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중종반정” 에 대한 검색결과 47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59)

사전(44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안치하는 동시에, 이튿날인 9월 2일 경복궁 근정전에서 진성대군을 왕위에 오르게 하였다. 이가 곧 중종이며, 이 정변을 이라 한다. 이로써 연산군의 학정은 끝났으나 정치의 주도권은 훈구계열로 돌아갔다. 따라서, 중종 이전부터 문제되어온 정치 체제의 모순에...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506년 성희안(成希顔, 1461-1513)‧박원종(朴元宗, 1467-1510) 등이 연산군을 폐하고 진성대군을 왕으로 추대한 사건.
    정의1506년 성희안(成希顔, 1461-1513)‧박원종(朴元宗, 1467-1510) 등이 연산군을 폐하고 진성대군을 왕으로 추대한 사건.[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Jungjong Banjeong | MR표기Chungjong Panj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단경왕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87(성종 18)∼1557(명종 12). 조선 제11대 왕 중종의 비. [개설] 본관은 거창(居昌). 익창부원군(益昌府院君) 신수근(愼守勤)의 딸이다. [내용] 1499년(연산군 5) 성종의 둘째아들 진성대군(晉城大君)과...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반정(反正) 정치정치운영/정변 사건 대한민국 조선 김돈 1506년(연산군 12) 박원종(朴元宗), 성희안(成希顔)/정국공신(靖國功臣) [정의] 1506...
    상위어반정(反正)
  • 박영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반대하였고, 1505년 김포현령(金浦縣令)으로 있다가 내관(內官)과 족친(族親)으로서 궐내의 소문을 퍼뜨렸다 하여 파직되었다. 이듬해 이 일어남에 반정주동자의 한 사람이던 동생 영문(永文)의 권유에 따라 반정군(反正軍)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 4등에 녹훈...
    이칭별칭천령군(天嶺君)

고서·고문서(16)

  • 1506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506년(중종1) 손중돈(孫仲暾: 1463~1529)을 봉정대부(奉正大夫) 수(守) 상주목사(尙州牧使)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9월 20일에 작성되었다. 이달 2일에는 으로 연산군이 폐위되고 중종이 보위에 올랐다. 신하들에 의해 임금이 교...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경주 양동 경주손씨 서백당
  • 허백당김공묘갈명(虛白堂金公墓碣銘)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러 번 유배를 갔다가 이후에 풀려나서 형조좌랑․경상도사․사옹원검정․사간원대사간․영해부사 등을 역임했다고 소개했다. 부인은 양천허씨이며 2남 3녀를 두었다고 했다.
    내용분류개인-전기-묘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묘문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506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착오로 추측된다. 이달은 이라는 커다란 정치적 사건이 발생한 때이다. 복잡한 조정의 사정으로 이러한 혼란이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경주 양동 경주손씨 서백당
  • 1506년 이정(李禎) 추증교지(追贈敎旨)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 에 참여하여 공신에 책봉(冊封)되었기 때문이다. 조선시대에는 관직이 2품 이상으로 오르면 그 아버지․할아버지․증조부 이렇게 3대의 관직도 높여 주었다. 다만, 아버지는 본인과 같게, 할아버지는 한 단계 아래, 증조부는 두 단계 아래로 차등을 두었다. 이에...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서울역사박물관
  • 1506년 이운후(李云侯) 추증교지(追贈敎旨)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우(李堣: 1469~1517)가 에 참여하여 공신에 책봉(冊封)되었기 때문이다. 조선시대에는 관직이 2품 이상으로 오르면 그 아버지․할아버지․증조부 이렇게 3대의 관직도 높여 주었다. 다만, 아버지는 본인과 같게, 할아버지는 한 단계 아래, 증조부는 두 단계...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서울역사박물관

주제어사전(19)

  • / [정치·법제/정치]

    1506년 9월 2일 조선 제10대왕 연산군을 몰아내고 진성대군 역을 왕으로 추대한 사건. 1506년(연산군 12) 성희안·박원종 등 이른바 훈구세력이 임사홍·신수근 등의 궁금세력과 결탁해 학정을 거듭하던 연산군을 폐위시킨 사건이다. 정변이 성공하자 성희안 등은 성종의

  • 반정공신 / 反正功臣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반정을 이루는 데 세운 공으로 녹훈된 공신. 으로 인한 정국공신과 인조반정으로 인한 정사공신이 있다. 정국공신은 1506년 이 성공한 뒤 9월에 박원종·성희안·유순정의 주도로 녹훈되었다.1등에 박원종·성희안·유순정이 병충분의결책익운정국공신으로

  • 정음청 / 正音廳 [언어/언어·문자]

    조선 세종 때 훈민정음 관계 사무를 관장하였던 것으로 보이는 임시관서. 뒤 이틀 뒤인 1507년 9월 4일자 ≪중중실록≫에 ‘혁언문청(革諺文廳)’이라는 기사와 1452년 11월 2일자 ≪단종실록≫에 ‘파정음청(罷正音廳)’이라는 기사가 있는 것으로 보아 훈민

  • 권경유 / 權景裕 [종교·철학/유학]

    ?∼1498(연산군 4). 조선 전기의 문신. 권집지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권영화, 아버지는 판관 권질, 어머니는 우참찬 이승손의 딸이다. 김종직의 문인이다. 1485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예문관검열, 홍문관정자, 제천현감 등을 역임하였다.

  • 박사 / 博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성균관·홍문관·승문원·교서관 등의 정7품 관직. 정원은 성균관에 3인, 홍문관에 1인, 승문원에 2인, 교서관에 2인이다. 연산군 때 성균관을 혁파하면서 박사직도 다른 관서로 나누어 보냈다가 1506년(중종 1) 으로 원상회복되었다. 1895년(고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