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지전” 에 대한 검색결과 16,39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354)

사전(87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대체로 국ㆍ공유지 위에 설정되었으며, 주로 사분취일(四分取一)의 원칙에 입각한 전호제(佃戶制)에 의해 경영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은 중앙은 물론 지방의 각 관아에까지 지급되었으나, 중앙관청에 지급된 내역은 공수전의 경우와 같이 불명이다. 지...
    이칭별칭지위전(紙位田)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각 육주비전의 최고 세액이 10푼[分]이라면 그 중 4위에 해당되는 7푼의 부담을 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기본적인 세납(稅納) 이외에 은 궁중에서 소요되는 물품과 대중국 사행이 휴대하는 방물품목(方物品目)도 수급했는데, 육주비전의 정규 세액 외의 수량만도...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불전이나 법당을 맡아서 예불하는 것을 지휘하는 사람
    정의불전이나 법당을 맡아서 예불하는 것을 지휘하는 사람 | 문광부표기jijeon | MR표기chij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기고전(奇庫錢), 금전(金錢), 넋전(넋錢), 노잣돈[路資錢], 돈개[錢蓋], 발(발), 우전(寓錢), 육도전(六道錢), 육문전(六文錢), 은전(銀錢), 음전(陰錢), 예전(瘞錢) 문화종교/민간신앙 물...
    동의어기고전(奇庫錢), 금전(金錢), 넋전(넋錢), 노잣돈[路資錢], 돈개[錢蓋], 발지전(발지錢), 우전(寓錢), 육도전(六道錢), 육문전(六文錢), 은전(銀錢), 음전(陰錢), 예전(瘞錢)
  • 서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산군은 서대주의 인후한 심덕에 감동하여 다람쥐를 내보낸다. 이에 다람쥐는 자기의 배은망덕한 처사를 반성하고 서대주에게 사과한다. 서대주는 다람쥐를 불쌍히 여겨 황금을 주어 돌려보낸다. <서동>은 다람쥐가 서대주에게 은혜를 입고도 배은망덕하게 서대주를 백호산군...
    이칭별칭다람전|서용전

단행본(1)

  • (조선시대 궁중회화 2) 조선 궁궐의 그림 [장서각 왕실문화총서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박정혜(한국학중앙연구원 미술사학과 교수), 윤진영(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 | 출판사 : 돌베개 | 출판일 : 2012.5.30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3) 궁중양식의 장식화와 민간 그림의 경계 (4) 궁중양식 회화의 유통과 상인 주인섭 (5) 글을 마치며

고서·고문서(14,645)

  • 부고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분류법/재판 | 소장처서울대도서관 | 출판사朝鮮總督府(서울)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아버실 구 남자 경상북도 울릉군 길림성(吉林省) 연길시(延吉市) 하남가(河南街) 3거17조2호 3 3 아버...
    대표표제어아버지전실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아버씨 전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계서시(鸡西市) 성자하구(城子河区) 정부 2 1 아버씨, 큰아버지, 고모,...
    대표표제어아버지전씨 | 성씨
  • 큰아버상서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큰아버상서 김 남자 경상북도 청도군 흑룡강성(黑龙江省) 경안현(庆安县) 근로공사 서광중학 3 2 큰아버상서...
    대표표제어큰아버지전상서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아버상서 김 여자 흑룡강성(黑龙江省) 하얼빈시(哈尔滨市) 남강구(南岗区) 향만로51-122호 2 1 아버상서,...
    대표표제어아버지전상서 | 성씨

구술자료(25)

  • 전 투에 참여했고, 북한군에 포위당해 일주일을 굶어 지낸 적도 있었다. 하루소위, 하루에도 몇 번씩 주인이 바뀌는 고투, 인민군이 쏘는 딱콩총 등에 대한 기억을 상세하게 구연했다. [1] 피난 갔다가 돌아와 국군에 입대하다 6.25 사변나던 고 당시부터 얘기하면 됩
    조사지역경북 상주 | 조사일2012년 6월 9일
  • 진도 씻김굿_영상041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
    호남 기본굿 진도 씻김굿_영상041 종교‧철학 행사 현대 2016년 10월 23일 09분 03초 HN_OG_04_161023_춤.mp4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
    지역호남 | 구분기본굿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전라도 영암 삼우씻김굿_선부리-무의 [종합적 조사연구를 통한 <한국무속총서> 편찬 및 DB 제작 | 전남대학교]
    안당굿이 끝난 후에 잠시 이장단 무녀와 정화점 무녀가 망자의 혼이 실린 큰며느리를 위로하였다. 이후 정화점 무녀가 굿상 앞에서 을 들고 인사를 하면서 두 번째 거리인 선부리 굿이 시작되었다. 굿을 하는 중간 중간 정화점 무녀는 입이 타는지 연신 물을 마셨다. 선부
    분야무의 | 지역전라도
  • 전라도 영암 삼우씻김굿_넋올리기-무의 [종합적 조사연구를 통한 <한국무속총서> 편찬 및 DB 제작 | 전남대학교]
    후손들의 머리 위에 놓고 으로 들어올리면서 무가를 가창한다. 이때 으로 넋이 잘 따라 올라오면 망자의 원한이 풀어진 것으로 해석한다. 따라서 넋올리기에서 불려지는 무가는 전체적으로 망자의 넋을 위로하고, 이승세계에 대한 미련을 접고 저승세계
    분야무의 | 지역전라도
  • 전라도 영암 삼우씻김굿_사신-무가 [종합적 조사연구를 통한 <한국무속총서> 편찬 및 DB 제작 | 전남대학교]
    사신거리에서는 무녀가 망자의 옷가지와 , 넋 등을 태우면서 무가를 가창하였으므로, 씻김굿의 중천거리와 성격이 같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총 4분간에 이루어진 사신거리에서 무녀는 각종 잡귀잡신을 불러서 달래고, “나는 나는 안갈라네 가기싫어 못가겄네”라는 사설처럼
    분야무가 | 지역전라도

