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지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1,58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1,344)
사전(6,172)
- 민영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민영환 사진 1861(철종 12)-1905. 조선 말기의 문신, 순국지사.이칭별칭 문약(文若)| 계정(桂庭)| 충정(忠正)
- 지사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감사를 표함. 節扇簡幅之. 謹領知謝, 유득일(兪得一), 5-145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의 관직. [개설] 여러 관부에 설치되어 있었으며, 소속 관부에 따라 지성사(知省事)‧지원사(知院事)‧지부사(知部事)‧지부사(知府事)‧지사사(知司事)‧지관사(知館事) 등으로 일컬어지기도 했고, 품계는 일정하지 않았다. [내...이칭별칭지성사|지원사|지부사(知府事)|지부사(知部事)|지사사|지관사
- 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돈녕부‧의금부‧경연‧성균관‧춘추관‧중추부‧훈련원의 정2품 관직. [내용] 정원은 돈녕부에 1원, 의금부에 1원, 경연에 3원, 성균관에 1원, 춘추관에 2원, 중추부에 1원, 훈련원에 1원 등이다. 이 관직은 돈녕부에 소속된 관원...
- 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의 관직. [내용] 지사서(知事署)의 장으로 관등은 주임관(奏任官)이다. 1883년 (고종 20) 창설된 감리서(監理署)와 감리직을 일시 폐치, 군수에 일임한 뒤 대외관계업무가 증대됨에 따라 1896년 1월 지사서관제에 의하여
단행본(4)
- 충청지역 재지사족의 학문과 활동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저자 :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 출판사 :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 출판일 : 2014.12.28분야생활 | 유형단행본죽찬 강주의 한시 연구 雪峰 姜栢年의 漢詩 硏究 復泉 姜鶴年家의 古文書 現況과 性格 震澤 申光河의 《四郡紀行》 硏究 南塘 韓元震의 학문적 소통과 교유 18~19세
- 고문서집성 100 - 김천 직지사, 예천 용문사 편 - [한국고문서 기초연구 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1.02.28분야역사 | 유형단행본범례 원색도판 해제 : 사찰 고문서의 종류와 직지사(直指寺)‧용문사(龍門寺) 고문서의 자료적 가치 자료목록1 : 김천 직지사 고문서 자료목록2 : 예천 용문사 고문서
- 시무(時務)의 역사학자 강덕상 -자이니치로서 일본의 식민지사를 생각한다 [역사적 화해 가능성 모색을 위한 한국학-체험⋅기억⋅상생의 스펙트럼 - | 一橋大學 (Hitotsubashi University)]저자 : 이규수 ... | 출판사 : 어문학사 | 출판일 : 20211031유형단행본히토츠바시대학 한국학연구센터 번역총서 시리즈로 기획되었다. 센터에서는 각 분야별 학술 연구 활동의 일환으로 ‘체험과 기억의 동아시아 근대’를 개최하고 있다. 이 모임은 제국과 식민지 공간에서 치열한 생을 영위한 원로 학자(역사학자, 재일한국인, 문화인 등)를 초빙하여 ...
