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줄다리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2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6)
사전(186)
- 줄다리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많은 사람이 두 편으로 나뉘어 줄을 마주 잡아당겨 승부를 겨루는 놀이. [내용] 삭전(索戰)‧조리지희(照里之戱)‧갈전(葛戰)이라고도 한다. 줄다리기의 기원에 대해서는 당나라 봉연(封演)이 쓴 ≪봉씨문견기 封氏聞見記≫에 춘추시대이칭별칭삭전(索戰)|조리지희(照里之戱)|갈전(葛戰)
- 줄다리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많은 사람이 두 편으로 나뉘어 줄을 마주 잡아당겨 승부를 겨루는 놀이.정의많은 사람이 두 편으로 나뉘어 줄을 마주 잡아당겨 승부를 겨루는 놀이.[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juldarigi | MR표기chuldarig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영산줄다리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마다 줄을 다려야만 시절이 좋고 풍년이 든다.”고 믿어서 이를 벌여왔다고 한다. 줄다리기를 위하여 마을은 동과 서 두 편으로 나뉜다. 편제는 나무쇠싸움의 경우처럼 옛 성(城)을 기준으로 성 안쪽에 위치한 성내리와 교리는 동부에, 성밖의 서리와 동리는 서부에 가담...연계항목영산줄다리기(靈山줄다리기)
- 기지시줄다리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기지시리에 전승되는 줄다리기. [내용] 중요무형문화재 제75호. 기지시는 현지에서 ‘틀무시(틀모시)’ 또는 ‘틀못’이라고 부른다. 전설에 의하면 이곳은 풍수상으로 보아 옥녀가 베짜는 형국이어서 베를연계항목기지시줄다리기(機池市줄다리기)
- 삼척기줄다리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강원도 삼척지방에 전승되는 줄다리기. [내용]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2호. 전통적으로 정월대보름에 거행하는 줄다리기로, ‘삼척게줄다리기’라고도 한다. 이 기줄다리기의 역사는 조선 현종 초기(1662년경) 제방과 저수지...연계항목삼척기줄다리기(三陟기줄다리기)
고서·고문서(2)
- 완구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는 것으로 보아 교토 출신의 화가 다케다 고요(1894~?)의 작품임을 알 수 있다. 엽서 뒷면 하단에는 남자아이는 팽이 돌리기, 여자아이는 널뛰기, 어른은 바둑과 장기, 시골에서는 줄다리기, 상류층은 활쏘기 등으로 조선의 놀이 문화를 간략하게 소개하고 있다. 아울러...자료명완구 | 발행처朝鮮總督府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중종_008 [동아시아 속의 한국고대사 <br>구당서 본기를 기본 텍스트로</br> | 동국대학교]苑, 命宮女數百人為棃園弟子即是. 棃園者按樂之地, 而預教者名為弟子耳. 凡蓬萊宮・宜春院, 皆不在棃園之內也"(6639~6640쪽).의 격구장에 모이게 하고는 무리를 지어 拔河 ‘拔河’는 당대에 유행한 유희의 일종으로, 지금의 줄다리기와 유사하다. 封演, 封氏見聞記 권6, ‘...권수구당서 권7 | 편명본기7 | 대표표제어중종_008
구술자료(14)
- 줄다리기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장소전라북도 부안 | 제보자미상
- 선농당과 게줄다리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자가 선동당의 위치에 그에 관한 이야기를 해달라고 했다. *조사일시1980-11-09 | 조사장소강원도 삼척군 삼척읍 | 제보자김일기
- 무안(武安) 줄다리기의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가 앞 설화를 마치고 계속하여 한 가지 이야기를 더 하겠다고 하며 구술했다. *조사일시1981-01-21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무안면 | 제보자김수운
- 영산 줄다리기 윤상식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영산 줄다리기 윤상식 대담조사 예술·체육 작품 현대 I-259 2579 경남 대담조사자료 1)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의 줄다리기에 대한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연희음악;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윤상식
- 김형권 대담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김형권 대담 예술·체육 작품 현대 I-187 3164 경남 대담조사자료 1) 김형권이 영산 줄다리기 쇠머리대기에 대하여 증언한 대담자료이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농악;연희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형권
기초학문(3)