기초학문(61)

  • 杜預의 『春秋左序』와 史의 분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석우, 게재일 : 2006
    41210 김석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국학회 2006 杜預의 『春秋左序』와 史의 분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烈女咸陽朴의 구조와 글쓰기 방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수밀, 게재일 : 2014
    66840 박수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한문학회 2014 烈女咸陽朴의 구조와 글쓰기 방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淸代 土賣관행과 분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1
    69117 한국연구재단 한국중국근현대사학회 2011 淸代 土賣관행과 분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소비계층에 따른 리조트 시설의 차별적 입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유광민, 게재일 : 2011
    41658 유광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관광학회 2011 소비계층에 따른 리조트 시설의 차별적 입략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春秋左』에 내재한 도덕과 전쟁의 정합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윤대식, 게재일 : 2013
    53172 윤대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정치사상학회 2013 『春秋左』에 내재한 도덕과 전쟁의 정합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
    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659)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궁부 비셔관 김봉션씨 경리원기로 젼임고 그에 학부셔긔관 윤셰용씨가 피임얏더라
    게재일1907년 8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知禮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상북도 지례군슈 김황진씨난 군군쥬와 부동야탐장이잇난으로 부에셔 장론경을던지 면관시기던지 터인 아즉미결즁이라더라
    게재일1907년 2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젼쥬부 셩쳡이 면퇴비야 그 허러진곳으로 외국인이 무란츌입 그 퇴비곳을 슈치야 길을만들면 한 인민의 리익상 방편지도가된다고 외교인들의 쳥구가잇슨즉 샤죠쳐분라고 관찰 한진챵씨가 부로보고얏 부에셔 론졔기 퇴비 셩쳡을 슈보도리 각지안이...
    게재일1906년 5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륙군법원 리 졍항모씨 격이 부죡다 칭고 군부대신 리병무씨가 직고물너가라 권고즉 졍씨 면관을 당지언졍 쳥원은 지 안캐다야 리군상과 무슈상지즁 이라더니 긔어히 즁츄원 부찬의로 젼임되얏더라
    게재일1907년 7월 13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삼작일 양지군에셔 일병과 의병이 슈시간을 교젼얏다 보고가 부에 도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10월 6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6)

기타자료(87)

  • 신;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6872 남한 충남 공주고등보통학교 2-06 졸업대장(충남공주고등학교) n.r. 89-1면 신;新 제19회 1944년
    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공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청;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0944 일본 東京 日本醫科大學 日本醫科大學一覽 1941―12―25 244면 청;淸 조선 27회 1941년 3월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日本醫科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공;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3522 남한 경성 경성공립농업학교 1-07 京農(제8호) 校友會會則會員名簿 1932―03―20 245면 ㅁ1. 교우회회원명부;ㅁ1) 통상회원;ㅁ(2) 양잠과 제5학년 공;貢 경성부 대...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중민;重敏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6053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慶北公立中學校同窓會報 제17호 1942―12 63면 중민;重敏 醴泉郡 開浦공립국민학교 제23회 1941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무길;武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6331 남한 경남 진주공립농업학교 2-48 진주공립농업학교 졸업대장 1회~32회 n.r. 103면 29. 제29회 졸업생(69명) 소화17년 12월 26일 무길;武吉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진주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42)

  • / [경제·산업/경제]

    면 그 중 4위에 해당되는 7푼의 부담을 지고 있었다.이와 같은 기본적인 세납(稅納) 이외에 은 궁중에서 소요되는 물품과 대중국 사행이 휴대하는 방물품목(方物品目)도 수급했는데, 육주비전의 정규 세액 외의 수량만도 대단하였다.

  • 서동 / 鼠同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 활자본. 쥐들의 소송사건을 소재로 한 의인소설로, 풍자소설의 유형을 띤 작품이다. 소재가 유사한 「서옥기(鼠獄記)」·「서대주전(鼠大州傳)」 등의 한문본과는 전혀 별개의 작품이다.「서동」은 다람쥐가 서대주에게 은혜를

  • 춤 / [예술·체육/무용]

    호남지방의 무당들이 (종이돈)을 가지고 추는 춤. 호남지방의 씻김굿에서만 볼 수 있다. 흰 창호지로 만든 수십장의 을 80㎝ 가량 내려뜨린 것을 양손에 쥐고 사방으로 휘저으며 춤을 춘다. 씻김굿은 망자가 이승에서 풀지 못한 원한을 풀어주어 극락왕생하도록 기원하

  • 곽씨전 / 霍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혹은 3책. 국문필사본. 이 작품은 곽 소저가 김생의 정혼 예물을 돌려달라는 청을 단호히 거절하고, 김생의 옥고를 대신한다는 이야기이다. 이는 중국의 「목란종군(木蘭從軍)」에 버금갈 수 있는 희생정신을 표시한 것으로, 한국적 열녀

  • 박씨전 / 朴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필사본. 이 작품은 일반적으로 역사소설·군담소설·전쟁소설의 범주에 넣지만, 초인적인 능력을 가진 박씨가 여주인공으로 등장한다는 점에서 여걸소설(女傑小說)의 범주에 넣기도 한다. 이 소설은 ‘변신(變身)’의 모티프를 가지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