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지석영” 에 대한 검색결과 23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2)

사전(6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학책을 탐독하였는데, 특히 관심을 둔 것은 영국인 제너(Jenner,E.)의 종두법(種痘法:천연두 예방법)에 관한 것이었다. [생애와 활동사항] 1876년(고종 13) 병자수호조약이 일본과 체결되면서 그 해 수신사로 의 스승인 박영선(朴永善)이 가...
    이칭별칭 공윤(公胤)| 송촌(松村)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8189 인물 () 1855 1935 조선 말기의 의사 및 국어학자. 본관은 충주(忠州). 자는 공윤(公胤), 호는 송촌(松村). 서울 낙원동 출신. 1876년제1차 수신사(修信使) 김기수(金...
    유형분류인물
  • 윤길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을 규탄하는 성균관 유생들의 권당(捲堂)이 있은 뒤에 대사성이 되었다. 1891년에는 () 사면조처에 반대하는 대간들의 상소가 연이어 올라오자 대사간에 임명되었지만, 그 역시 같이 상소하였으므로 곧 교체되었다. 그러나 다시 대사성ㆍ대사간ㆍ우승지를 천...
    이칭별칭 의경(宜卿)| 혜원(惠園)
  • 우두종계소(牛痘種繼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을 만드는데 성공하였으며, 1875년 초대 내무성 위생국장(衛生局長)이 됨으로써 우두종계소를 설치하였다. 1880년 제2차 수신사로 김홍집(金弘集)의 수행원으로 일본에 다녀온 ()이 이곳에서 직접 우두법을 익혔다. 1881년 조사시찰단(朝士視察團) 일행 또...
    유형분류기관단체
  • 박영선(朴永善)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으로 건너가서 도쿄의 준텐도(順天堂) 의원의 의사 오다키 도미조(大瀧富三)에게 종두법을 배우고, 구가 가쓰아키(久我克明)의 『종두귀감(種痘龜鑑)』을 가지고 돌아왔다. 이를 그의 제자인 ()에게 전해줌으로써 한국 종두법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1878년 무신...
    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72)

  • 63134 B063134 도배 島配 도서 일반 高宗實錄 二十八年(1878) 二月 고종실록_12802009_003 ○命島配罪人、李承喜放。
    출처전거高宗實錄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5432 B075432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高宗 32年 5月 8日_003 ○乙未五月初八日申時, 陛下御長安堂。 新差守令入侍時, 中丞金明圭, 右秘書郞李貞烈·朴勝驪, 內部大臣朴泳孝, 安東府使金奭中, 東萊府使, 聞慶府使申喆熙, 靑松府使南惟熙, 珍島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1555 B061555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高宗 26年 6月 10日_006 ... 亟施孥戮之典, 以雪神人之憤焉。 措辭見上 請薪智島圍籬安置罪人[], 竝令王府, 一體設鞫, 嚴覈得情, 夬正典刑焉。 措辭見上 請呂島加棘還發配罪人申箕善, 更加嚴鞫, 期於...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1580 B061580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高宗 26年 6月 21日_009 ... 昌寬亟施孥戮之典, 以雪神人之憤焉。 措辭見上 請薪智島圍籬安置罪人[]亦令王府, 一體設鞫, 嚴覈得情, 夬正典刑焉。 措辭見上 請呂島加棘還發配罪人申箕善更加嚴鞫, 期於得情...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州牧遠地定配罪人尹雄烈, 竝令王府設鞫得情, 亟正邦憲焉。 措辭見上 請謀反不道罪人昌寬亟施孥戮之典, 以雪神人之憤焉。 措辭見上 請薪〈智〉島圍籬安置罪人[], 亦令王府, 一體設鞫, 嚴覈得情, 夬正典刑焉。 措辭見上 請呂島加棘遠[還]發配罪人申箕善, 更加嚴鞫, 期於得情, 夬正...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20)

  • 白蓮翁書画會 (햐쿠렌 옹 서화회)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発起人:西村駿次、、李覚鍾、加藤灌覚、洪承考등
    기사명_원문白蓮翁書画會 | 기사명_한글햐쿠렌 옹 서화회 | 부제_원문百名へ頒布 | 부제_한글백 명에게 반포 | 게재일19220221 | 게재판 | 게재면05 | 게재단8-8
  • 敍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祐晳 以上 五月三十日 任中樞院副議長 正二品成岐運 任學部叅書官 學部主事柳基泳 任大韓醫院學監 大韓醫院敎官 免本官 安峽郡守李周魯 命增補文獻備考監印委員李定儀 任特務正校 前正校韓相儀 附鎭衛第八大隊 特務正校韓相儀 任學部主事金公植 以上五月三十一日
    게재일1907년 6월 4일 | 기사분류관보
  • 양정개선에 대한 기본적고찰 11 일본국의 식량관리상황을 보고 (3) 이상조 18 관능검사의 과학적관리 (하...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6
  • 일본국의 식량관리상황을 보고 (4) 이상조 6 농업주산지조성계획안에 대한 검토 11 주요농작물의 병해해설 (4) 권상택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6
  • 志士鄭在洪君遺族救助義捐金募集趣旨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族之所由也라凡我同志尙表同情인져 光武十一年七月一日 發 起 人 尹致오 徐相八 尹晶錫 柳東作 朴宗桓 金益남 劉병필 鄭凞燦 尹錫準 李成鎬 崔 岡 尹孝定 李鍾濬 収金期限自七月一日至同月三十日內 収金處所 鍾路皇城新聞社下漢洞帝國新聞社
    게재일1907년 7월 2일 | 기사분류광고

