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줄다리기” 에 대한 검색결과 23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3)

사전(186)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많은 사람이 두 편으로 나뉘어 줄을 마주 잡아당겨 승부를 겨루는 놀이.
    정의많은 사람이 두 편으로 나뉘어 줄을 마주 잡아당겨 승부를 겨루는 놀이.[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juldarigi | MR표기chuldarig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많은 사람이 두 편으로 나뉘어 줄을 마주 잡아당겨 승부를 겨루는 놀이. [내용] 삭전(索戰)‧조리지희(照里之戱)‧갈전(葛戰)이라고도 한다. 의 기원에 대해서는 당나라 봉연(封演)이 쓴 ≪봉씨문견기 封氏聞見記≫에 춘추시대
    이칭별칭삭전(索戰)|조리지희(照里之戱)|갈전(葛戰)
  • 영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마다 줄을 다려야만 시절이 좋고 풍년이 든다.”고 믿어서 이를 벌여왔다고 한다. 를 위하여 마을은 동과 서 두 편으로 나뉜다. 편제는 나무쇠싸움의 경우처럼 옛 성(城)을 기준으로 성 안쪽에 위치한 성내리와 교리는 동부에, 성밖의 서리와 동리는 서부에 가담...
    연계항목영산줄다리기(靈山줄다리기)
  • 기지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기지시리에 전승되는 . [내용] 중요무형문화재 제75호. 기지시는 현지에서 ‘틀무시(틀모시)’ 또는 ‘틀못’이라고 부른다. 전설에 의하면 이곳은 풍수상으로 보아 옥녀가 베짜는 형국이어서 베를
    연계항목기지시줄다리기(機池市줄다리기)
  • 삼척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강원도 삼척지방에 전승되는 . [내용]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2호. 전통적으로 정월대보름에 거행하는 로, ‘삼척게’라고도 한다. 이 기의 역사는 조선 현종 초기(1662년경) 제방과 저수지...
    연계항목삼척기줄다리기(三陟기줄다리기)

고서·고문서(9)

  • 普通學校學徒用國語讀本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나라 ᄒᆞ쟈. 마주서셔 공 친다.
    서명普通學校學徒用國語讀本 | 자료명第十七課
  • 初等小學 卷三 初等小學_卷三 第三 쥴다리기 대한국민교육회 1906 경성일보사 도서출판 경진 개화기 사찬독본 한국어 현대띄어쓰기를 적용하였음 今日은 學校의 운동회오. 여러 學徒가 一齊히 운동쟝에 모엿소. 지금 ᄅᆞᆯ 시쟉ᄒᆞ얏
    서명初等小學 | 자료명第三 쥴다리기
  • 初學時文必讀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하고 用力引繩하니 引左則左勝하고 引右則右勝이라 若一人不力이면 則衆人이 皆受其累하나니 噫라 遊戲之事도 且然하니 其他를 可類推矣로다 가 合羣의 竸爭이 되니 사람 슈효의 만코 적은 거로써 両端의 支配가 되난지라 모름즉이 그 長幼와 强弱을 고르게하야 하야금 各其 줄...
    서명初學時文必讀 | 자료명引繩說
  • 最新初等小學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第八 學徒의 膽力 十三 第九 雉와 孔雀 十四 第十 모긔蚊 十六 復習二 十八 第十一 개구리蛙 二十 第十二 二十一 運動歌 二十三 第十四 소나무松 二十五 第十四 탐心 만흔 犬 二十七 第十五 牧丹花 二十九 復習三 三十一 第十六 말馬 三十三 第十七 연ᄭᅩᆺ蓮 三十六 ...
    서명最新初等小學 | 자료명目次
  • 는 것으로 보아 교토 출신의 화가 다케다 고요(1894~?)의 작품임을 알 수 있다. 엽서 뒷면 하단에는 남자아이는 팽이 돌리기, 여자아이는 널뛰기, 어른은 바둑과 장기, 시골에서는 , 상류층은 활쏘기 등으로 조선의 놀이 문화를 간략하게 소개하고 있다. 아울러...
    자료명완구 | 발행처朝鮮總督府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구술자료(14)

  •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장소전라북도 부안 | 제보자미상
  • 선농당과 게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선동당의 위치에 그에 관한 이야기를 해달라고 했다. *
    조사일시1980-11-09 | 조사장소강원도 삼척군 삼척읍 | 제보자김일기
  • 무안(武安) 의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제보자가 앞 설화를 마치고 계속하여 한 가지 이야기를 더 하겠다고 하며 구술했다. *
    조사일시1981-01-21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무안면 | 제보자김수운
  • 영산 윤상식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영산 윤상식 대담조사 예술·체육 작품 현대 I-259 2579 경남 대담조사자료 1)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의 에 대한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연희음악;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윤상식
  • 김형권 대담 예술·체육 작품 현대 I-187 3164 경남 대담조사자료 1) 김형권이 영산 쇠머리대기에 대하여 증언한 대담자료이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농악;연희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형권

기초학문(3)

