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중치막” 에 대한 검색결과 5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8)

사전(4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은 소창의, 즉 창옷에서와 같이 양겨드랑이 밑에 무가 없이 터져 있어, 아랫부분이 앞에 두 자락 뒤에 한 자락 하여 세 자락으로 되어 있는데, 그 차이는 소창의는 착수에 길이가 조금 짧았고, 은 광수에 길이가 긴 것이었다. 을 가지고 대창의라고...
    연계항목중치막(중치막)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에 사인(士人)계급에서 착용하던 직령포(直領袍). 양 옆이 트인 형태임.
    정의조선시대에 사인(士人)계급에서 착용하던 직령포(直領袍). 양 옆이 트인 형태임.[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jungchimak | MR표기chungch’ima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에 사인(士人)계급에서 착용하던 직령포(直領袍). 양 옆이 트인 형태임.
    정의조선시대에 사인(士人)계급에서 착용하던 직령포(直領袍). 양 옆이 트인 형태임.[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jungchimak | MR표기chungch’ima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청원구례손씨묘출토유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1점과 장옷[長衣] 1점, 저고리[赤古里] 3점, 바지[袴] 2점(밑막힌 바지 1점, 밑트인 바지 1점), 그리고 족두리(足頭里) 3점과 감투[甘吐, 小帽子] 1점이 있고 그 외 이불과 편의(片衣) 옷감 등이 있다. 1979년 3월...
    이칭별칭구례손씨출토유물 | 연계항목청원구례손씨묘출토유물(淸原求禮孫氏墓出土遺物)
  • 외재이단하내외분옷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대로 전해져온 전세품이다. 이단하의 호는 외재(畏齋)이며 송시열의 제자로서 현종 3년(1662) 문과에 급제한 이후 숙종(肅宗)대에 대제학‧우의정을 거쳐 좌의정까지 역임하였다. 유물은 이단하가 좌의정 시절에 입었다고 전해지는 () 1점과 그의 부인이 입었던...

고서·고문서(7)

  • . ○여안이 돌아왔는데, 삼보(三寶)가 보낸 숯 3섬을 가져와 바쳤다. ○며느리가 내 명주[紬綿] []벼슬하지 않는 선비가 소창옷 위에 덧입던 웃옷을 만들었는데, 꼼꼼하게 선을 바느질하여 올려 보냈다. ○홍술지(洪述之) 씨가 편지로 이르기를, “개령(開寧)...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 호박풍잠(琥珀風簪), 산호(珊瑚)동곳, 귀영자(貴纓子), 갓끈감, 동피휘양(動皮揮陽) 남바위, 양피배자(羊皮褙子) 갓등걸이, 조끼팔배 덧저고리, 쾌자(快子) 전복(戰服) 뒤타개, 도복(道服) 창의(氅衣) , 양공단(洋孔緞) 두루주머니, 주홍당사(朱紅唐絲) 벌매...
    구분잡가 | 편저자李昌培
  • 회절가 毁節歌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날 세수도 못한 모양에 다 러진 망건을 편자지 이여 쓰고 대우가 업서지게 된 게량에 손구락이 쑥쑥 드러가게 된 파립을 모로 쓰고 메역 줄거리갓흔 서양사 이 저(소)포(射布) 구멍처럼 러진 것이 자락은 돌돌 말닌 것을 정강이에 올으게 입고 열두 토막이나 이여...
    구분잡가 | 편저자이용기
  • 추안급국안 : 갑신년(1764, 영조 40) 죄인 홍득여(洪得輿) 등 신문기록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
    之故聞知而 其裡面則不知矣定配時受刑三次矣不聞不覩之言豈可告 之乎兩漢俱着黑笠址淳着東呂着祫衣而常時着祫 衣故矣相考處置敎事○罪人得輿刑問二次訊杖三十度別 無可達之辭是白乎事 ○ 신재만 등을 포도청으로 내려 보내다 同日傳曰罪人再萬善萬興萬下 捕廳以待結末 ○ 친국을 중지하다 ...
    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22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 추안급국안 : 남극(南極) 신문기록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
    聽之言所見之事竝一一直告爲旀所告諸人外更有 他同參之人是喩更良隱諱除良從實直招亦傳敎推考敎 是臥乎在亦矣身旣已盡告於捕廳以捕廳所告更爲告達是 白齊矣身生長於㫌善坊水門洞契而父母俱死後流離丐乞是 白如可上年秋間更爲還接於舊居洞內矣今月初五日夕往 于朴枝蕃家則舍廊抹樓上有一漢着踞坐而素所不 相識...
    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19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주제어사전(9)

  • / [생활]

    조선시대에 사인계급에서 착용하던 직령포. 조선 초기에 명나라에서 사여받은 중단에서 변이된 것으로 창의와 같은 중의의 일종이었는데, 뒤에는 표의로도 일부에서 입었다. 은 소창의, 즉 창옷에서와 같이 양겨드랑이 밑에 무가 없이 터져 있어, 아랫부분이 앞에 두 자락

  • 안동홍씨수의 / 安東洪氏壽衣 [생활/의생활]

    조선 후기 때 사람 홍극가(洪克加, 1670년 사망)의 무덤에서 출토된 복식. 중요민속자료 제40호. 1974년에 안동댐공사관계로 무덤을 이장하던 중 발견되었는데, 출토된 의복은 1점, 도포 1점, 누비바지 1점, 버선 1족 등 4점이다. 은 조선 중기

  • 외재이단하내외분옷 / 畏齋李端夏內外分─ [생활/의생활]

    조선 중기의 문신 이단하(李端夏)와 그의 부인이 입었던 17세기 옷과 부속품 6점. 이 유물은 조선 중기 문신 이단하(李端夏: 1625∼1689)와 그의 부인이 정경부인의 신분으로 입었던 복식과 수식류 6점이다. 유물은 이단하가 좌의정 시절에 입었다고 전해지는

  • 이응해장군묘출토복식 / 李應獬將軍墓出土服飾 [생활/의생활]

    2002년 강원도 원주에 소재한 조선 중기 무관 이응해(李應獬) 장군의 묘를 이장하던 중 수습된 복식관련 출토품. 중요민속문화재 제246호. 출토된 복식은 단령(團領) 4점, 철릭[帖裡] 6점, 도포(道袍) 3점, [] 7점, 창의(氅衣) 2점, 직령포(直

  • 문경최진일가묘출토복식 / 聞慶崔縝一家墓出土服飾 [생활/의생활]

    衣], [], 밑트인 바지, 밑막힌 바지, 족두리(足頭里), 버선, 습신으로 사용되었던 짚신, 멱목(幎目), 악수(幄手), 베개, 이불, 지요[地褥], 현·훈(玄·纁), 삽, 세조대(細絛帶) 파편 등 총 34점이 수습되었다. 그리고 신원 미상의 남자 묘에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