之病目愈眊然艱於執筆惟以時加愛 某啓數日不承問不審體中如何當漸平和但怪不見過故此奉問凡疾病不...서명歐蘇手簡 | 저자구양수(歐陽脩)‧소식(蘇軾)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除國子直講赴館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20 詩集 卷二 ITKC_MP_0597A_0020_010_0310 除國子直講赴館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권차명詩集 卷二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成均館直講時論照訖講疏【甲寅】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90 文集 卷九 ITKC_MP_0597A_0090_030_0070 成均館直講時論照訖講疏【甲寅】 정약용(丁若鏞) 公車類|疏箚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권차명文集 卷九 | 문체公車類|疏箚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宋羣臣賀胡瑗爲國子直講,四方歸之,庠舍不能容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630 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ITKC_MP_0597A_1630_020_1050 宋羣臣賀胡瑗爲國子直講,四方歸之,庠舍不能容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2)
- 메밀묵과 직강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79-08-07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제군 일운면 | 제보자김영수
- 가짜 사주승을 쫓은 직강 어른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의 이야기에 이어 제보자가 자청하여 구술했다.*조사일시1982-01-28 |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군 칠곡면 | 제보자전임팔
기초학문(2)
- 정규직과 비정규직 실업자의 구직강도 결정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한영석, 게재일 : 200501559 한영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 산업 및 조직 심리학회 2005 정규직과 비정규직 실업자의 구직강도 결정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중장년층 실직자의 구직강도 결정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한태영, 게재일 : 200629002 한태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심리학회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06 중장년층 실직자의 구직강도 결정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유형논문 | 게재일2006
신문·잡지(41)
- 遭難頻頻 (조난빈번)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直江津丸은 배 이름으로 추정됨작품명_원문遭難頻頻 | 부제_원문竹島燈臺と直江津丸 | 부제_한글다케시마등대와 나오네 츠환 | 게재일19160226 | 게재판석 | 게재면03 | 게재단1-3
- 국민문학_1944_04_1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60 金鍾漢の人及作品 牧洋 63 日本藝能の理念 直江兼孟 68 若い龍の鄕 吳泳鎭 7...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4
- 승리를위하여_1950_0801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시태세로 개편하며 군사적 직강규률을 확립하여 전선과 직장의 수송을 보장할 견결한 경의를 표명하였다.대표표제어승리를위하여_1950_0801_01 | 책임주필김명덕
- 국민문학_1943_1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直江兼孟 46 幸不幸 金士永 51 64쪽과 66쪽 사이에 광고지면 있음. 파일분절요망. 한_국민문학_1943_11_064-P1로 羈絆 吳本篤彦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3
- 평북로동신문_1948_0205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과업을 결정하였다. 즉 인민정권강화 인민경제협조사업 사회단체강화 당조직강화에 대한 문제 등이었다. 지도기관 선거사업에 있어 가장 민주주적인 방법으로 □□□동지를 비롯한 28명의 위원과 검사위원으로 홍학영 동무의 4명 및 도당대표회 대표를 선출하였는데 위원장으로 한병렬...대표표제어평북로동신문_1948_0205_01 | 책임주필김봉훈
기타자료(19)
