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지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1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04)
사전(174)
- 지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158년(의종 12)∼1210년(희종 6). 고려 중기의 승려. [개설] 성은 정씨(鄭氏). 자호는 목우자(牧牛子). 지눌은 법명. 황해도 서흥(瑞興) 출신. 아버지는 국학(國學)의 학정(學正)을 지낸 광우(光遇), 어머니는 개흥군(開...이칭별칭 목우자(牧牛子)| 불일보조(佛日普照)
- 성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서 중이 되었다고 한다. 일설에는 금나라 왕후가 병이 들었으나 백약이 무효하였는데 지눌(知訥)이 선정(禪定)에 들어 이를 관찰하고 신통력으로 날아가서 그 병을 치료하자, 왕이 제3왕자 담당을 제자로 삼게 하였다고 한다. 또, 일설에는 금나라 장종(章宗)이...이칭별칭 담당(湛堂)|월계(越溪)
- 경절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불교 수행시 단계적인 절차를 거치지 않고, 본래면목(本來面目:중생이 본래 가지고 있는, 인위가 조금도 섞이지 않은 마음)을 터득하여 바로 부처의 경지에 오르게 하는 법문(法門). [내용] 고려 중기의 지눌(知訥)이 최초로 이 이론을 정립...
- 근대신어 : 제나스(芝訥)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49568 제나스 자항 芝訥 芝訥及結荃資本補助金 제나스와 지제네 자본보조금 奧國政府一歲出入豫算表議案說明 漢城旬報 23 博文局 1884 5 11 19 인명출전漢城旬報[博文局] | 계통분류 [과학지식] 인명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목우자수심결부사법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67년(세조 13) 간경도감에서 간행한 국역본 선이론서(禪理論書). [내용] 1권 1책. 목판본. 보물 제934호. 이 판본은 고려시대 지눌(知訥)의 저술인 『수심결』을 세조의 명에 의하여 비현합(丕顯閤)에서 구결(口訣)하고 신미(信...
고서·고문서(32)
- 答尹无咎【持訥】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180 文集 卷十八 ITKC_MP_0597A_0180_030_0870 答尹无咎【持訥】 정약용(丁若鏞) 書簡類|書簡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권차명文集 卷十八 | 문체書簡類|書簡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목우자수심결(牧牛子修心訣)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불교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고려국보조선사어록(高麗國普照禪師語錄)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불교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계초심학인문(誡初心學人文)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불교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도배(島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53681 B053681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正祖 19年 6月 19日_027 ○朴齊家, 以義禁府言啓曰, 全羅道羅州牧黑山島島配罪人李顯道, 慶尙道巨濟府充軍罪人洪龍鎭, 江原道鐵原府逐送罪人尹持訥, 放, 黃海道長淵縣定配罪人樂述, 移配?德事, 命下矣, 李顯道·洪龍鎭...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12)
- 지눌과 윌리엄 제임스 - 마음의 현상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영필, 게재일 : 201242962 김영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2 지눌과 윌리엄 제임스 - 마음의 현상학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지눌의 '깨달음의 마음공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568901 한국연구재단 한국교육사학회 2015 지눌의 '깨달음의 마음공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유형논문 | 게재일2015