멀티미디어(60)

  • 고종이 총애한 의학자이자 국어학자 - _2주차_1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계보를통해 현대국어학의 학설과 학맥의성립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1주차. 근대 국어학의 상징 ‘주시경’ 2주차. 고종이 총애한 의학자이자 국어학자 - 3주차. 서구 언어학의 기술 방법론 도입 - 김규식,언더우드와 김희상 외 4주차.
    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고종이 총애한 의학자이자 국어학자 - _2주차_2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계보를통해 현대국어학의 학설과 학맥의성립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1주차. 근대 국어학의 상징 ‘주시경’ 2주차. 고종이 총애한 의학자이자 국어학자 - 3주차. 서구 언어학의 기술 방법론 도입 - 김규식,언더우드와 김희상 외 4주차.
    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고종이 총애한 의학자이자 국어학자 - _2주차_3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계보를통해 현대국어학의 학설과 학맥의성립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1주차. 근대 국어학의 상징 ‘주시경’ 2주차. 고종이 총애한 의학자이자 국어학자 - 3주차. 서구 언어학의 기술 방법론 도입 - 김규식,언더우드와 김희상 외 4주차.
    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고종이 총애한 의학자이자 국어학자 - _2주차_4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계보를통해 현대국어학의 학설과 학맥의성립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1주차. 근대 국어학의 상징 ‘주시경’ 2주차. 고종이 총애한 의학자이자 국어학자 - 3주차. 서구 언어학의 기술 방법론 도입 - 김규식,언더우드와 김희상 외 4주차.
    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고종이 총애한 의학자이자 국어학자 - _2주차_5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계보를통해 현대국어학의 학설과 학맥의성립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1주차. 근대 국어학의 상징 ‘주시경’ 2주차. 고종이 총애한 의학자이자 국어학자 - 3주차. 서구 언어학의 기술 방법론 도입 - 김규식,언더우드와 김희상 외 4주차.
    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기타자료(1)

  • 지영옥;池榮玉;(舊名)지택영일;(舊名)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4767 남한 경성 중앙고등보통학교 1-42 會員名簿 1941 77면 1. 卒業生;19) 19회(47명: 1928년 3월 졸업) 지영옥;池榮玉;(舊名)지택영일;(舊名)一 함남 북청군 新北...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앙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7)

  • / [교육/교육]

    항일기의 의사·문신·국어학자(1855-1935). 자는 공윤(公胤). 호는 송촌(松村). 1879년 부산 제생의원에 가서 종두법을 배웠다. 1883년 문과에 등제하여 성균관전적과 사헌부지평을 역임하였다. 1885년 <우두신설>을 지었다. 1899년 의학교가 설치되자

  • 한경원 / 韓敬源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7∼?). 1843년(헌종 9) 식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이후 공조판서·대사헌 등을 역임했다. 1887년에는 갑신정변의 주모자들과 내통한 ·지운영 등을 국문하도록 상소를 올리기도 했다.

  • 자전 / 字典 [언어/언어·문자]

    한자를 모아 일정한 순서로 배열하고 그 독법(讀法)과 의미 등을 해설한 책. 우리나라에서 자전이라는 이름으로 최초로 나타난 것은 1907년에 나온 ()의 <자전석요(字典釋要)>와 1925년 조선광문회(朝鮮光文會)에서 간행한 <신자전(新字典)>이다. 현재는

  • 국문연구소 / 國文硏究所 [언어/언어/문자]

    되었고, 이 문제를 해결하려는 개별적인 노력은 있었으나, 공동연구에 의한 통일된 문자체계를 확립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된 데 있었다. 그러나 직접적인 동기로서는 1905년 7월 ()이 소청한 <신정국문 新訂國文>을 정부가 재가하여 공포한 결과, 그 내용에 담긴

  • 자전석요 / 字典釋要 [언어/언어/문자]

    ()이 찬정한 우리 나라 최초의 한자자전. 상·하 2권. 1906년 저술을 완성한 뒤 1909년 7월 회동서관(匯東書館)에서 발행된 이래 1925년 제16판이 간행되었다. 8·15 광복 후에도 1945년 영창서관에서 재판이 간행되었고, 1975년 아세아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