- 〈당악문헌〉 표점본, 영인본 [호남지역 주요 문중문헌 조사 및 연구 | 전남대학교]저자 : 김대현(전남대학교 호남한문학연구실 책임교수), 권수용(전남대학교 호남한문학연구실 전임연구... | 출판사 : 정미문화사 | 출판일 : 2010.04.30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海南尹氏文獻卷之二 正郞公 駱川公 海南尹氏文獻卷之三 副正公 滄洲公 海南尹氏文獻卷之四 忠憲公 一 海南
논문(2)
- 21_후창 김택술(金澤述)의 간재 성리설 계승과 그 의미 [심설논쟁 아카이브 구축 -자료의 수집‧발굴, 교감‧표점, 해제, 해석- | 한국전통문화대학교]저자 : 김근호 | 게재정보 : 공자학
- 통일신라 범종 명문의 서풍 변화 [국내외 출토 한국 고대 역사자료의 총집성과 통합 DB 구축 | 동국대학교]저자 : 정현숙 | 게재정보 : 書藝學硏究
고서·고문서(21,841)
- 抵寺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50 詩集 卷五 ITKC_MP_0597A_0050_010_0350 抵寺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nk?D...권차명詩集 卷五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之四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문화‧생활 작품 조선 燕巖集 卷之五 潘南朴趾源美齋著 映帶亭賸墨○尺牘 之四 之四 『詩』、『書』言梅, 論實不論華, 吾輩今作梅花詩, 評香比色, 咀英啜華之不足, 又從而傳神寫影, 華之又華, 去眞逾遠. 曾謂泰山不如林放乎?대표표제어之四 | 목차映帶亭賸墨○尺牘
- 쥭지사 竹枝詞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4126 잡가 악부[고대본] 16001 1930년경 이용기 필사본 쥭지사 竹枝詞 [60] 건곤(乾坤)이 불로월장(不老月長在)니 젹막강산(寂寞江山)이 금년(今百年)이라 헤헤이요이요이야헤 일심졍염은 극낙나무하미산이로구나 야야로너니나야...구분잡가 | 편저자이용기
- 쥭지사 竹枝詞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1108 잡가 增訂日鮮 新式雜歌 12023 1922 朴承曄 京城 永昌書館 發行 朴承曄 李種哲 四十五錢 쥭지사 竹枝詞 [14] 건곤(乾坤)이 불로월장(不老月長在)니 젹막강산(寂寞江山)이 금년(今百年)이라 어이오이이오이히오이...구분잡가 | 편저자朴承曄
- 죽지사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0363 잡가 증보신구잡가 12008 1915 노익형 한성서관 노익형 방성식 三十錢 죽지사 [9] 건곤이 불노월장니 젹막강산 금년이라 어이오 이이오 이히으 이아에 일님졍념은 극낙나하무무아 미상이로구나 나니나 노나니구분잡가 | 편저자노익형
구술자료(67)
- 국지사 박상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광태씨가 집안 이야기를 하고 나자 내가 하나 더 하겠다면서 시작했다. *조사일시1982-08-10 | 조사장소전라북도 옥구군 임피면 | 제보자강지섭
- 숙종대왕과 갈지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야기를 잠시 쉬고 제보자에 대해 묻고나서 이야기를 더 해주십사 했더니 한마디만 더 하고 집에 가야겠다고 하면서 이야기를 시작했다. 주위에 청중 가운데 한 분이 다른 할아버지를 가리키면서 이 사람 시키라고 했으나 제보자는 거기에 관계없이 이야기를 이어갔다.*조사일시1982-08-01 | 조사장소전라북도 군산시 대명동 | 제보자정봉원
- 면장은 면장답고, 군수는 군수답고, 도지사는 도지사답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보자들과 청중 대부분이, 시간이 흘러옴에 따라 많은 이야기를 듣고 자랐음에도 불구하고 기억을 해내시질 못했다. 그래서 조사자가 그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주면서 기억을 상기시키고 하는 와중에 원님의 현명한 재판 같은 이야기를 묻자, 그 비슷한 이야기를 아신다면서 차분하...조사일시2010. 01. 26 | 조사장소경상북도 문경시 산양면 위만1리 마을회관 | 제보자변남구
- 일이 대사(一耳大師)보다 나은 지사(地師) 곽상(郭象)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 상황 없음*조사일시1980-03-16 | 조사장소충청남도 대덕군 신탄진 | 제보자오영석
- 사명당 직지사 들어갈 때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81-01-22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무안면 | 제보자구장회
기초학문(84)
- 에너지사용기자재의 효율향상 제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종영, 게재일 : 201358491 이종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비교공법학회 2013 에너지사용기자재의 효율향상 제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유형논문 | 게재일2013
