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증광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1)
사전(12)
- 증광전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독일어 및 만문(滿文)에 정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청정부는 1904년 11월 2대 주한 공사 허태신(許台身, 쉬타이션)의 후임으로 후보5품경당(候補5品京堂) 증광전을 출사한국대신(出使韓國大臣)으로 임명하였다. 그는 1905년 1월 4일 대한제국 정부에 국서를 전하...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도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지방을 순시하며 민정을 살펴보는 가운데 실시된 것이다. 이를 계승한 도과는 인조 때 이후인 조선 후기에 주로 실시되었다. 시험방법은 증광전시(增廣殿試)의 예에 의하여 대책‧표(表)‧전‧잠(箴)‧송(頌)‧제(制)‧조(詔) 가운데서 1편을 짓게 하였고, 실시지역은 주로 함...
- 학당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책하여 올린 글이다. 또한, 「소회상서(所懷上書)」는 세자에게 올린 글로, 재앙을 막고 백성을 구휼하는 계책을 세우는 일이 시급함을 지적한 내용이다. 「일기」는 1710년(숙종 36) 6월 증광전시(增廣殿試)를 시행하여 갑과 3인, 을과 7인, 병과 31...
- 마정량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1905년 을사조약으로 일본이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자 청국은 주한 공사 증광전(曾廣銓, 정광취안)을 철수시키고 한성 주재 총영사 오기조(吳其藻, 우치자오)에게 그 업무를 대행시켰다. 청국은 주한 공사를 철수하는 대신, 주일 청국 공사관 참찬(參贊) 마정량을 주일...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허태신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사임 국서와 후임 공사 증광전(曾廣銓, 정광취안)의 신임 국서가 공식적으로 한국에 전달된 것은 1905년 1월 4일이다. 허태신은 대리공사 시기를 포함하여 약 4년 동안 주한 공사의 직책을 맡았다. 공관 조직은 공사관, 한성(漢城) 총영사관, 인천(仁川) 영사관,...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고서·고문서(19)
- 曾廣銓 : 소송 5 - 雜件(잡건) [<駐朝鮮使館檔> 소송 안건의 탈초, 정본화 및 DB화 | 고려대학교]작성기관總理各國事務衙門 | 분류증광전 소송(曾廣銓 訴訟) | 주제어기타, 雜件, 중국인 曲永增, 조선인 吳玄根, 藥材 거래, 구타, 錢物 약탈
- 曾廣銓 : 訴訟 2 - 華商廣昇號欠款案(중국 상인 廣昇號 負債 안건) [<駐朝鮮使館檔> 소송 안건의 탈초, 정본화 및 DB화 | 고려대학교]작성기관外務部 | 분류증광전 소송(曾廣銓 訴訟) | 주제어채무, 债务, 債務
- 曾廣銓 : 訴訟 4 - 韓民越界滋擾案(조선인이 경계를 넘어 소란을 일으킨 사건) [<駐朝鮮使館檔> 소송 안건의 탈초, 정본화 및 DB화 | 고려대학교]작성기관總理各國事務衙門 | 분류증광전 소송(曾廣銓 訴訟) | 주제어월경, 越境, 越境, 대한제국과 청, 함경도 평안도
- 曾廣銓 : 訴訟 1 - 長淵郡海安坊夢金浦致死淸人秦文波屍體檢査案(長淵郡 海安坊 夢金浦에서 致死한 淸人 秦文波의 屍體를 檢査한 사건) [<駐朝鮮使館檔> 소송 안건의 탈초, 정본화 및 DB화 | 고려대학교]작성기관總理各國事務衙門 | 분류증광전 소송(曾廣銓 訴訟) | 주제어사망, 死亡,
- 曾廣銓 : 訴訟 3 - 雲商郡曲面兩水站致死淸人石之良屍身檢査案(雲商郡 曲面 兩水站에서 致死한 淸人 石之良의 屍身을 檢査한 사건) [<駐朝鮮使館檔> 소송 안건의 탈초, 정본화 및 DB화 | 고려대학교]작성기관總理各國事務衙門 | 분류증광전 소송(曾廣銓 訴訟) | 주제어사망, 死亡, 숙박비 미지급, 청인 사이 폭력 사망
주제어사전(4)
-
증광전 / 曾廣銓 [정치·법제/외교]
1871-1930. 중국 청말 제3대 주한 청국공사. 증국번의 손자이다. 청정부는 1904년 11월 2대 주한공사 허태신의 후임으로 후보5품경당 증광전을 출사한국대신으로 임명하였다. 그는 1905년 1월 4일 대한제국 정부에 국서를 전하고 1월 5일부터 공식 업무를
-
마정량 / 馬廷亮 [정치·법제/외교]
?-? 청말 외교관. 주한 청국 총영사. 1905년 을사늑약으로 일본이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자 청국은 주한 공사 증광전을 철수시켰다. 1906년 6월 마정량은 주한 총영사로 부임하였다. 마정량은 이후 3년 동안 총영사직을 수행하면서 주로 청국 상인 보호에 노력하
-
도과 / 道科 [역사/조선시대사]
도과는 인조 때 이후인 조선 후기에 주로 실시되었다. 시험방법은 증광전시의 예에 의하여 대책·표·전·잠·송·제·조 가운데서 1편을 짓게 하였고, 실시지역은 주로 함경도·평안도·강화·제주 등지였다.
-
주한중국공사관 / [정치·법제/외교]
1882년 8월에 체결된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체결 이후 조선에 파견된 상무위원이 주한 외교사절의 역할을 수행. 한청통상조약의 체결을 주도한 서수붕이 대한제국주재 초대 공사로 부임하였고, 하태신 증광전이 후임이었다. 1905년 일본의 통감부 설치로 중국 외교사절은 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