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지의금부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9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67)
사전(258)
- 지의금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의금부에 설치한 정2품 관직. [내용] 1414년(태종 14) 의용순금사(義勇巡禁司)를 의금부로 격상, 개편하면서 둔 정2품 제조(提調)를 뒤에 지사(知事)로 고쳐 지의금부사로 부르게 된 것이다. 지의금으로 약칭하기...
- 지의금부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의금부에 설치한 정2품 관직.정의조선시대 의금부에 설치한 정2품 관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ji Uigeumbu sa | MR표기chi Ŭigŭmbu 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동지의금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의금부에 소속된 종2품의 관직. [내용] 지사(知事)에 대한 보좌역으로 겸직이었다. 1414년(태종 14) 의용순금사(義勇巡禁司)가 의금부로 개편되었을 때는 제조(提調)체제 아래 낭관 중심으로 실무가 운영되어 동지의금부사는 아...
- 박필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謙)의 딸이다. 1735년(영조 11) 증광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한 뒤 1740년 당상(堂上)에 올라 승지에 임명되었고, 그 뒤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에 이르렀다. 英祖實錄 國朝榜目이칭별칭 경옥(景玉)| 성암(醒庵)
- 김면장군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기념물 제76호. 묘소는 1593년(선조 26) 조성되었고, 절충장군행경상우도병마절도사겸지의금부사송암김공면지묘, 증정부인완산이씨 부(折衝將軍行慶尙右道兵馬節度使兼知義禁府事松菴金公沔之墓,贈貞夫人完山李氏 附)라 쓰여진 비가 있다. 신도비는 1929년 3월 조성하였는데...연계항목김면장군유적(金沔將軍遺蹟)
고서·고문서(409)
- 한원진 이조판서겸지의금부사성균관제주오위도총부도총관 고신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1799년(가경4) 10월 15일에 通訓大夫行司憲府執義 韓元震을 贈資憲大夫吏曹判書兼知義禁府事成均館祭酒五衛都摠府都摠管韓元震 吏曹判書兼知義禁府事成均館祭酒五衛都摠府都摠管에 임명하는 고신이다. 본 고신은 4품이상의 문무관원에게 발급한 官敎에 해당하며, 국왕 명의로 발급되었으...분야문학 | 유형문헌
- 鄭世雅를 贈 資憲大夫 兵曹判書 兼 知義禁府事로 임명하는 교지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661 1464_01 鄭世雅를 贈 資憲大夫 兵曹判書 兼 知義禁府事로 임명하는 교지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정세아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증직교지 한자 고문서 HJ314.JPG 鄭世雅를 贈 資憲大夫 兵曹判書...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鄭世雅를 贈 資憲大夫 兵曹判書 兼 知義禁府事로 임명하는 교지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662 1464_02 鄭世雅를 贈 資憲大夫 兵曹判書 兼 知義禁府事로 임명하는 교지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정세아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증직교지 한자 고문서 HJ314.hwp 敎旨 贈嘉善大夫兵曹參 判兼同知...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資憲大夫 戶曺判書 兼 知義禁府事 朴震英을 崇政大夫 判敦寧府事 兼 判義禁府事 五衛都摠府 都摠管에 임명하는 敎旨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218 1199_01 資憲大夫 戶曺判書 兼 知義禁府事 朴震英을 崇政大夫 判敦寧府事 兼 判義禁府事 五衛都摠府 都摠管에 임명하는 敎旨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박진영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추증교지 한자 고문서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국립 진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資憲大夫 戶曺判書 兼 知義禁府事 朴震英을 崇政大夫 判敦寧府事 兼 判義禁府事 五衛都摠府 都摠管에 임명하는 敎旨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219 1199_02 資憲大夫 戶曺判書 兼 知義禁府事 朴震英을 崇政大夫 判敦寧府事 兼 判義禁府事 五衛都摠府 都摠管에 임명하는 敎旨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박진영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추증교지 한자 고문서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국립 진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주제어사전(24)
-
지의금부사 / 知義禁府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금부에 설치한 정2품 관직. 1414년(태종 14) 의용순금사를 의금부로 격상, 개편하면서 둔 정2품 제조 뒤에 지사(知事)로 고쳐 지의금부사로 부르게 된 것이다. 정원은 종1품 판의금부사 및 종2품 동지의금부사와 합쳐 4인을 두게 하였으나, 판의금부사와
-
동지의금부사 / 同知義禁府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금부에 소속된 종2품의 관직. 1466년(세조 12)에 의금부의 직제를 당상관중심체제로 바꾸고자 제조직제를 혁파하면서 판사·지사 다음의 직임으로 설치되어 ≪경국대전≫ 체제로 정비되었다. 판사·지사·동지사의 각 직임별 정원은 규정하지 않고 당상관의 총인원만
-
조면호 / 趙冕鎬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03∼1887). 김정희의 척질이며 제자이다. 1837년 급제 후 공조참의를 거쳐 호조참판·지의금부사를 역임하였다. 저서로《옥수집》이 있고, 유묵으로 예서 2점이 전한다. 또한《완당집》에 추사의 답간 4통이 보인다.
-
정익하 / 鄭益河 [역사/조선시대사]
하였다. 1727년(영조 3) 『숙종실록』의 개수를 반대하였다. 이후 경상도관찰사‧대사간‧대사성‧함경도관찰사‧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 등을 역임하였다.
-
강홍중 / 姜弘重 [종교·철학/유학]
1577(선조 10)∼1642(인조 20). 조선 중기의 문신. 강온 증손, 할아버지는 강사필, 아버지는 승지 강정, 어머니는 정응규의 딸이다. 장현광의 문인이다. 1606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에 등용되었으며, 청송부사, 동지의금부사, 성천부사 등을 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