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지구관” 에 대한 검색결과 16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9)

사전(6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감의 은 만 20개월을 근무하면 병조에 통보하여 6품관으로 승진하게 하였다. 이들이 장기복무를 할 경우에는 정기인사 때마다 1인씩 정규 무관직에 임용되었다. 이들은 고참군관들이었으므로 각종 훈련과 시험에서 특례가 인정되었고, 군영의 각종 제사의식 등에 집사...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훈련도감(訓鍊都監), 삼수병(三手兵), 사수(射手), 군관(軍官) 기패관(旗牌官), 총리영(總理營), 순영(巡營), 병영(兵營), 무위소(武衛所), 기효신서(紀效新書), 삼수기법(三手技法), 청(廳) ...
    상위어훈련도감(訓鍊都監), 삼수병(三手兵), 사수(射手), 군관(軍官) | 관련어기패관(旗牌官), 총리영(總理營), 순영(巡營), 병영(兵營), 무위소(武衛所), 기효신서(紀效新書), 삼수기법(三手技法), 지구관청(知彀官廳)
  • 청일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 청의 일기. [서지적 사항] 불분권 9책. 필사원본. [편찬/발간 경위] 1874년(고종 11) 5월 3일부터 1882년 6월 9일까지의 청일기가 무위소(武衛所)에 의해 9책으로 편집된 것이다.
  • 근대신어 : 북부평의지구(北部平義地區)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4193 북부평의지구 바항 北部平義地區 平安北道 평안북도 防空用語 (上) 係 每日申報/每日新報 京城日報社/每日新報社 1945 2 7 2 행정지명
    출전每日申報/每日新報[京城日報社/每日新報社] | 계통분류 [과학지식] 행정지명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남부경성지구(南部京城地區)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07612 남부경성지구 나항 南部京城地區 忠淸南道 忠淸北道 全羅北道 충청남도 충청북도 전라북도 防空用語 (上) 係 每日申報/每日新報 京城日報社/每日新報社 1945 2 7 2
    출전每日申報/每日新報[京城日報社/每日新報社] | 계통분류 [과학지식] 행정지명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논문(1)

고서·고문서(90)

  • 청일기(廳日記)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일기는 조선 말기 궁궐수호 관청인 무위소(武衛所)에서 1874년(고종 11) 5월 3일부터 1882년(고종 19) 6월 9일까지의 업무를 기록한 일기이다. 일기 내용은 궁궐의 숙위를 포함한 종묘‧사직단‧영희전(永禧殿)‧경모궁(景慕宮)‧경복궁‧경희궁...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관동주토일반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분류민사 | 소장처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化資料 | 출판사關東都督府臨時土地調査部
  • 관동주토제요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분류민사 | 소장처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化資料 | 출판사関東都府臨時土地調査部(旅順)
  • 만주토과 토지매매계약개론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분류민사 | 소장처東京大学東洋文化研究所図書室,関西学院大学図書館,財団法人東洋文庫,日本貿易振興機構アジア経済研究所図書館,一橋大学経済研究所資料室 | 출판사滿洲拓植公社土地課
  • 大明之制,每十年一大造黃冊,首著戶籍,【若軍ㆍ民ㆍ匠ㆍ竈之屬】 次書其丁口,【成丁ㆍ不成丁】 次田地,【分官ㆍ民等則例】 房屋ㆍ牛隻。凡例有四,曰舊管,曰開除,曰新收,曰實在。今日,卽前造之實在也。每里一百一十戶,十戶一甲,十甲一里。里有長,轄民戶十,輪年應役,十年而周。周則更大造,民以此定其籍貫,官按此以爲科差。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今日,卽前造之實在也。每里一百一十戶,十戶一甲,十甲一里。里有長,轄民戶十,輪年應役,十年而周。周則更大造,民以此定其籍貫,官按此以爲科差。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
    권차명經世遺表 卷十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신문·잡지(1)

기타자료(6)

