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지봉유설” 에 대한 검색결과 2,50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485)

사전(2,44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인조 12)에 출간되었다. 이것을 숭정본(崇禎本)이라 한다. [내용] ≪≫의 권두에 김현성(金玄成)의 제문과 이수광의 자서가 있다. 권말에 이식(李植)의 발문이 있다. 이수광은 자서에서 “우리 나라가 예의의 나라로서 중국에 알려지고, 박학하고 아존...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614년 이수광(李睟光, 1563-1628)이 편찬한 일종의 백과사전.
    정의1614년 이수광(李睟光, 1563-1628)이 편찬한 일종의 백과사전.[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Jibong yuseol | MR표기Chibong yusŏ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8186 문헌 () 1614년에 조선 중기의 학자 이수광(李睟光)이 편찬한 백과전서. 20권 10책. 목판본. 서문에 의하면 조선은 예의로 중국에 알려진 선비가 많지만 전기가 없고 찾을 만한 문헌이...
    유형분류문헌
  • 전우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기인ㆍ환술가(幻術家). [내용]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의 「한죽당필기(寒竹堂筆記)」에는, 가정연간(嘉靖年間, 1522∼1566)에 역질을 도술로 예방하였다고 하며, 『()』에는 본래 서울 출신...
  • 청구시화습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또 벗 박학주(朴鶴洲)의 말에 의하면 중국의 전적에 밝으면서도 우리 나라의 사실에 어두운 기존의 병폐에서 벗어난 의미가 있다고 한다. 「청구시화습유고서」의 전편은 네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233화까지는 이수광(李睟光)의 『()』을 전재한 것이다....
    이칭별칭청구시화|석사습유고

고서·고문서(35)

기초학문(6)

  • ()의 한문학적 업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웅, 게재일 : 2004
    12617 최웅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진단학회 2004 ()의 한문학적 업적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에 나타난 李白 詩 비평 양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지영, 게재일 : 2012
    51694 김지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어문학연구회 2012 《》에 나타난 李白 詩 비평 양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李睟光의 〈〉과 조선 후기 名物考證學의 전통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안대회, 게재일 : 2004
    09731 안대회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진단학회 2004 李睟光의 〈〉과 조선 후기 名物考證學의 전통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滄浪詩話≫와 ≪≫의 唐詩批評 比較硏究 —李白과 杜甫에 대한 評論을 中心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순철, 게재일 : 2014
    58914 박순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인문학회 2014 ≪滄浪詩話≫와 ≪≫의 唐詩批評 比較硏究 —李白과 杜甫에 대한 評論을 中心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에 나타난 李睟光의 對外認識― 대외인식 형성의 배경과 평가 문제를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한명기, 게재일 : 2004
    07992 한명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진단학회 2004 〈〉에 나타난 李睟光의 對外認識― 대외인식 형성의 배경과 평가 문제를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link.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04

신문·잡지(1)

  • 해동회고시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琴谷), (), 감문국(甘文國), 조분왕(助賁王), 우로(于老), 개령현(開寧縣), 감문산(甘文山), 유산(柳山), 장릉(漳陵), 개령현, 웅현(熊峴), 장부인(獐夫人), 효왕(孝王), 금효왕(金孝王) 조양보번역문.pdf
    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12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21)

  • / [종교·철학/유학]

    1614년(광해군 6) 이수광이 편찬한 일종의 백과사전. 20권 10책. 목판본. ≪≫의 권두에 김현성의 제문과 이수광의 자서가 있다. 권말에 이식의 발문이 있다. ≪≫은 권1 천문·시령·재이, 권2 지리·제국, 권3 군도·병정, 권4 관직, 권5∼7

  • 사명당설화 / [문학/구비문학]

    대한 민족적 적개심과 민족적 긍지를 반영하고 있다.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에는 사명당영당비(四溟堂影堂碑)가 있는데 이 비는 국가의 큰 일이 날 때마다 몇 말씩의 땀을 흘린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문헌에 기록된 사명대사의 설화로는 『()』·『청야만집(靑野謾輯

  • 수월정가 / 水月亭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지어진 작가 미상의 가사. 수월정의 주인인 송인(宋寅)이 작가가 아닌가 추측되기도 하나 확인된 바 없다. 이수광의 『()』 권14, 문장부 7의 ‘가사(歌詞)’조에서 긴노래로 「감군은」·「한림별곡」·「어부가」가 가장 오래 되었고, 근세에는

  • 안주 / 按酒 [생활/식생활]

    로 삼삼하게 간을 한다. ≪ ≫에 고추가 처음으로 유입되었을 때에 주막의 소주 안주로 풋고추가 즐겨 사용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 고추장 / ─醬 [생활/식생활]

    메줏가루에 질게 지은 밥이나 떡가루, 또는 되게 쑨 죽을 버무리고 고춧가루와 소금을 섞어서 만든 장. 이수광(李睟光)의 『』에는 고추가 일본에서 도입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16세기 말에 전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고추장 제조법이 기록된 최초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