- 천황이 고구려 사신을 맞이하여 부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고구려 고구려→왜 【번역】 (여름 4월) 이 달에 천황이 수레를 타고 박뢰시리궁(泊瀨柴籬宮)으로부터 이르렀다. 동한씨직강아(東漢氏直糠兒)와 갈성직난파(葛城直難波)를 보내어 고(구)려 사신을 맞이하여 불렀다. (日本書紀 19 欽明紀) 【원문】 (夏四月...대표표제어천황이 고구려 사신을 맞이하여 부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570년(庚寅/신라 진흥왕 31, 大昌 3/고구려 평원왕 12/백제 위덕왕 17/陳 大建 2/倭 欽明 31)
- 존문사에게 영발해객사를 겸하게 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발해→일본 【번역】 3월 임오일(28) 존문사 소내기 정7위하 현견양대숙녜정수와 직강(直講) 종6위하 산구기촌서성(山口忌村西成)에게 영발해객사(領渤海客使)를 겸하게 하였다. (『續日本後紀』 19 仁明紀) 【원문】 (三月)壬午 以存問使少內記正七位下縣犬養大宿禰貞守直講...대표표제어존문사에게 영발해객사를 겸하게 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849년(己巳/신라 문성왕 11/발해 彛震 咸和 20/唐 宣宗 大中 3/日本 仁明天皇 嘉祥 2)
- 영발해객사를 새로이 임명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발해→일본 【번역】 (2월 7일 계사일) 종6위하 행직강(行直講) 예전수안웅(刈田首安雄)을 영발해객사(領渤海客使)로 삼았는데, 광종안인(廣宗安人)이 사퇴하였기 때문이다. (『日本三代實錄』 2 淸和紀) 【원문】 (二月七日癸巳) 從六位下行直講刈田首安雄爲領渤海客使...대표표제어영발해객사를 새로이 임명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859년(己卯/신라 헌안왕 3/발해 虔晃 2/唐 宣宗 大中 13/日本 文徳天皇 天安 3, 清和天皇 貞觀 1)
- 일본이 존문발해객사를 임명하여 능등국에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발해 발해→일본 【번역】 2월 병술일 초하루에 소내기(少內記) 정7위상 현견양대숙녜정수(縣犬養大宿禰貞守)와 직강(直講) 정6위상 산구기촌서성(山口忌村西成) 등을 존문발해객사(存問渤海客使)로 삼아 능등국(能登國)으로 떠나 보냈다. (『續日本後紀』 19 仁明紀...대표표제어일본이 존문발해객사를 임명하여 능등국에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48년(戊辰/신라 문성왕 10/발해 이진 19 咸和 19/唐 大中 2/日本 承和 15, 嘉祥 1)
- 존문사에게 영발해객사를 겸하게 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발해→일본 【번역】 3월 임오일(28) 존문사 소내기 정7위하 현견양대숙녜 정수와 직강(直講) 종6위하 산구기촌서성(山口忌村西成)에게 령발해객사(領渤海客使)를 겸하게 하였다. (『續日本後紀』 19 仁明紀) 【원문】 (三月)壬午 以存問使少內記正七位下縣犬養大宿禰貞...대표표제어존문사에게 영발해객사를 겸하게 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48년(戊辰/신라 문성왕 10/발해 이진 19 咸和 19/唐 大中 2/日本 承和 15, 嘉祥 1)
주제어사전(25)
-
직강 / 直講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성균관의 종5품 관직. 정원은 4인. 1392년(태조 1) 7월 신반관제 이후 1401년(태종 1) 7월에 관제개혁시 정5품, 정원은 1인. 1466년(세조 12) 1월 관제개혁시 4인으로 증원. 1477년 8월에는 학관구임법을 마련하여 직강 1인을 구임하
-
김성구 / 金聲久 [종교·철학/유학]
1641(인조 19)∼1707(숙종 33). 조선 후기의 문신. 김득가의 증손, 할아버지는 김율, 아버지는 용양위부호군 김추길, 어머니는 유화의 딸이다. 1662년(현종 3) 사마시를 거쳐 1669년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 전적·무안현감·직강·지평·수찬·정언 등을
-
김이상 / 金履祥 [종교·철학/유학]
1498(연산군 4)∼1576(선조 9). 조선 중기의 문신. 아버지는 수련. 1540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내직으로는 직강·사예·정자를 거쳐, 감찰·통례원통례를 역임, 외직으로는 덕천군수·영원군수를 거쳤다. 유집으로는『심적당송암경승재유고합편』이 전한다.
-
김한계 / 金漢啓 [종교·철학/유학]
생몰년미상. 조선 전기의 문신. 거두 증손, 할아버지는 유, 아버지는 현감 영명, 어머니는 이지유의 딸이다. 1438년(세종 20) 생원으로 식년문과에 정과로 급제했다. 좌정언, 직제학, 성균관직강, 승문원교리, 기주관, 승정원부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1455년 좌익
-
노공필 / 盧公弼 [종교·철학/유학]
1445(세종 27)∼1516(중종 11).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물재, 아버지는 사신, 어머니는 경유근의 딸이다. 1466년 춘시문과에 2등으로 급제, 성균관직강, 공조판서, 경기도관찰사, 의정부우참찬, 영돈녕부사, 영중추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15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