- 지눌과 양명의 사유체계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덕진, 게재일 : 200634806 이덕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불교학회 2006 지눌과 양명의 사유체계에 대한 비교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유형논문 | 게재일2006
- 지눌의 삼학 수행에 대한 원불교의 수용과 변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667784 한국연구재단 한국교육사학회 2016 지눌의 삼학 수행에 대한 원불교의 수용과 변용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유형논문 | 게재일2016
- 普照知訥의 空寂靈知와 王陽明의 良知의 비교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방룡, 게재일 : 201453396 김방룡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동서철학회 2014 普照知訥의 空寂靈知와 王陽明의 良知의 비교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392)
- 고려지눌진심직설(高麗知訥眞心直說)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고려지눌진심직설(高麗知訥眞心直說) 高麗知訥眞心直說 고려지눌진심직설 유통서지 高麗知訥眞心直說 1卷 禪籍志目錄 大日本佛敎全書 p.2...대표표제어고려지눌진심직설(高麗知訥眞心直說) | 대표서명高麗知訥眞心直說 | 한글서명고려지눌진심직설 | 서지형태유통서지
-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15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151 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형태서지 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知訥 著 高麗 韓國 鉛活字本 ...대표표제어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151 | 대표서명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 한글서명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 서지형태형태서지
- 원돈성불론(圓頓成佛論) 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원돈성불론(圓頓成佛論) 1 圓頓成佛論 원돈성불론 형태서지 知訥 高麗 韓國 木板本 [發行地不明] [發行處不明] [刊寫年未詳] 東裝 1冊(零本) ...대표표제어원돈성불론(圓頓成佛論) 1 | 대표서명圓頓成佛論 | 한글서명원돈성불론 | 서지형태형태서지
- 원돈성불론(圓頓成佛論) 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원돈성불론(圓頓成佛論) 2 圓頓成佛論 원돈성불론 형태서지 知訥 高麗 韓國 木板本 寧邊 般若庵 1578年(宣祖 11) 東裝 2卷1冊 24.5x...대표표제어원돈성불론(圓頓成佛論) 2 | 대표서명圓頓成佛論 | 한글서명원돈성불론 | 서지형태형태서지
- 원돈성불론(圓頓成佛論) 3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원돈성불론(圓頓成佛論) 3 圓頓成佛論 원돈성불론 형태서지 知訥 著 高麗 韓國 木板本 報恩 大庵 1579年(宣祖 12) 東裝 2卷1冊 26.4...대표표제어원돈성불론(圓頓成佛論) 3 | 대표서명圓頓成佛論 | 한글서명원돈성불론 | 서지형태형태서지
멀티미디어(188)
- 대를 고민했던 인물들의 삶과 그들의 선구자적인 업적을 살펴봄으로서 한국불교를 이해할 수 있다. 1주차. 고려불교 어떻게 볼 것인가? 2주차. 화엄교학의 대표자 균여 3주차. 동아시아 불서의 확산, 의천 4주차. 한국선의 탄생, 지눌 5주차. 임제선의 태고보우, 나옹강좌제목고려 조선의 불교 인물 | 강의자Kang Hosun
- 대를 고민했던 인물들의 삶과 그들의 선구자적인 업적을 살펴봄으로서 한국불교를 이해할 수 있다. 1주차. 고려불교 어떻게 볼 것인가? 2주차. 화엄교학의 대표자 균여 3주차. 동아시아 불서의 확산, 의천 4주차. 한국선의 탄생, 지눌 5주차. 임제선의 태고보우, 나옹강좌제목고려 조선의 불교 인물 | 강의자Kang Hosun
- 대를 고민했던 인물들의 삶과 그들의 선구자적인 업적을 살펴봄으로서 한국불교를 이해할 수 있다. 1주차. 고려불교 어떻게 볼 것인가? 2주차. 화엄교학의 대표자 균여 3주차. 동아시아 불서의 확산, 의천 4주차. 한국선의 탄생, 지눌 5주차. 임제선의 태고보우, 나옹강좌제목고려 조선의 불교 인물 | 강의자Kang Hosun
- 대를 고민했던 인물들의 삶과 그들의 선구자적인 업적을 살펴봄으로서 한국불교를 이해할 수 있다. 1주차. 고려불교 어떻게 볼 것인가? 2주차. 화엄교학의 대표자 균여 3주차. 동아시아 불서의 확산, 의천 4주차. 한국선의 탄생, 지눌 5주차. 임제선의 태고보우, 나옹강좌제목고려 조선의 불교 인물 | 강의자Kang Hosun
- 대를 고민했던 인물들의 삶과 그들의 선구자적인 업적을 살펴봄으로서 한국불교를 이해할 수 있다. 1주차. 고려불교 어떻게 볼 것인가? 2주차. 화엄교학의 대표자 균여 3주차. 동아시아 불서의 확산, 의천 4주차. 한국선의 탄생, 지눌 5주차. 임제선의 태고보우, 나옹강좌제목고려 조선의 불교 인물 | 강의자Kang Hosun
