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증보산림경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8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9)
사전(161)
- 증보산림경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원, 1982) 증보산림경제 증보산림경제 1766년(영조 42)에 유중림이 ≪산림경경≫를 증보하여 엮은 농서. 필사본....
- 증보산림경제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766년에 유중림(柳重臨, ?-?)이 《산림경제》를 증보하여 엮은 농서.정의1766년에 유중림(柳重臨, ?-?)이 《산림경제》를 증보하여 엮은 농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Jeungbo sallim gyeongje | MR표기Chŭngbo sallim kyŏngj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增補山林經濟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0_O_0020 增補山林經濟 학문 기타 文城柳氏譜 中國, 西河 屠隆, 柳重臨, 田汝成, 高深夫, 徐四佳居正, 柳重臨, 任希聖 山林經濟, 增補山林經濟, 居家必用, 遵生八牋, 臞仙神隱, 山居四要, 萬寶全書, 齊民要術, 山林經濟增補 O_16...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6권 2장 1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아욱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아욱에 된장을 풀고 끓인 국물에 다시 쌀을 넣어 끓인 죽. [내용] 아욱국물의 맛을 내는 데는 쇠고기ㆍ마른새우ㆍ마른멸치 등이 쓰이며, 그 중 마른새우가 아욱을 부드럽게 하면서 담백하고 좋은 맛을 낸다. 『증보산림경제』에는 ‘규채죽’으로이칭별칭규채죽
- 이강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배와 생강을 주원료로 하여 소주에 우려내어 만든 술. [내용] 연황갈색으로 단맛이 있는 알코올 음료의 일종으로 상류사회에서 즐겨 이용하였다고 한다. 『증보산림경제』ㆍ『임원경제지』ㆍ『군학회등(郡學會騰)』ㆍ『동국세시기』 등에 기록되어 있다....
고서·고문서(8)
-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 )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경제-농/수산업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 )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경제-농/수산업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養牛【附治病諸藥】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桂一兩一錢, 右爲末, 每服一兩. 用生薑一兩, 鹽水一升, 同煎服灌之, 脾愈鐵烙最良. 牛忽 忽 : 저본에는 ‘或’로 되어 있으나 『增補山林經濟』 및 ‘계서’, ‘승계’, ‘동양’, ‘용재’에 의거하여 수정함.肚脹, 狂走觸人, 用大黃黃連各五錢, 鷄子淸一箇, 酒一椀和均灌之....대표표제어養牛【附治病諸藥】 | 목차課農小抄
- 群書目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王禎】 山林經濟籍【明 屠隆】 神隱 種樹書【兪貞木】 務本新書 四民月令【崔寔】 閑情錄 四時類要 陸桴亭【明 陸世儀】 纂文 纂要補 傅子 種蒔直說 韓氏直說 直說補 農桑直說 田園必考 居家必用 本朝 衿陽雜綠【姜希孟】 穡經【朴世堂】 農事直說【申洬】 增補山林經濟【柳重霖】 考事新書【...대표표제어群書目 | 목차課農小抄【補遺 補遺 : 이 부분은 저본에는 빠져 있으나 『沔陽雜錄』 3~4책에 수록되어 있는 것을 보충한 것임.】
- 『課農小抄』 凡例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景文社, 1977. 『穡經』 : 朴世堂 撰, 고려대소장본, 1676. 『增補山林經濟』 : 柳重霖 撰, 亞細亞文化社, 1981.대표표제어『課農小抄』 凡例 | 목차課農小抄
주제어사전(13)
-
증보산림경제 / 增補山林經濟 [경제·산업]
1766년(영조 42)에 유중림이 『산림경제』를 증보한 농서. 16권 12책. 필사본. 항목은 복거·치농·종수·양화·양잠·목양·치포·섭생·치선상·치선하·구황·가정상·가정하·구사상·구사하·구급·증보사시찬요·사가점후·선택·잡방·동국산수록·남사고십승보신지·동국승구록 등으로
-
유중림 / 柳重臨 [과학기술/의약학]
조선 후기의 의관(?∼?). 유상의 후손이다. 영조 때에 태의원의약을 지냈고, 1766년(영조 42)에《증보산림경제》를 편찬하였다. 그 뒤 태의원내의가 되어 서반의 녹, 즉 군직의 녹을 받으면서 의무에 종사하였다.
-
강냉이밥 / [생활/식생활]
에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 1766년에 저술된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에 옥수수의 한자표기인 ‘玉蜀黍(옥촉서)’라는 말은 이같은 사실을 뒷받침하고 있다. 옥수수는 강원도·함경도 등 산간지대에서 많이 생산되고 있다. 특히 강원도의 옥수수는 찰옥수수라고 하여 맛이 좋
-
고추장 / ─醬 [생활/식생활]
문헌은 1760년경에 간행된 『증보산림경제』이므로 고추의 재배파급은 급속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백화주 / 百花酒 [생활/식생활]
여러 종류의 꽃을 넣어 빚는 술. 술에 향기와 약효를 아울러 주므로 가향주(加香酒)인 동시에 약용 약주라 할 수 있다. 그 제법은 『음식보(飮食譜)』·『민천집설()民天集說』·『증보산림경제』·『규곤요람(閨壼要覽)』·『규합총서(閨閤叢書)』·『김승지댁주방문(金承旨宅酒方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