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중강개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5)
사전(30)
- 중강개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데, 이를 책문후시(柵門後市)라 하였다. 이들의 범위가 더욱 커져 결국 조정에서 세금을 받고 공인하게 되자, 중강개시는 자연 1700년(숙종 26)에 그치고 말았다. →중강후시 宣祖實錄 仁祖實錄 同文彙考 通文館志
- 中江開市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G1_S_0001 中江開市 국제관계 耕作, 煙火, 氓俗, 大小邦, 彊域, 兩民, 雜居, 戈戟, 安寢, 中江, 開市, 飢荒, 建白, 綿布, 鐵器, 粟, 流布, 數年, 譯舌, 物貨, 罷市, 太監, 移咨, 嚴切, 照舊, 買賣, 禮部, 布, 鹽, 鐵, 上國,...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7권 1장 2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의주부장계등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40년(헌종 6)부터 1893년(고종 30)까지 의주부(灣府라고도 함)에서 의정부 및 비변사로 올린 장계를 모은 책. [내용] 비변사로 올린 것 6책, 의정부로 올린 것 1책. 필사본. 내용은 주로 사은사의 왕래, 중강개시(中...
- 의주개시(義州開市)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의주개시 의주개시 義州開市 중강개시(中江開市) 개시무역(開市貿易), 파삼(把蔘), 호시(互市), 별장(別將) 경제무역|정치/외교/외교사안 의식 행사 대한민국 조선후기 조선후기 최주희 1592년(선조...동의어중강개시(中江開市) | 관련어개시무역(開市貿易), 파삼(把蔘), 호시(互市), 별장(別將)
- 개시(開市)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개시 개시 開市 회동관개시(會同館開市), 책문개시(柵門開市), 중강개시(中江開市), 북관개시(北關開市), 왜관개시(倭館開市) 경제산업/상업·무역 개념용어 조선 이철성 [정의] 외국과의관련어회동관개시(會同館開市), 책문개시(柵門開市), 중강개시(中江開市), 북관개시(北關開市), 왜관개시(倭館開市)
고서·고문서(25)
- 人事門1_中江開市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中江開市 義州、三江之間, 彼此民俱不得耕作, 自宣廟末年, 鴨綠江邊, 烟火相接. 雖村閭氓俗, 昵比則易釁, 況大小邦疆域之逼近耶? 加之豆滿以外, 兩民雜居, 鍾離、卑梁戈戟日鬨, 到今, 兩界虛曠, 人得以安寢, 古未始有也. 中江開市, 壬辰之後, 飢荒日甚, 柳西厓建白設之. 以綿布、...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七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구관제도조사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이 자료는 1929년 3월 11일부터 10일간 평안북도 신의주, 의주, 용천의 구관을 조사한다고 되어 있지만, 실제 내용은 의주에 집중되어 있다. 조선시대 의주의 군수(軍數)와 환곡, 중강개시(中江開市)에 대한 조사가 기록되어 있다. 조사는 중추원 촉탁인 이인수(李寅...분류관습조사일반 | 소장처수원시박물관
- 노어(鱸魚)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7344 B037344 노어 鱸魚 경제산업 大東地誌 권12 평안도 東國地理 平安道淸北義州 土産 絲 床 蜜 訥魚 秀魚品上 銀口魚錦鱗魚 鱸魚 淡淸玉 水泡石 弓幹木 蟹白芷 鹽場市邑內場六日 麟山場四九日 楊下場三八日山城場二七日淸城場四九日石橋場五十日中江開市本朝 世宗朝 明宗宣勅...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中江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市調停,奉旨催督事,移咨于本國.【史臣曰"中江開市之非,(波) 蠢之宦者,何足責乎?其中姓張姓趙,而稱御史者,俱是名臣,曾無一言諫止者,可謂中國有人乎?其見笑侮於藩邦宜矣."】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선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中江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외교 戶曹啓曰"今此中江開市,已定日期,而京中商賈,絶無入往者云, 胡人不無發怒之端.今差解事算員,齎紙地·胡椒·丹木·靑布等物,前往開市處,換貿銀兩,回還之時,轉入椵島,抵換靑布,以爲胡差贈給之用,而終若得贏,則京商之願赴者必多,請以此行會于平安監司,管餉使,義州府尹."從之.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인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주제어사전(1)
-
중강개시 / 中江開市 [경제·산업/산업]
·면포·사기 등을 수출하되, 암말 과 인삼의 교역을 금하였다. 개성부와 황해도·평안도 감영에서 각 고을에 분정하고, 중강에 가서 값을 정하고 서로 교환하는 방법으로 하였다. 이후 중강개시는 1700년(숙종 26)에 그치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