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지석장”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
사전(6)
- 지석장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용하였으나,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의 명시 이후 새로운 규정으로 자기 재질의 자지(磁誌)를 쓰게 되었다. 工匠秩誌石匠金義成曹漢大刻手崔漢益朴春根李仁奎, (국장1834/046ㄱ02~04)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총지사지석장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전라남도 무안군 몽탄면 대치리 총지마을에 있는 석장승. [내용] 2기(基). 전라남도 민속자료 제23호. 장승이 서 있는 위치는 총지마을 입구이며 여기에서 총지사의 옛 절터까지는 약 500여m의 거리를 두고 있다. 이...
- 총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전라남도 무안군 몽탄면 대치리 승달산(僧達山)에 있었던 절. [내용] 신라 성덕왕 때 서역 금지국(金地國)에서 온 정명(淨明)이 승달산의 지맥인 백운산(白雲山)에 창건하였으며, 신라 말에는 혜통(惠...
- 화천군(강원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雲峯寺址), 간동면 오음리의 오음사지(梧陰寺址)가 있다. 유촌리 성불사지(成佛寺址)에는 화천성불사지석불입상(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15호)‧화천성불사지석장승(강원도 민속자료 제5호) 등이 있다. 유교문화재로는 화천읍 하리의 화천향교(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01호),...이칭별칭야시매
- 무안군(전라남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을 배향한 현경면 평산리의 평산사(平山祠), 운남면 연리의 충효단(忠孝壇)과 동암리의 사도세자제당(思悼世子祭堂, 일명 東巖廟), 무안읍 고절리의 병산사(柄山祠), 몽탄면 사창리의 우산사(牛山祠) 등이 있다. 장승으로는 몽탄면 대치리에 총지사지석장승(전라남도 민속...
고서·고문서(8)
- 萬物門2_邊箭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續通考》云: “弓手止知射長箭, 而不知射邊箭. 長箭去遲, 敵人易見, 故彼得以閃避, 且能拾取還射, 其利在彼. 邊箭去疾, 而敵人難窺, 況邊箭所到, 倍於長箭?” 又“唐 僖宗 乾符四年, 劉巨容以筒箭射殺賊.” 注云“箭長尺餘”. 然則上國已有此器耳.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五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禮安縣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七里戶一百七十四口七百四十九軍丁侍衛軍十八鎭軍三十九船軍五十八土姓六金李禹趙安姜宜仁續姓一金厥土塉風氣寒墾田九百八結【水田八分之一】土宜稻黍麥菽粟桑麻土貢蜂蜜黃蠟松子梨松茸芝草漆紙席獐皮銀口魚藥材人蔘黃芩白茯苓土産辛甘草邑石城【周回一百九十六步】驛一新驛【本朝太祖丙子始置】烽火一處祿轉山在縣西【西準...서명世宗實錄地理志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愛其神駿聊復畜之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山門聊借一間屋,大塊要成千里駿。 星瞳玉踝旣堪愛,野豆山蒭寧復吝。 金毛獅子佛亦馴,門法由來物性順。 都緣秀氣絶凡塵,自覺機心如冷燼。 軍持錫杖我何賴,霧鬛風鬃渠自振。 人間畜馬豈愛馬,暮勒金羈朝發軔。 177쪽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眞珠船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永川郡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東西澗谷諸流合于郡之西南隅郡在二水之內故以永爲名】四境東距安康三十里西距解顔四十里南距慈仁二十七里北距安德五十六里戶八百六十三口三千六百七十二軍丁侍衛軍二十九鎭軍九十船軍三百三十六土姓四皇甫申李尹來姓五宋金兪崔沈厥土肥塉相半墾田七千四百三十二結【水田十分之四强】土宜稻粟菽麥木綿桑麻土貢胡桃芝草漆紙席...서명世宗實錄地理志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구룡연기(九龍淵記)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暴也. 五曲在四淵之下, 廣三畒. 回流峻急, 爲過辨. 勢如轉轂, 聲如擊磬. 其上皆融丘脩巖句松繁藤, 攀之益深, 莫窮其窔. 少南有岸, 類鬴焉. 水奔其中, 徘徊久之, 不肯下. 波之大小與相撞舂, 前者盤舞, 後者飛跳, 如白鷺之降于淵. 淵底石長十餘尺, 頎然人立, 甚可愛. 日照其髮,...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황경원(黃景源)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주제어사전(1)
-
지석장 / 誌石匠 [경제·산업]
지석을 일정 규격으로 갈고 다듬은 다음, 지석에 글자를 새겨 깎아내는 일을 전문으로 하는 장인. 국장 등 장례시 혼유석 아래 묻을 지석에 지석소의 서사가 지문을 쓰면, 이를 연장으로 새겨 깎는 일을 맡았다. 영조 이전의 지석은 오석을 사용, <국조상례보편>의 명시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