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증보문헌비고” 에 대한 검색결과 2,46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409)

사전(2,38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었으나 간행되지는 않았다. 대한제국 시기의 ≪≫ 편찬은 1894년의 갑오경장으로 문물제도가 크게 바뀌어 이를 반영시키기 위해 ≪증정동국문헌비고≫를 개찬한 것이다. 1903년 1월 법무국장 김석규(金錫圭)의 건의가 채택되어, 홍문관...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고(上古) 때부터 한말에 이르기까지의 문물제도(文物制度)를 총망라하여 분류 정리한 책.
    정의상고(上古) 때부터 한말에 이르기까지의 문물제도(文物制度)를 총망라하여 분류 정리한 책.[두산백과] | 문광부표기Jeungbo munheon bigo | MR표기Chŭngbo munhŏn pig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예성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구성 및 형식] 가사는 전하지 않으며, 제목과 내력만이 『고려사』 권71 악지 속악조(俗樂條)에 전하고, 같은 내용이 축약되어 『』 권106 악고(樂考) 17에 옮겨져 있다. [내...
  • 내원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구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구성 및 형식] ‘내원성가(來遠城歌)’라고도 한다. 원래의 노래와 한역한 노래 모두가 전하지 않으며, 작품의 제목과 그 유래만이 『고려사』 권71 속악(俗樂)에 전하며, 그 내용이 『』...
    이칭별칭내원성가
  • 방등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신라 말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백제 노래. [구성 및 형식] 가사는 전하지 않으며, 노래의 내력만이 『고려사』 권71 삼국속악조(三國俗樂條)에 전한다. 그리고 작품명과 지명들은 다르지만 같은 내력이 『』 권106 악고(樂考)...
    이칭별칭반등산곡

고서·고문서(17)

신문·잡지(1)

  • 敍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祐晳 以上 五月三十日 任中樞院副議長 正二品成岐運 任學部叅書官 學部主事柳基泳 任大韓醫院學監 大韓醫院敎官池錫永 免本官 安峽郡守李周魯 命監印委員李定儀 任特務正校 前正校韓相儀 附鎭衛第八大隊 特務正校韓相儀 任學部主事金公植 以上五月三十一日
    게재일1907년 6월 4일 | 기사분류관보

멀티미디어(1)

  • 20세기 초반 좌·우도 지리 제도 근현대 행정 읍격 분포도 분포도 전국 군현 1:4,000,000 20세기 초반 한성부 / 유수부 없음 없음 행정_154_20세기_초반_좌·우도 행정_154_20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증보문헌비고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기타자료(3)

  • (烽)과 연기(燧)로서 급한 소식을 중앙에 전달하던 통신수단으로 고대로부터 1894년(고종 31년)에 현대적인 전화통신체제로 전환하기 이전까지 사용되었다. 이번에 조사된 추화산 봉수대는 모두 전형적인 내지봉수로 동국여지승람이나 에 나타나고 있는 봉수 조직망에...
    발행연도2001 | 발굴기관동아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경상남도
  • 을 시작하였을 것인데 그것이 조선왕조 내내 광주분원에 고급의 자기를 생산하였기 때문인지 남해의 특산물로 취급되지는 않았던 것 같다. 이것은 『세종실록』 「지리지」나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의 조선전기의 지리서, 그리고 『여지도서』 『대동지지』 『』 등 조선후기...
    발행연도2005 | 발굴기관남해군/경남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경상남도
  • 진주 광제산 봉수대 -진주 광제산 봉수대 복원 정비를 위한 발굴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서󰡕(1760), 󰡔경상도읍지󰡕, 󰡔영남읍지󰡕, 󰡔󰡕(1908) 등의 지리지에서 그 내용이 확인된다. 광제산 봉수는 남쪽 망진산 봉수의 신호에 응하여 북쪽 입암산 봉수로 연결하는 중계소로 1425년 이전에 축조되어 있었던 것은 분명하나 그 시기는...
    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 발굴지역경상남도

주제어사전(55)

  • / [종교·철학/유학]

    1903년부터 1908년 사이에 칙명으로 편찬, 간행된 장고 집성의 유서. 총 16고 250권. 1903년 1월 법무국장 김석규의 건의가 채택, 홍문관 안에 찬집소를 두고 박용대·조정구·김교헌·김택영·장지연 등 33인이 찬집을, 박제순 등 17인이 교정을, 한창수등 9

  • 목주 / 木州 [문학/고전시가]

    신라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작품은 전하지 않고, 그 지어진 내력만이 『고려사』 악지(樂志) 삼국속악조(三國俗樂條)와 『』 악고(樂考) 17과 『대동운부군옥』 권18에 각각 비슷한 내용으로 기록되어 전한다. 『고려사』에 실린 제목은 ‘목주’이고,

  • 묵책 / 墨冊 [문학/고전시가]

    고려 충숙왕 때 불렸다는 동요. 원가(原歌)는 전하지 않으나 그 내력과 한역가(漢譯歌)가 『고려사』·『역옹패설』·『』에 전한다. ‘묵책’이라는 제목은 『』에 실린 가사의 내용에서 따온 것이며, 『고려사』와 『역옹패설』에는 ‘흑책(黑冊)’이라 되어

  • 동백목 / 冬柏木 [문학/고전시가]

    고려 충숙왕 때 채홍철(蔡洪哲)이 지은 가사. 작품은 전하지 않으며, 노래의 내력만이 『고려사』 권71 악지(樂志) 속악조(俗樂條)에 전하며, 그 일부가 『』 권106 악고(樂考) 17에 옮겨져 있다.

  • 사천년문헌통고 / 四千年文獻通考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정서류(政書類) 이정구(李定求) 편, 신연활자본, 경성, 동명사(1926), 불분권 1책(293장).《》의 체재에 따라 단군부터 4천여년의 우리나라 문물제도의 전고를 16考로 엮은 책이다. 한글 현토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