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지평일구” 에 대한 검색결과 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

사전(1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변동에 따라서 점차로 변하여 간다. 따라서, 이것으로 시각을 측정할 수 있다. 큰 에서는 수영면에 삼각판의 꼭지점이 던지는 그림자의 궤적을 그려놓기도 한다. 이 궤적은 계절에 따라 다른데, 한 계절마다 한개의 금, 즉 등절후곡선(等節候曲線)을 그어둔다...
  • 신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선군 모양으로 그어졌는데, 서양식 각도 수에 따랐다는 뜻에서 신법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물론 이 해시계에 절후선을 긋지 않고 시각선에 해당되는 위치에 점을 찍어 놓거나 짧은 직선으로 나타내도 좋다. 덕수궁 정원에 있는 것이 바로 그 경우이다. 신법는 현재...
    연계항목신법지평일구(新法地平日晷)
  • 신법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시반(時盤)이 수평으로 놓인 평면으로 된 해시계.
    정의시반(時盤)이 수평으로 놓인 평면으로 된 해시계.[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sinbeop jipyeong ilgu | MR표기sinpŏp chip’yŏng ilgu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숭정9년명신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36년(인조 14)에 제조된 평면 해시계. [내용] 보물 제839호. 가로 120㎝, 세로 58㎝, 두께 15㎝의 흰 대리석에 시각선과 절기선을 그려 만든 이 평면 해시계에는 ‘新法(신법)’라는 글자 이외에도 ‘崇禎九年...
    연계항목숭정9년명신법지평일구(崇禎9年銘新法地平日晷)
  • 김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된 값으로서 0.5° 정도 어긋나 있었다.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역관 이덕성(李德星)과 함께 적도경위의(赤道經緯儀)와 ()를 제작하였다. 『신법중성기(新法中星紀)』와 『신법누주통의(新法漏籌通義)』 등을 편찬하였으며, 성주덕(成周悳)과 함께 『국조...

고서·고문서(1)

  • 相清臣奏章惇爲相朝廷屬以政事爲之不置次補而惇不念體國其所以開導上聽者莫非忮忍殺伐之事以己怨或託謗訕宗廟或稱謀危上躬竄逐南方投之死地故貶人并骨肉死者不得歸葬存者悉爲囚徒又因編類章疏看詳訴理受禍者一千餘家自古姦臣少惇比者今既罷去尚以特進守藩天下人心鬱抑不快盍加誅殛以慰民望惇遂責散官安置徽宗欲息朋...
    국가중국 | 서명동도사략 | 왕대기타  

주제어사전(1)

  • / [과학/과학기술]

    조선 후기에 사용하던 수영면(受影面)이 수평적 평면을 이룬 해시계. 1789년(정조 13)에 감관(監官) 김영(金泳)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그 재료는 보통 대리석·오석(烏石) 등을 쓴다. 영침(影針)은 수영면에 수직이 되게 세워두기도 하고, 천구북극(天球北極)을 향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