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증광시” 에 대한 검색결과 49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29)

사전(37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하나인 역과에서도 초시 4인, 복시 2인을 더 선발하였다. 실례로는 1764년(영조 40) 왕의 70세 장수와 즉위 40년을 축하하여 실시한 예를 들 수 있다. → 『대전회통(大典會通)』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 식년시 이외에 실시된 임시과거. [내용] 임시과거시험으로 식년시와 마찬가지로 소과(小科)‧문과‧무과‧잡과 등이 시행되었다. 1401년(태종 1)에 처음으로 실시된 는 본래 임금의 등극을 축하하...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나라에 큰 경사가 있을 때 실시하던 임시 과거 시험
    정의나라에 큰 경사가 있을 때 실시하던 임시 과거 시험 | 문광부표기jeunggwangsi | MR표기chŭnggwangs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大)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과거(科擧) 무과(武科), 문과(文科),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식년시(式年試), 잡과(雜科), () 정치인사/선발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조선 최진옥 [...
    상위어과거(科擧) | 관련어무과(武科), 문과(文科),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식년시(式年試), 잡과(雜科), 증광시(增廣試)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과거(科擧) 대(大), 무과(武科), 문과(文科), 별시(別試), 식년시(式年試) 정치인사/선발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조선 최진옥 [정의] 나라에 큰 경사가...
    상위어과거(科擧) | 관련어대증광시(大增廣試), 무과(武科), 문과(文科), 별시(別試), 식년시(式年試)

고서·고문서(57)

  • 1864년 기양연(奇陽衍) 시권(試券)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864년(고종1)에 실시한 ()에서 기양연(奇陽衍)이 제출한 시험답안지이다. 기양연은 이 시험에서 차상(次上)의 점수를 받고 합격하였다.
    내용분류정치/행정-과거-시권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시권 | 현소장처장성 행주기씨 금강종가
  • 1867년 기양연(奇陽衍)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867년(고종4) 11월 동짓날에 기양연(奇陽衍)이 아버지 기윤진(奇允鎭)에게 보낸 편지이다. 녹봉을 받았다는 이야기와 곧 ()가 있을 거라는 말을 하고 있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장성 행주기씨 금강종가
  • 1866년 기양연(奇陽衍)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866년(고종2) 2월 29일에 기양연(奇陽衍)이 아버지 기윤진(奇允鎭)에게 보낸 편지이다. 가례(嘉禮)의 일정과 ()가 마련되었다는 것, 그리고 양선(洋船)의 출몰에 대한 소식 등을 전하고 있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장성 행주기씨 금강종가
  • 1880년 이준의(李準儀) 시권(試券)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80년 영광에 사는 유학 이준의가 에 응시하여 작성한 시험답안지이다. 이준의는 본관이 전주이고, 이응우의 아들로, 당시 51세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과거-시권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시권 | 현소장처영광농업기술센터
  • 모년 조의철(趙宜喆) 서간(書簡) 1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모년 정월 12일에 조의철이 양종을에게 보낸 서간으로, 상대방에게서 편지가 오지 않아서 답답한 심정을 이야기하고, 자신은 과거()가 얼마 남지 않아서 급히 서울로 갈 예정이라고 하였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전주 송천 남원양씨가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64)

  • / 大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국가에 큰 경사가 있을 때 특별히 실시하던 과거. 언제부터 실시되었는지 알 수 없으나, 조선 중기부터 그 사례가 보이며 ≪속대전≫에 과거의 항목으로 규정되어 있다. 본래 국가에 큰 경사가 있거나 여러 경사가 겹쳤을 때 특설하던 과거시험을 증광(增廣)이라고 하

  • /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 식년시 이외에 실시된 임시과거. 식년시와 마찬가지로 소과·문과·무과·잡과 등이 시행되었다. 1401년(태종 1)에 처음으로 실시된 는 본래 임금의 등극을 축하하는 의미로 즉위년 또는 그 이듬해에 실시하던 것이었으나, 선조 때부터

  • 이동완 / 李棟完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51∼1725). 1678년 에서 진사 2등 1위로 합격하였다. 저술로는《모산선생문집》이 있다.

  • 녹명 / 錄名 [정치·법제/법제·행정]

    과거 응시자의 자격을 심사해 응시원서를 접수하던 제도. 단 한번의 시험으로 합격·불합격이 결정되는 알성시·정시·춘당대시를 제외한 식년시(式年試)·()의 경우는 시험 전에 반드시 녹명을 해야만 하였다. 시한은 시험 10일 전에 녹명소에서 하는 것이 원칙이었

  • 김숭덕 / 金崇德 [종교·철학/유학]

    1732년(영조8)∼1776(영조 52). 조선 후기의 진사. 부친은 김양현이다. 1754년(영조 30) 진사 3등 64위로 합격하였다. 묘소는 선산 진륵동 병향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