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중세국어” 에 대한 검색결과 17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2)

사전(13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를 중심으로 한 것이나, 는 중부 방언에 속하는 송도와 한양, 곧 현재의 개성과 서울의 언어가 중심이 되었다. 송도는 고구려의 옛 땅이므로 고구려어의 영향이 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고구려어와 고려시대 언어의 자료가 제약되어 있으므로 그 구체적...
  • 문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이숭녕(李崇寧)이 지은 문법서. [내용] 반양장. 376면. 1961년 을유문화사(乙酉文化社)에서 간행하였다. ‘15세기 국어를 주로 하여’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이 책은 지은이의 『고어의 음운과 문법』(1949)‧『고전문법』(...
  • 국어사개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수정‧증보를 한 개정판을 1972년에 간행하였고, 1977년 이후로는 탑출판사에서 출간하였다. [내용] 대학의 국어사 강좌 교재로 집필된 이 개설(초판)은 모두 7장으로 짜여져 있다. 즉, 서설(序說)‧국어의 형성‧‧근대국어‧현대국어로서, 서설에서...
  • 시전대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결이 국어사연구와 『시전』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 『구결(口訣)의 연구(硏究)』(안병희, 일지사, 1977) 「한글의 새로운 기원설」(김선기, 『명대논문집』3, 명지대학교, 1970)
  • 주역대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체재의 『서전대문(書傳大文)』‧『시전대문(詩傳大文)』과 같이 정자와 약자가 고루 나타난다. 국어사연구와 경전연구에 자료가 된다. 『구결(口訣)의 연구(硏究)』(안병희, 일지사, 1977) 주...

고서·고문서(11)

  • 飜譯朴通事辭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 근대국어; 번역박통사 [국중]서고자료신청대(1층) [국중][KDC]714.03-11-2 [국회]디지털정보센터(의정관3층) [국회]R 412.803 ㅂ213ㅂ [고려대]중앙도서관 제1자료실 [고려대][DDC]497.70203 2010 [...
    대표표제어飜譯朴通事辭典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 老乞大諺解辭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 근대국어; 노걸대언해 [국중]서고자료신청대(1층) [국중][KDC]713-9-6 [국회]디지털정보센터(의정관3층) [국회]R 412.803 ㅂ213ㄴ [서울대]중앙도서관 참고자료실 [서울대]R495.18 B149n 2009 [고려대]...
    대표표제어老乞大諺解辭典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 〈(비교언어학적) 어원사전〉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고 설명하였다. ■주제어 한국어학, 한국문학, 국어사전, , 고대국어 ■참고문헌 1. 김무림, 「국어 어원사전의 연구 성과」, 󰡔국어사연구󰡕 28, 국어사학회, 2019, 67-91쪽. 2. 정유남‧도원영‧김숙정, 「국어어원사전에 대한 사전학적 검토」...
    대표표제어〈(비교언어학적) 어원사전〉 해제
  • 조선시대 한글편지:1700년 안동김씨가 아들 송상기에게 보낸 편지 [조선시대 한글편지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학중앙연구원]
    듯하다. ‘유무’는 ‘소식, 편지’라는 뜻으로 에서 일반적으로 쓰인 단어이지만, 현대국어에서 쓰이지 않는다. 편지, 교대, 병, 해산 1700년 안동김씨가 아들 송상기에게 보낸 편지 G002+LET+KSM-XF.1700.0000-20140430.B001...
    발신자안동김씨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팀(연구책임자:황문환 교수)
  • 〈敎學 古語辭典_남광우〉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문헌자료들에 나타난 국어의 어휘들은 국어의 역사를 풍성하게 해 주는 가장 중요한 원천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사전은 와 근대국어 문헌자료들에 나타난 국어의 어휘들을 오랜 시간 동안 모으고 정리한 국어 연구의 보고(寶庫)이다. 국어의 어휘와 관련된 모든 연구에서...
    대표표제어〈敎學 古語辭典_남광우〉 해제 | 편저자남광우 (편저) | 권수1책

기초학문(13)

  • 형용사 구문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48172 한국연구재단 서울대 대학원 형용사 구문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
    유형논문
  • 교육 내용의 산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3
    60842 한국연구재단 국어사학회 2013 교육 내용의 산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후기 의 원망(願望)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고은숙, 게재일 : 2012
    42782 고은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학회 2012 후기 의 원망(願望) 표현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접속어미 '-디옷'의 문법에 대하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1
    44845 한국연구재단 국어학회 2011 접속어미 '-디옷'의 문법에 대하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후기 부정문의 서법별 변천 양상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형우, 게재일 : 2016
    61123 박형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민족어문학회 2016 후기 부정문의 서법별 변천 양상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
    유형논문 | 게재일2016

연구과제(1)

  • 월인천강지곡 (月印千江之曲)

    한국 학술 번역사업 | Thorsten TRAULSEN | Ruhr-Universität Bochum | 2014 | 국외 | 해외

주제어사전(14)

  • / [언어/언어/문자]

    고대국어와 근대국어의 중간 시기에 자리하는 국어. 고려시대와 임진왜란 이전 조선시대, 곧 10세기부터 16세기까지의 국어로서 통일신라의 언어를 근간으로 하여 발달하였다. 통일신라의 언어가 현재의 동남 방언에 속하는 경주어를 중심으로 한 것이나, 는 중부 방언에

  • 문법 / 文法 [언어/언어/문자]

    이숭녕(李崇寧)이 지은 문법서. ‘15세기 국어를 주로 하여’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이 책은 지은이의 『고어의 음운과 문법』(1949)·『고전문법』(1954)이 징검다리가 되어 만들어진 15세기 국어문법의 입문서이다. 1981년 개정증보판이 나왔는데, 반양

  • 연구 / 硏究 [언어/언어/문자]

    허웅(許雄, 1918∼2004)이 중세 국어에 대한 여러 논문을 세 주제로 묶어 간행한 국어학 연구서. 서문에 따르면, 인쇄소가 서울대학교 출판부로 되어 있는데 중세 문헌에 나타나는 여러 글자들을 찍기 위한 활자를 서울대학교 출판부에서 새로 만들었다고 한다. 또한 책의

  • 근대국어 / 近代國語 [언어/언어/문자]

    17세기 초부터 19세기 말까지의 국어. 근대국어는 에서 현대국어를 이어주는 교량적 시기의 국어이다. 근대국어 시기는 후기 의 변화된 결과가 나타나서 새로운 체계를 보이기 시작하는 시기이며, 동시에 현대국어의 제반 특징이 출현하는 때이기도 하다.그래서

  • 고구려어 / 高句麗語 [언어/언어/문자]

    가운데 고구려어는 약간의 자료를 남겼을 뿐 아니라, 의 형성에 참여함으로써 그 흔적을 국어 속에 남겼다. 는 고려 초엽에 형성되었는데, 그 토대가 된 개경방언에는 고구려어의 요소가 많건 적건 남아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 구체적인 증거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