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지석소” 에 대한 검색결과 2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3)

사전(17)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국장을 수행하는 국장도감(國葬都監)에서 지석의 제작을 담당하였던 부서. 조선 시대에 국상이 일어나면 국장의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국장도감을 임시로 만들었다. 국장도감은 일방(一方), 이방(二方), 삼방(三房) 등으로 구분하여 국장의 일을 분장하였는데 는 시책(諡...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가감역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分差監造官五員別工作繕工監假監役閔處重奉常寺副奉事金瑜, (국장1681/005ㄱ03~05)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지석장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지석을 일정 규격으로 갈고 다듬은 다음, 지석에 글자를 새겨 깎아내는 일을 전문으로 하는 장인. 국장 등 장례시 혼유석 아래 묻을 지석에 ()의 서사(書寫)가 지문(誌文)을 쓰면, 이를 연장으로 새겨 깎는 일을 맡았다. 영조 이전의 지석은 오석(烏石)을 사...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장척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사용한다. 또한 건물을 다 지은 다음에는 장척을 보관하여 훗날의 보수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도 하였다. 一爲行下事一二三房稟目據手決內各房假家及樻子具鎖鑰長牌剪板書板涼板登牀長尺玉板書案硯匣等進排亦爲有等以所入雜物磨鍊後錄爲去乎, (국장1701/305ㄱ02~04)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전선사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바뀐 것이다. 常司主事閔泳一光武元年丁酉十月十六日分差二十八日至監造官分典膳司主事李恒冕開國五百六年丁酉七月初八日任光武元年丁酉十月二十八至都廳雇員安準喆, (국장1895/009ㄱ01~03)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고서·고문서(6)

  • 產,魚ㆍ鼈ㆍ蓮ㆍ芡ㆍ茭ㆍ蒲之屬,爲之厲守,以補民役,不可自取以養己。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310 牧民心書 卷十一 ITKC_MP_0597A_1310_030_0090 產,魚ㆍ鼈ㆍ蓮ㆍ芡ㆍ茭ㆍ蒲之屬,爲之厲守,以補民役,不可自取以養己。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
    권차명牧民心書 卷十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고종태황제]어장주감의궤([高宗太皇帝]御葬主監儀軌)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반우한 사실까지 진행된 상세 일정을 열거했다. 「좌목(座目)」은 어장주감에 소속된 총호원 자작 민영규, 제조 자작 민영휘 등 3인, 도청이원용 등 2인, 낭청김승진 등 7인, 감조원민준식 등 26인, 우주소감조원이병규 등 3인, 감조원심의수 등 5인, 별감동장호진...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순종효황제]어장주감의궤([純宗孝皇帝]御葬主監儀軌)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반우한 사실까지 진행된 상세 일정을 열거했다. 「좌목(座目)」은 어장주감에 소속된 총호원 후작 윤택영, 제조 자작 윤덕영 등 4인, 도청김영진 등 2인, 낭청김순한 등 7인, 감조원홍붕표 등 9인, 우주소감조원유억겸 등 6인, 감조원유승우 등 6인, 별감동장호진...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次(王天使)【(敬民)】(箕子廟)賦韻【幷序○壬午】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春秋毖祀。 而西華是箕子始封之地, 亦有祠揭虔, 無閒海內外焉。 皇明萬曆十年冬, 給事中儆吾王先生奉命宣詔于我國。 先生是西華人, 少時鍊玉于洪範堂, 紬繹疇範之旨, 薰沐仁聖矣。 今於萬里之外, 適到箕子之邦, 瞻仰廟貌, 徘徊興感, 遂賦陳其事。 一筆轉環, 不加點綴, 而辭富旨遠, 尊...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城說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此車旣成,驅,燕尾纔擧,牛舌至地,衝入石根,勢若千金,【千金,支來也】 愈動愈衝,如舌餂取。餂石旣全,乃抑其尾,前高後低,勢如下阪,【言石流如此】 縱木圜滑,石流至限,【限表也】 迺整迺縛。爰策我犍,後勢旣重,伏兔仰臥,蹴輪前輾,機激奮迅,且擎且抑,寸跼尺進。盖其重心,【擧重家有全論】 倐前倐...
    권차명文集 卷十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

    국장을 수행하는 국장도감에서 지석의 제작을 담당하였던 부서. 조선 시대에 국상이 일어나면 국장의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국장도감을 임시로 만들었다. 국장도감은 일방, 이방, 삼방 등으로 구분하여 국장의 일을 분장하였는데 는 시책, 시보, 애책, 증옥, 증백 등을

  • 지석장 / 誌石匠 [경제·산업]

    지석을 일정 규격으로 갈고 다듬은 다음, 지석에 글자를 새겨 깎아내는 일을 전문으로 하는 장인. 국장 등 장례시 혼유석 아래 묻을 지석에 의 서사가 지문을 쓰면, 이를 연장으로 새겨 깎는 일을 맡았다. 영조 이전의 지석은 오석을 사용, <국조상례보편>의 명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