기타자료(6)
- (연재교양) 우리 교육 선각자 지눌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연재교양) 우리 교육 선각자 지눌 (연재교양) 우리 교육 선각자 지눌 (연재교양) 우리 교육 선각자 知訥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론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박선영 | 사료철명문교행정
- (연재교양) 한국교육고전(4) 수심결 지눌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연재교양) 한국교육고전(4) 수심결 지눌 (연재교양) 한국교육고전(4) 수심결 지눌 (연재교양) 한국교육고전(4) 修心訣 知訥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학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박은목 | 사료철명문교행정
- (연재교양) 한국교육고전(3) 정혜결사문 지눌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연재교양) 한국교육고전(3) 정혜결사문 지눌 (연재교양) 한국교육고전(3) 정혜결사문 지눌 (연재교양) 한국교육고전(3) 定慧結社文 知訥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학...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박은목 | 사료철명문교행정
- 고구려 장수왕(長壽王)이 신라에 사신을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1 紀異 1 奈勿王[一作那密王] 金堤上) 【원문】 至訥祗王即位三年己未 句麗長壽王 遣使來朝云 寡君聞 大王之弟寳海 秀智才藝 願與相親 特遣小臣懇請 王聞之幸甚 因此和通 命其弟寳海 道於句麗 以内臣金武謁為輔 而送之 長壽王又留而不送 (三國遺事 1 紀異 1 奈勿王[一作那密王]...대표표제어고구려 장수왕(長壽王)이 신라에 사신을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412년(壬子/신라 실성이사금 11/고구려 광개토왕 21 永樂 22/백제 전지왕 8/東晉 義熙 8/倭 允恭 1)
- 고구려 장수왕(長壽王)이 사신을 보내오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一作那密王] 金堤上) 【원문】 至訥祗王即位三年己未 句麗長壽王 遣使來朝云 寡君聞 大王之弟寳海 秀智才藝 願與相親 特遣小臣懇請 王聞之幸甚 因此和通 命其弟寳海 道於句麗 以内臣金武謁為輔 而送之 長壽王又留而不送 (三國遺事 1 紀異 1 奈勿王[一作那密王] 金堤上) 눌지왕의...대표표제어고구려 장수왕(長壽王)이 사신을 보내오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419년(己未/신라 눌지마립간 3/고구려 장수왕 7/백제 전지왕 15/東晉 元熙 1/倭 允恭 8)
주제어사전(13)
-
지눌 / 知訥 [종교·철학/불교]
고려 중기의 승려. 국사로 추증되었다. 정씨, 1158년에 태어나 1210년에 죽었다. 8세때 선문구산의 하나인 사굴산파에 속해 있던 종휘 밑에서 출가, 1182년 승과에 급제하였다. 그는 선종의 계보를 잇고 있지만 참선수행만을 주장하지 않고 교학의 연구도 병행하는 정
-
수심결 / 修心訣 [종교·철학/불교]
불교문헌. 마음을 닦는 방법과 마음이란 무엇인가를 분석한 책이다. 저자는 고려 보조국사 지눌이다. 저술연대는 분명하지 않지만 1198년 이후로 추정된다. 이 책은 서분, 정종분, 유통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의 중심사상은 돈오점수사상과 정혜쌍수사상이라고 할 수 있
-
정혜쌍수 / 定慧雙修 [종교·철학/불교]
선정과 교학을 함께 닦는 것. 보조국사 지눌이 주장했다. 지눌이 살았던 고려 중기에는 선종과 교종이 나뉘어진 채 서로 자신들의 우위를 주장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눌은 자신이 선문구산 가운데 하나인 사굴산파의 승려로서 선종의 계보를 잇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선종에 얽매
-
목우자수심결언해 / 牧牛子修心訣諺解 [언어/언어/문자]
고려 중기의 승려 지눌(知訥)의 저술인 『수심결(修心訣)』을 신미(信眉)가 언해한 책. 『수심결』은 지눌이 세속화된 불교이념의 말폐적(末弊的) 현상에 대해서 선종(禪宗)과 교종(敎宗)의 대립적인 입장을 지양하고 인간의 참다운 모습을 밝히고자 엮은 책이다. 동궁의 편당
-
계초심학인문 / 誡初心學人文 [종교·철학/불교]
고려시대 승려 지눌이 승려가 된 이의 수도생활을 위하여 저술한 불교서. 1권 1책. 목판본. 불교전문강원의 초등과정인 사미과(沙彌科)에서 최초로 배우는 교재이다. 고려 후기에 지눌(知訥)이 조계산에 수선사(修禪社)를 만들고 새로운 선풍(禪風)을 일으켰을 때, 처음 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