- 복지사회 구현과 평생교육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권영완, 게재일 : 200106449 권영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사회복지개발연구원 2001 복지사회 구현과 평생교육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유형논문 | 게재일2001
- 국제주의와 유교적 지사 의식의 결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주현, 게재일 : 200412031 김주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제한인문학회 2004 국제주의와 유교적 지사 의식의 결합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유형논문 | 게재일2004
- 일본의 생산레짐의 변화와 복지사회로의 이행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영필, 게재일 : 200650649 김영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醫療福祉問題硏究會 2006 일본의 생산레짐의 변화와 복지사회로의 이행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유형논문 | 게재일2006
- 일본어교육용 웹 이미지사전의 효과성 검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준서, 게재일 : 201253859 이준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일본연구소 2012 일본어교육용 웹 이미지사전의 효과성 검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2,468)
- 李氏思量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리쥰용씨가 임의부산항에 도착 말은이우에 긔얏거니와 동씨의 입셩 일 아즉예뎡치 안이얏다며 동씨 입셩후라도 한갓황족의 격을 쥰슈야 졍치변에 간셥이업슬쥴로 긔다더라게재일1907년 7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押上質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진쥬군슈 림병항씨가 군류 장두용을 징치건으로 장가가 도경무셔와 판소에 알쇼야 시비가된말은 이왕에대강 말얏거니와 그건으로 법부에셔 도판쇼 검의보고를 인야평리원으로 훈령야 쟝두용을압상야림군슈와 질사케 라얏다더라게재일1907년 3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志士設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미국다 모쳐에 잇 한인들이 임의 본을 구취야 국한문쥬를 △본에 쳥구얏난그 쥬가 도착되로 잡지를 발간터인데 그편즙무를 담당이난 셔필 리승만량씨와 기타 슈인이라더라게재일1907년 4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志士設校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쥬 화양방 상디에 유지인사 김종녀 박한영 졔씨의 쥬션으로 광명학교를 셜립얏 그동리 삼십여호에셔 츌렴야 경비를쓰고 고명교를 연빙야 교육상에 실효가 잇다더라게재일1907년 6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閔氏辞職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학부 학무과장 민건식씨 무삼층졀이 잇지 신병이 잇다칭고 직쳥원얏다더라게재일1907년 8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9)
- 근로자 후생복지에 힘쓰고 있는 현대조선이 울산종합병원 개원 1주년을 기념하여 근로자와 가족들에게 큰 혜택을 주고 있다.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76년 10월 25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김천 문당동 유적(서지사항 없음) kk4-0156_#1 유구 원색사진1. 2지구 1호 목관묘 전경 2015-02-10_0.7019007_원색사진1. 2지구 1호 목관묘 전경.jpg kk4-0156_#2 유구 원색사진6. 2지구 22호제목김천 문당동 유적(서지사항 없음)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중부내륙고속도로 및 충주지사건설공사부지내 충주 수룡리유적 h2-0121_#1 유구 [原色寫眞 1] 調査後 全景(空中撮影) h2-0121_1_2015-05-20_2550_[原色寫眞 1] 調査後 全景(空中撮影).JPG h2-0121_#2 유제목중부내륙고속도로 및 충주지사건설공사부지내 충주 수룡리유적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1954년 10월 29일 진주에서는 이선근 문교부장관과 신현돈 경북도지사 등 내외귀빈과 지역민들이 참석한 가운데 제5회 영남예술제가 열렸다. 예술제를 마친 후 논개사당 앞에서는 의기창렬회가 주최하는 논개창렬비 제막식이 열렸다.자료구분리버티뉴스 | 제작년도1954년 11월 | 제작주한미공보원
- 3_2015-04-30_4389_사진7. 금동성 내성 북쪽 성벽 나구역 망대6 석축 모습(동→서).jpg kk4-0187_1 유물 지사진57. 금돌성 외성 내 건물지 27 주변 수습 유물 와편 kk4-0187_1_1_2015-04-30_5624_지사진제목상주 금돌성 지표조사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697)