  • 영산강 유역 문화의 구조적 분석과 특질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표인주, 게재일 : 2008
    23210 표인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민속학회 2008 영산강 유역 문화의 구조적 분석과 특질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일제의 민속통제와 집단놀이의 쇠퇴 : 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공제욱, 게재일 : 2012
    39558 공제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회사학회 2012 일제의 민속통제와 집단놀이의 쇠퇴 : 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19세기 중엽, 義城縣의 줄당기기를 통해 본 고을 축제의 성격과 문화적 의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한양명, 게재일 : 2005
    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06626&local_id=10008712 19세기 중엽, 義城縣의 를 통해본 고을축제의 정치성과 문화적 의미 http
    유형논문 | 게재일2005

신문·잡지(10)

  • 공화당 오늘의 기류 (하) 불연속선상의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3) 1962년·1969년 개헌관련 공화당 오늘의 기류 (하) 불연속선상의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68년 5월 29일 동아일보사 동아일보 기사/사설 3 이 글은 1971년, 정권이 교체될 것인지에 대해 당시의 분위기를
    대표표제어공화당 오늘의 기류 (하) 불연속선상의 줄다리기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동아일보사 | 출처동아일보 | 키워드삼선 개헌, 연임 개헌, 박정희, 김종필
  • (학도운동)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학도 운동 범졀을 영어 교와 락동잇 영국교 교가 쥬션 학도를 시험기 당나귀 타고 달니기와 씨름기와 다름질 기와 간엄기와 가에 치 션 염 기와 학도 열명식 좌우에 셰우고 와 며쥬덩이갓치 쇠로만든 텰공던지기를 취야 장원 학도들...
    게재일1899년 5월 1일 | 기사분류잡보
  • 지 않고 있음. 양측이 명분과 실리를 모두 추구하려는 결과를 이끌어내고자 하는 협상과정에서, 공통적인 내용은 ‘타당하고 합리적인 군사 휴전협정을 체결’하겠다는 것임. 하지만, 전쟁포로 교환에 있어서 ‘일대일 또는 전원 송환’ 방식이 핵심적으로 부딪히고 있음....
    대표표제어회담의 재개 및 쟁점 | 자료유형서신/정책보고서 | 집필자미국무부 | 출처FRUS,1951,vol.7(pp.1061-1074) | 키워드비무장지대, 군사 분계선, 전쟁포로, 휴전협정, 포로송환, 자유 송환, 전원 송환, 제네바 협정
  • 와대장쟁이 雲齊學人 25 거북의 ●●● 40 어재ㅅ밤비에-우리호박맛이떳서요 李聖洪 46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0
  • 조덕현 114 영웅들 스케트를 타다 현재훈 116 민속경기- 121 70년대 유망주...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0

멀티미디어(1)

  • 소록도서 운동회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전라남도 소록도의 나병환자들을 요양하고 있는 갱생원에서 창립 40주년 기념식이 열렸다. 어린 아이들을 주 대상으로 하는 운동회가 열렸으며, 어른들도 참여하여 를 행사가 진행되었다.
    자료구분리버티뉴스 | 제작년도1956년 6월 | 제작주한미공보원

주제어사전(13)

  • / [생활/민속]

    많은 사람이 두 편으로 나뉘어 줄을 마주 잡아당겨 승부를 겨루는 놀이. 삭전(索戰)·조리지희(照里之戱)·갈전(葛戰)이라고도 한다. 의 기원에 대해서는 당나라 봉연(封演)이 쓴 ≪봉씨문견기 封氏聞見記≫에 춘추시대 오(吳)·초(楚) 사이의 싸움에서 유래하였다고 하

  • 기지시 / 機池市─ [생활/민속]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기지시리에 전승되는 . 중요무형문화재 제75호. 기지시리의 당산제는 매년 음력 정월에 마을 동편에 있는 국수봉(國守峰)의 국수당에서 행해지나, 는 윤년의 음력 3월 초에만 행해진다. 따라서, 를 하는 해에는 3월에 당제를

  • 삼척기 / 三陟─ [생활/민속]

    강원도 삼척지방에 전승되는 . 이 놀이는 실제로 선농단(先農壇)에서 입춘일에 지내는 선농제(先農祭)로부터 시작된다. 『삼척 구지(舊誌)』에 의하면, 입춘에 선농제를 지낼 때 오곡과 소를 잡아 제사지내고, 제사가 끝나면 씨뿌리고 곡식을 수확하는 놀이를 하고, 큰

  • 영산 / 靈山─ [생활/민속]

    서 이를 벌여왔다고 한다. 를 위하여 마을은 동과 서 두 편으로 나뉜다. 편제는 나무쇠싸움의 경우처럼 옛 성(城)을 기준으로 성 안쪽에 위치한 성내리와 교리는 동부에, 성밖의 서리와 동리는 서부에 가담한다. 또, 읍 외의 사람들은 구마고속도로를 중심으로 마을의

  • 노래 / [문학/구비문학]

    를 하면서 부르는 민요. 유희요의 하나이다. 예전부터 의 성행은 단순한 놀이로서가 아니라 를 함으로써 풍년이 기약된다는 속신(俗信)이 바탕에 깔렸기 때문이었다. 「노래」는 남성들의 집단유희요로, 그 민요사설이 단조로울 뿐더러 드물게 전승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