  • 존문사 겸 영객사 가하국사 등이 발해의 계첩과 신문을 올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不宣謹啓 中臺省牒曰 牒 奉處分 扶桑崇浪 日域遐邦 欲占風挂席 期阻歲而寄音 泛泛輕舟 罕過沃雲之水 拳拳方寸 彌增披霧之情 所以隔年度日 天轉律移 想尋修 近周廻之星紀 酌展親於古典 遵繼好於前章 憑事表情 善隣寘禮 戀懷轉切 不待前期 謹差政堂省左允烏孝愼 令覲貴國者 准狀牒上 (『日本...
    대표표제어존문사 겸 영객사 가하국사 등이 발해의 계첩과 신문을 올리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859년(己卯/신라 헌안왕 3/발해 虔晃 2/唐 宣宗 大中 13/日本 文徳天皇 天安 3, 清和天皇 貞觀 1)
  • 존문사 겸 영객사 가하국사 등이 발해의 계첩과 신문을 올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近周廻之星紀 酌展親於古典 遵繼好於前章 憑事表情 善隣寘禮 戀懷轉切 不待前期 謹差政堂省左允烏孝愼 令覲貴國者 准狀牒上 (『日本三代實錄』 2 淸和紀)
    대표표제어존문사 겸 영객사 가하국사 등이 발해의 계첩과 신문을 올리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59년(己卯/신라 헌안왕 3/발해 건황 2/唐 大中 13/日本 天安 3, 貞觀 1)
  • 발해왕 大虔晃이 일본 淸和天皇에게 보내는 왕계와 중대성이 태정관에 보내는 牒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巨溟 未由拜覲 下情無任馳戀 謹差政堂省左允烏孝愼奉啓 不宣謹啓 (中臺省牒曰) 牒 奉處分 扶桑崇浪 日域遐邦 欲占風挂席 期阻歲而寄音 泛泛輕舟 罕過沃雲之水 拳拳方寸 彌增披霧之情 所以隔年度日 天轉律移 想尋修 近周廻之星紀 酌展親於古典 遵繼好於前章 憑事表情 善隣寘禮 戀懷轉切...
    대표표제어발해왕 大虔晃이 일본 淸和天皇에게 보내는 왕계와 중대성이 태정관에 보내는 牒 | 주제분류외교문서
  • 발해 국왕에게 칙서를 전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仍舊辨裝 色目如別 熟劇 王及所部平安好 略此遣書 指無一二 太政官送中臺省牒曰 得中臺省牒稱 奉處分 扶桑崇浪 日域遐邦 欲占風而挂席 期阻歲而寄音 泛泛輕丹 罕過沃雲之水 拳拳方寸 彌增披霧之情 所以隔年度日 天轉律移 想尋修 近周廻之星紀 酌展親於古典 遵繼好於前章 憑事表情 善隣寘禮...
    대표표제어발해 국왕에게 칙서를 전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859년(己卯/신라 헌안왕 3/발해 虔晃 2/唐 宣宗 大中 13/日本 文徳天皇 天安 3, 清和天皇 貞觀 1)
  • 발해 국왕에게 칙서를 전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緣此慰藉使者 迨期放還 間紀如賖 通情猶邇 今因孝愼 付送信物 仍舊辨裝 色目如別 熟劇 王及所部平安好 略此遣書 指無一二 太政官送中臺省牒曰 得中臺省牒稱 奉處分 扶桑崇浪 日域遐邦 欲占風而挂席 期阻歲而寄音 泛泛輕丹 罕過沃雲之水 拳拳方寸 彌增披霧之情 所以隔年度日 天轉律移 想尋修...
    대표표제어발해 국왕에게 칙서를 전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59년(己卯/신라 헌안왕 3/발해 건황 2/唐 大中 13/日本 天安 3, 貞觀 1)

주제어사전(3)

  • /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의 훈련도감 등에 소속된 군관직. 서울의 훈련도감, 수원의 총리영 및 각 도의 순영과 병영에 두었다. 그 정원은 훈련도감과 총리영에 각 10인, 충청도 순영에 4인, 병영에 6인, 전라도 순영에 2인, 병영에 17인, 경상도 순영에 4인, 좌병영에 8인, 우

  • 별군직청 / 別軍職廳 [정치·법제/법제·행정]

    1656년 별군직의 집무를 관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서. 별군직은 효종 7년에 가서야 비로소 그 직청을 설치할 수 있었다. 이렇게 설치된 별군직청의 업무 수행은 통솔자인 행수별군직(行首別軍職) 또는 장무관(掌務官)인 구()을 중심으로 운용되었다. 그

  • 총리영 / 摠理營 [정치·법제/국방]

    척후장 1인, 초관 25인, 교련관 8인, 10인, 별군관 100인, 수첩군관 12인, 별효사 200인으로 편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