- 최지사 훈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최지사 훈시 최지사 훈시 崔知事 訓示 교육 문헌 교육행정 교육이념 교육행정 중앙교육행정 잡...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사료철명부산교육
- 표지사진-김기순 작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표지사진-김기순 작 표지사진-김기순 작 表紙寫眞-金基淳 作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민병률 | 사료철명부산교육
- 김천 문당동 유적(서지사항 없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kk4-0156 유구 김천 문당동 유적(서지사항 없음) 2008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경상북도 김천시 삼락동 513외 경상북도 김천시 ㎡ 김천 문당동유적은 행정구역상 경상북도 김천시 문당동 266번지 일대이다....발행연도2008 | 발굴지역경상북도
- 가야의 아지사주 등이 왜에 귀부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가야의 아지사주 등이 왜에 귀부하다. 교류담당 409년(己酉/신라 실성이사금 8/고구려 광개토왕 18 永樂 19/백제 전지왕 5/東晉 義熙 5/倭 反正 4)...대표표제어가야의 아지사주 등이 왜에 귀부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409년(己酉/신라 실성이사금 8/고구려 광개토왕 18 永樂 19/백제 전지왕 5/東晉 義熙 5/倭 反正 4)
- 가야의 아지사주 등이 왜로 가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가야의 아지사주 등이 왜로 가다. 교역물품 409년(己酉/신라 실성이사금 8/고구려 광개토왕 18 永樂 19/백제 전지왕 5/東晉 安帝 義熙 5/倭 反正天皇...대표표제어가야의 아지사주 등이 왜로 가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409년(己酉/신라 실성이사금 8/고구려 광개토왕 18 永樂 19/백제 전지왕 5/東晉 安帝 義熙 5/倭 反正天皇 4)
연구과제(8)
-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김인식 | 중앙대학교 | 2012 | 국내 | 서울
-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3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김상기 | 충남대학교 | 2015 | 국내 | 대전
-
조선 후기 王陵 擇地의 과정과 風水: 17-18세기를 중심으로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박권수 | 충북대학교 | 2013 | 국내 | 충북
-
근대 해외 한인의 국어교육 연구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윤금선 | 동덕여자대학교 | 2013 | 국내 | 서울
-
연행록 정본화 및 DB 구축 (2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이희목 | 성균관대학교 | 2015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233)
-
지사 / 知事 [역사/근대사]
구한말 지사서(知事署)의 최고 책임자. 관등은 주임관이다. 1883년 창설된 감리서와 감리직을 일시 폐치, 군수에 일임한 뒤 대외관계업무가 증대됨에 따라 1896년 1월 지사서관제에 의하여 각 개항장과 통상구 소재지로 관찰부청이 없는 경우 설치된 지사서의 최고책임자이
-
지사 / 知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돈녕부·의금부·경연·성균관·춘추관·중추부·훈련원의 정2품관직. 정원은 돈녕부에 1원, 의금부에 1원, 경연에 3원, 성균관에 1원, 춘추관에 2원, 중추부에 1원, 훈련원에 1원 등이다. 이 관직은 돈녕부에 소속된 관원 외에는 모두 타관이 겸직하였다.
-
동지사 / 同知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지사의 보좌역을 맡았던 종2품 관직. 돈녕부에 1인, 의금부에 1∼2인, 경연에 3인, 성균관에 2인, 춘추관에 2인, 중추부에 8인을 두었다. 직함은 돈녕부의 동지사일 경우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라고 표기하였다. 돈녕부 이외의 제아문의 동지사는 모두
-
죽지사 / 竹枝詞 [문학/한문학]
악부시의 일종. 죽지란 원래 파유(巴歈)지역 일대에 유포된 민가(民歌)의 일종이었다. 이 죽지사는 작자의 순수 서정이 아니라 건평이란 특정 지역의 민가와 민풍을 근거로 지어졌다. 읊조리는 시가 아니라 가창(歌唱)을 전제한 노랫말로 지어졌다. 개별작품의 양식은 7언절
-
첨지사 / 僉知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중추부의 정3품 당상관직. 정원은 8인. 8인의 첨지사 가운데 3인은 오위의 위장(衛將)으로 체아직, 그 밖에 의관이나 역관 등은 30개월, 노인직으로서 품계를 늘려서 임명되는 자는 3개월 동안 중추부에 속할 수 있었다. 그리고 때로 정원 이외에도 명예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