- 영산강 유역 줄다리기문화의 구조적 분석과 특질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표인주, 게재일 : 200823210 표인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민속학회 2008 영산강 유역 줄다리기문화의 구조적 분석과 특질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일제의 민속통제와 집단놀이의 쇠퇴 : 줄다리기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공제욱, 게재일 : 201239558 공제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회사학회 2012 일제의 민속통제와 집단놀이의 쇠퇴 : 줄다리기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유형논문 | 게재일2012
- 19세기 중엽, 義城縣의 줄당기기를 통해 본 고을 축제의 성격과 문화적 의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한양명, 게재일 : 2005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06626&local_id=10008712 19세기 중엽, 義城縣의 줄다리기를 통해본 고을축제의 정치성과 문화적 의미 http유형논문 | 게재일2005
신문·잡지(10)
- 공화당 오늘의 기류 (하) 불연속선상의 줄다리기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3) 1962년·1969년 개헌관련 공화당 오늘의 기류 (하) 불연속선상의 줄다리기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68년 5월 29일 동아일보사 동아일보 기사/사설 3 이 글은 1971년, 정권이 교체될 것인지에 대해 당시의 분위기를대표표제어공화당 오늘의 기류 (하) 불연속선상의 줄다리기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동아일보사 | 출처동아일보 | 키워드삼선 개헌, 연임 개헌, 박정희, 김종필
- (학도운동)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학도 운동 범졀을 영어 교와 락동잇 영국교 교가 쥬션 학도를 시험기 당나귀 타고 달니기와 씨름기와 다름질 기와 간엄기와 가에 치 션 염 기와 학도 열명식 좌우에 셰우고 줄다리기와 며쥬덩이갓치 쇠로만든 텰공던지기를 취야 장원 학도들...게재일1899년 5월 1일 | 기사분류잡보
- 신소년_1930_08_0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와대장쟁이 雲齊學人 25 거북의줄다리기 ●●● 40 어재ㅅ밤비에-우리호박맛이떳서요 李聖洪 46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0
- 회담의 재개 및 쟁점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지 않고 있음. 양측이 명분과 실리를 모두 추구하려는 결과를 이끌어내고자 하는 줄다리기 협상과정에서, 공통적인 내용은 ‘타당하고 합리적인 군사 휴전협정을 체결’하겠다는 것임. 하지만, 전쟁포로 교환에 있어서 ‘일대일 또는 전원 송환’ 방식이 핵심적으로 부딪히고 있음....대표표제어회담의 재개 및 쟁점 | 자료유형서신/정책보고서 | 집필자미국무부 | 출처FRUS,1951,vol.7(pp.1061-1074) | 키워드비무장지대, 군사 분계선, 전쟁포로, 휴전협정, 포로송환, 자유 송환, 전원 송환, 제네바 협정
- 스포오츠_1970_01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조덕현 114 영웅들 스케트를 타다 현재훈 116 민속경기-줄다리기 121 70년대 유망주...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0
멀티미디어(1)
- 전라남도 소록도의 나병환자들을 요양하고 있는 갱생원에서 창립 40주년 기념식이 열렸다. 어린 아이들을 주 대상으로 하는 운동회가 열렸으며, 어른들도 참여하여 줄다리기를 행사가 진행되었다.자료구분리버티뉴스 | 제작년도1956년 6월 | 제작주한미공보원
주제어사전(13)
-
줄다리기 / [생활/민속]
많은 사람이 두 편으로 나뉘어 줄을 마주 잡아당겨 승부를 겨루는 놀이. 삭전(索戰)·조리지희(照里之戱)·갈전(葛戰)이라고도 한다. 줄다리기의 기원에 대해서는 당나라 봉연(封演)이 쓴 ≪봉씨문견기 封氏聞見記≫에 춘추시대 오(吳)·초(楚) 사이의 싸움에서 유래하였다고 하
-
기지시줄다리기 / 機池市─ [생활/민속]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기지시리에 전승되는 줄다리기. 중요무형문화재 제75호. 기지시리의 당산제는 매년 음력 정월에 마을 동편에 있는 국수봉(國守峰)의 국수당에서 행해지나, 줄다리기는 윤년의 음력 3월 초에만 행해진다. 따라서, 줄다리기를 하는 해에는 3월에 당제를
-
삼척기줄다리기 / 三陟─ [생활/민속]
강원도 삼척지방에 전승되는 줄다리기. 이 놀이는 실제로 선농단(先農壇)에서 입춘일에 지내는 선농제(先農祭)로부터 시작된다. 『삼척 구지(舊誌)』에 의하면, 입춘에 선농제를 지낼 때 오곡과 소를 잡아 제사지내고, 제사가 끝나면 씨뿌리고 곡식을 수확하는 놀이를 하고, 큰
-
영산줄다리기 / 靈山─ [생활/민속]
서 이를 벌여왔다고 한다. 줄다리기를 위하여 마을은 동과 서 두 편으로 나뉜다. 편제는 나무쇠싸움의 경우처럼 옛 성(城)을 기준으로 성 안쪽에 위치한 성내리와 교리는 동부에, 성밖의 서리와 동리는 서부에 가담한다. 또, 읍 외의 사람들은 구마고속도로를 중심으로 마을의
-
줄다리기노래 / [문학/구비문학]
줄다리기를 하면서 부르는 민요. 유희요의 하나이다. 예전부터 줄다리기의 성행은 단순한 놀이로서가 아니라 줄다리기를 함으로써 풍년이 기약된다는 속신(俗信)이 바탕에 깔렸기 때문이었다. 「줄다리기노래」는 남성들의 집단유희요로, 그 민요사설이 단조로울 뿐더러 드물게 전승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