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증보산림경제” 에 대한 검색결과 19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9)

사전(161)

  • TD_I0_O_0020 학문 기타 文城柳氏譜 中國, 西河 屠隆, 柳重臨, 田汝成, 高深夫, 徐四佳居正, 柳重臨, 任希聖 山林經濟, , 居家必用, 遵生八牋, 臞仙神隱, 山居四要, 萬寶全書, 齊民要術, 山林經濟增補 O_16...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6권 2장 1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원, 1982) 1766년(영조 42)에 유중림이 ≪산림경경≫를 증보하여 엮은 농서. 필사본....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766년에 유중림(柳重臨, ?-?)이 《산림경제》를 증보하여 엮은 농서.
    정의1766년에 유중림(柳重臨, ?-?)이 《산림경제》를 증보하여 엮은 농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Jeungbo sallim gyeongje | MR표기Chŭngbo sallim kyŏngj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아욱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아욱에 된장을 풀고 끓인 국물에 다시 쌀을 넣어 끓인 죽. [내용] 아욱국물의 맛을 내는 데는 쇠고기ㆍ마른새우ㆍ마른멸치 등이 쓰이며, 그 중 마른새우가 아욱을 부드럽게 하면서 담백하고 좋은 맛을 낸다. 『』에는 ‘규채죽’으로
    이칭별칭규채죽
  • 이강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배와 생강을 주원료로 하여 소주에 우려내어 만든 술. [내용] 연황갈색으로 단맛이 있는 알코올 음료의 일종으로 상류사회에서 즐겨 이용하였다고 한다. 『』ㆍ『임원경제지』ㆍ『군학회등(郡學會騰)』ㆍ『동국세시기』 등에 기록되어 있다....

고서·고문서(18)

  • ( )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경제-농/수산업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 )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경제-농/수산업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中等敎育朝鮮語及漢文讀本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中等敎育朝鮮語及漢文讀本 卷一 中等敎育朝鮮語及漢文讀本_卷一 一二 擇技藝 조선총독부 1933 조선서적인쇄주식회사 국립중앙도서관 일제강점기 관찬독본 한국어 [ 朴世堂著, 徐有榘增補 (朴世堂, 字는 季肯, 西溪라 號함, 貫은 潘...
    서명中等敎育朝鮮語及漢文讀本 | 자료명一二 擇技藝
  • 中等敎育朝鮮語及漢文讀本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趁(진) 딸으다]早興作하야, 先人勿後하야, 必以盡地利不失時로, 爲事하야, 功力之入에, 期於得倍하면, 則百物이 不乏하고, 家用이 自足하리니. 所謂祿在其中이어니. 又安用抱關擊柝[抱關擊柝(포관격탁) 門番‧夜警等의 賤役]爲哉리오. () 〔練習〕 百尺竿頭, 須進一步....
    서명中等敎育朝鮮語及漢文讀本 | 자료명一九 治農
  • 中等敎育朝鮮語及漢文讀本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風이 自然仁厚矣리라. ()
    서명中等敎育朝鮮語及漢文讀本 | 자료명二八 厚鄰里

주제어사전(13)

  • / [경제·산업]

    1766년(영조 42)에 유중림이 『산림경제』를 증보한 농서. 16권 12책. 필사본. 항목은 복거·치농·종수·양화·양잠·목양·치포·섭생·치선상·치선하·구황·가정상·가정하·구사상·구사하·구급·증보사시찬요·사가점후·선택·잡방·동국산수록·남사고십승보신지·동국승구록 등으로

  • 유중림 / 柳重臨 [과학기술/의약학]

    조선 후기의 의관(?∼?). 유상의 후손이다. 영조 때에 태의원의약을 지냈고, 1766년(영조 42)에《》를 편찬하였다. 그 뒤 태의원내의가 되어 서반의 녹, 즉 군직의 녹을 받으면서 의무에 종사하였다.

  • 강냉이밥 / [생활/식생활]

    에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 1766년에 저술된 『()』에 옥수수의 한자표기인 ‘玉蜀黍(옥촉서)’라는 말은 이같은 사실을 뒷받침하고 있다. 옥수수는 강원도·함경도 등 산간지대에서 많이 생산되고 있다. 특히 강원도의 옥수수는 찰옥수수라고 하여 맛이 좋

  • 고추장 / ─醬 [생활/식생활]

    문헌은 1760년경에 간행된 『』이므로 고추의 재배파급은 급속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백화주 / 百花酒 [생활/식생활]

    여러 종류의 꽃을 넣어 빚는 술. 술에 향기와 약효를 아울러 주므로 가향주(加香酒)인 동시에 약용 약주라 할 수 있다. 그 제법은 『음식보(飮食譜)』·『민천집설()民天集說』·『』·『규곤요람(閨壼要覽)』·『규합총서(閨閤叢書)』·『김승지댁주방문(金承旨宅酒方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