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지신사” 에 대한 검색결과 30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8)

사전(13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제가 복구되면서 지주사로 환원되었으며, 1362년 다시 로 바뀌어 고려말에 이르기까지 그대로 존속하였다. 또한,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태조 때 도승지가 설치되면서 혁파되었으며, 태종 때 다시 두어졌다가 1433년(세종 15) 도승지로 바뀜으로써 완전히 혁...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 후기 밀직사의 정3품 관직.
    정의고려 후기 밀직사의 정3품 관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jisinsa | MR표기chisin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지주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하였다고 하였을 뿐 지주사를 무엇으로 고쳤는지는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고려사』세가 충렬왕 4년 10월의 임명기사에 송빈(宋玢)을 밀직사 ()로, 박구(朴球)를 우승지로, 김주정(金周鼎)을 좌부승지로 삼은 것을 보면 이때 로 고쳤음이 확실하다....
  • 당인행렬(唐人行列)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행해졌으며, 하치만구 제례 당인행렬의 양상은 1665년에 쓰인 『세양잡기(勢陽雜記)』에 기록되어있고, 행사는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에도에서는 간다묘진자(神田明神社)의 간다마쓰리(神田祭), 히에다진자(日)의 산노마쓰리(山王祭)에서 1년마다 번갈아서 행하였다. 간...
    유형분류행사
  • TD_E2_D_0138 龍喉 관직 , 承宣, 執禮, 內相 麗 本史, 牧隱 D_08_01_110 대동운부군옥 8권 1장 110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8권 1장 11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117)

  • 伯于陽者何?公子陽生也。子曰:“我乃知之矣。” 在側者曰:“子苟知之,何以不革?” 曰:“如爾所不知何?《春秋》也。其序則齊 桓ㆍ晉 文,其會則主會者爲之也,其詞則丘有罪焉爾。”【昭十二年《公羊傳》】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440 論語古今注 卷十 ITKC_MP_0597A_0440_050_0500 伯于陽者何?公子陽生也。子曰:“我乃知之矣。” 在側者曰:“子苟知之,何以不革?” 曰:“如爾所不知何?《春秋》也。其序則齊 桓ㆍ晉 文,其會則主會者爲之也,其詞則丘有...
    권차명論語古今注 卷十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74654 B074654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29年 2月 3日_011 ○具允明, 以備邊司言達曰, 前慶尙左水使權儆, 交龜後, 行到東萊邑矣。 喪柩上來時, 依例擔軍題給之意, 分付所經各道, 何如? 令曰, 依。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8904 B048904 대하 大蝦 수산물 世宗實錄 十一年(1429) 夏四月 세종실록_11104013_001 ○戊子 / 視事。 上謂鄭欽之曰: “聞使臣爲求魚物而來, 高道魚大蝦, 亦在所求。 大蝦則産於中國, 然旣徵求, 亦當預備。”
    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8905 B048905 대하 大蝦 수산물 世宗實錄 十一年(1429) 夏四月 세종실록_11104013_001 ○戊子 / 視事。 上謂鄭欽之曰: “聞使臣爲求魚物而來, 高道魚大蝦, 亦在所求。 大蝦則産於中國, 然旣徵求, 亦當預備。”
    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5289 B025289 고도어 高道魚 수산물 世宗實錄 十一年(1429) 夏四月 세종실록_11104013_001 ○戊子 / 視事。 上謂鄭欽之曰: “聞使臣爲求魚物而來, 高道魚大蝦, 亦在所求。 大蝦則産於中國, 然旣徵求, 亦當預備。”
    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39)

  • 永化學校新築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인쳔항에잇 립영화학교 이층양옥으로 오륙십간을로 건츅 엿 외국 유의 보조금이 만히 드러왓다더라
    게재일1907년 6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函請同夫人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학부에셔 명일 훈련원에셔 셜 각학교련합운동회에야 각대관과 각샤회유를 쳥쳡얏 모다 동부인야 진참기를 쳥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4월 29일 | 기사분류잡보
  • 兩校聯合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금일상오에 의법야학교와 상동청년 학교에셔 동소문외 삼션평으로 련합운동장을 셜얏 유들이 관광로 다슈츌왕다더라
    게재일1906년 11월 3일 | 기사분류잡보
  • 仁明塾開學式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인쳔항 립쳔긔의슉건은 향일에 긔얏거니와 그쳔긔의슉이라던 일홈을고쳐 인명의슉이라고 금일하오일시에 학식을 거 셔울 각샤회 유를 만히쳥요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5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 女友開會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김죵한 민병셕씨등이 대동문우회를 죠직다난말은 이왕 긔재얏거니와 명일에수진동 흥화 학교안에셔 회기로후 각유와 각대관에게 쳥쳡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3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3)

  • 박영근;朴永根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6980 중국 용정 大成中學校 제4회졸업동창생 졸업앨범 1930―03 0 박영근;朴永根 화룡현 大拉子 中英村 4회 1930년
    학교소재지역용정 | 학교명大成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문재린;文在麟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9349 북한 평남 조선야소교장로회신학교 학우회보 제1호 1923―01 20면 1. 본 신학교 졸업생 및 재학생 씨명;18) 제2학년생 58인 문재린;文在麟 北間島 和龍縣 明東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조선야소교장로회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문재린;文在麟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0939 북한 평남 조선야소교장로회신학교 학우회보 제2호 1923―06―08 17면 1. 본 신학교 재학생 씨명;2) 제2학년생 34명 문재린;文在麟 北間島 和龍縣 明東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조선야소교장로회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4)

  • / [정치·법제/법제·행정]

    같은해 충선왕이 복위하면서 부활되었다. 1356년(공민왕 5)에 문종관제가 복구되면서 지주사로 환원, 1362년 로 바뀌어 고려말까지 존속하였다.

  • 김익정 / 金益精 [종교·철학/유학]

    , 형조참판, 이조좌참판, 경상도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 부승지 / 副承旨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승정원의 정3품 당상관직. 태종 때까지는 고려시대와 같이 중추원에 소속되었으나 1405년(태종 5) 승정원이 분리, 독립되면서 승정원의 고유관제로 정비되었다. 이때 종전의 ·대언·부대언 외에 동부대언이 신설되어 6방의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그 뒤 세

  • 좌부승지 / 左副承旨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승정원의 정3품 당상관직. 정원은 1인이다. 1405년(태종 5) 승정원이 독립관아가 될 때에 좌부대언으로 개칭되었다. 그리고 1433년(세종 15) 를 도승지로 개칭하는 조처에 따라 좌부승지로 개칭되면서 정립되었다. 이것이 ≪경국대전≫에 명문화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