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중훈대부” 에 대한 검색결과 6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0)

사전(1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문신 종3품 하계(下階)의 품계명. [내용]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가 제정될 때 종3품 상계는 중직대부(中直大夫), 하계는 ()로 정하여져 『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 종3품에...
  • 중직대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문신의 종3품 상계(上階)의 품계명. [내용]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가 제정될 때 종3품 상계는 중직대부(中直大夫), 하계는 ()로 정하여져『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 종3품에...
  • 지안산군사조흡사패왕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01년(태종 1) 방간(芳幹)의 난 때 공로를 세운 조흡에게 내린 사패왕지. [내용] 당시 지안산군사로 있던 조흡에게 토지와 노비를 하사한 왕지이다. 1장. 세로 80㎝, 가로 71.7㎝. 보물 제899호. 장지에 초서체로
    연계항목중훈대부지안산군사조흡사패왕지(中訓大夫知安山郡事曺恰賜牌王旨)
  • 종삼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6등급의 품계. [내용]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와 무산계가 제정될 때 문산계의 종3품 상계는 중직대부(中直大夫), 하계는 ()로, 무산계의 상계는 보의장군(保義將軍)...
  • 숙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외명부(外命婦)인 문무관처에게 내린 정3품 당하 작호(爵號). [내용] 문무관 정3품의 당하관인 통훈대부(通訓大夫)‧어모장군(禦侮將軍)의 적처(嫡妻)와 종3품의 중직대부(中直大夫)‧()‧건공장군(建功將軍)‧보공장군...

고서·고문서(41)

  • 趙基遠을 行司贍寺 主簿에 임명하는 敎旨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303 1242_01 趙基遠을 行司贍寺 主簿에 임명하는 敎旨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조정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KJ040.JPG 趙基遠을 行司贍寺 主簿에 임명하는 敎旨 ...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趙基遠을 行司贍寺 主簿에 임명하는 敎旨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304 1242_02 趙基遠을 行司贍寺 主簿에 임명하는 敎旨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조정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KJ040.hwp 敎旨 趙基遠爲中 訓大夫行司 贍寺主簿者 崇禎五年五...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趙基遠을 行司憲府 監察에 임명하는 敎旨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305 1243_01 趙基遠을 行司憲府 監察에 임명하는 敎旨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조정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KJ041.JPG 趙基遠을 行司憲府 監察에 임명하는 敎旨 ...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趙基遠을 行司憲府 監察에 임명하는 敎旨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306 1243_02 趙基遠을 行司憲府 監察에 임명하는 敎旨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조정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KJ041.hwp 敎旨 趙基遠爲中 訓大夫行司 憲府監察者 崇禎五年十...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1537년 김연(金緣)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537년(중종32) 에 중종 이 김연 을 행성균관사예 로 임명하는 문서이다. 는 종3품에 해당한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주제어사전(5)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문신 종3품 하계의 품계명.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가 제정될 때 종3품 상계는 중직대부, 하계는 로 정하여져 ≪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 종3품에 해당하는 관직으로는 부정·집의·사간·전한·사성·참교·상례·편수관·대호군·

  • 숙인 / 淑人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외명부인 문무관처에게 내린 정3품 당하 작호. 문무관 정3품의 당하관인 통훈대부(通訓大夫)·어모장군(禦侮將軍)의 적처(嫡妻)와 종3품의 중직대부(中直大夫)·()·건공장군(建功將軍)·보공장군(保功將軍)의 적처에게 내린 작호이다.

  • 중직대부 / 中直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문신의 종3품 상계의 품계명.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가 제정될 때 종3품 상계는 중직대부(中直大夫), 하계는 ()로 정하여져 ≪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 종3품에 해당하는 관직으로는 부정·집의·사간·전한·사성·참

  • 송광식 / 宋光栻 [정치·법제/법제·행정]

    (효종 15) 갑오 식년시 진사 3등 35위로 합격한 후, () 공조정랑(工曹正郞)을 역임하였다.

  • 종삼품 / 從三品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6등급의 품계.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와 무산계가 제정될 때 문산계의 종3품 상계는 중직대부, 하계는 로, 무산계의 상계는 보의장군, 하계는 보공장군으로 정하였다. 그런데 무산계의 상계 보의장군은 뒤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