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죽순” 에 대한 검색결과 35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54)

사전(14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대나무의 어린 줄기. [내용] 대나무는 동양의 열대ㆍ아열대에서 자생하는 식물로서, 은 고급 식품재료로 이용되고 있다. 조선시대의 문헌인 『증보산림경제』ㆍ『임원경제지』 등에도 밥ㆍ정과ㆍ나물 등 다양한 조리법이 수록되어 있...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죽태(竹胎) 건순(乾筍), 김치[筍菹], 해(醢) 생활 풍속식생활/음식 식재료 대한민국 조선 김혜숙 한국, 중국, 일본 5월 중순~6월 중순 천신종묘의(薦新宗廟儀),...
    동의어죽태(竹胎) | 관련어건순(乾筍), 죽순김치[筍菹], 죽순해(竹筍醢)
  • 김치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연한 죽순을 소금물에 데쳐 고춧가루, 찹쌀풀, 쪽파, 배 등을 넣어 버무린 김치.
    정의연한 죽순을 소금물에 데쳐 고춧가루, 찹쌀풀, 쪽파, 배 등을 넣어 버무린 김치.[두산백과] | 문광부표기juksun gimchi | MR표기chuksun kimch’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청자형주자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죽순 모양의 청자 주자.
    정의죽순 모양의 청자 주자.[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cheongja juksunhyeong juja | MR표기ch’ŏngja chuksunhyŏng chuj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청자음각형주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의 주전자. [내용] 높이 22.5㎝. 일본 오사카(大阪)시립동양도자미술관 소장. 봄에 싹터서 막 피어오른 대나무 밑둥의 을 상형한 몸체와, 대줄기를 구부려 붙인 듯한 주구(注口)와 손잡이, 그리고 의 봉우리를 나타낸 뾰족...

고서·고문서(166)

  • 조선시대 역학서:1768_몽어유해(下)_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
    몽어유해 100 1768_몽어유해(下) 1768몽어유해(하)003b.jpg 山藥 마 葫蘆 박 蘑菇 버슷 香蕈 표고 沙蔘 더덕 @ 莄 도랏 小根菜 랑귀 甘薺菜 나히 蓼莪菜 역괴 @ 菜 평지 羊蹄菜 소로쟝이 酸蔣菜 승아 莧菜 비름 苦菜 씀바괴 果...
    편명1768_몽어유해(下)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皆甫餽梅實,以山田新瓜謝之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050 詩集 卷五 ITKC_MP_0597A_0050_010_1220 皆甫餽梅實,以山田新瓜謝之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
    권차명詩集 卷五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궁내부 조회에 근거하여 훈령을 내리니 담양군 1897년 4월, 1898년 4월 진상 과 1897년 10월의 진상 청대죽 값을 담양군 공전에서 지급하고 보고하라는 훈령의 기안문.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궁내부대신임시서리 조회를 살펴보고 장흥군 1898년 2월과 1899년 2월의 진상 전복 값을 장흥군 1897-1898년 결세에서 지급하고, 담양군 1897년 4월, 1898년 4월 진상 과 1897년 10월의 진상 청대죽 값을 담양군 공전에서 지급하고 궁내부비에서 제하도록 탁지부대신 승인을 받고 통첩하니 훈령을 내려 달라는 통첩.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48572 B048572 대죽 大竹 경제산업 輿地圖書 慶尙道 密陽 進貢 進貢靑大竹 生 早栗 人蔘 天門冬
    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10)

  •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주변에서 웃으며 노래를 권유하자 노래를 불렀다. 청중들은 제보자가 의외로 노래를 잘 부른다면서 칭찬하였다.
    조사일시2009.02.14 | 조사장소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개평리 상개평마을 | 제보자박순이(여,69세)
  • 쌀 나오는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조사자가, 어느 절의 바위에 쌀이 나오는 구멍이 있어 한 사람이 하루에 세끼니를 먹을 만큼 쌀이 나왔는데, 욕심많은 중이 막대기로 구멍을 쑤셨더니 그만 쌀이 나오지 않았다는 이야기를 들려주자, 이 이야기를 구연했다. *
    조사일시1984-02-19 | 조사장소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 제보자여종한
  • 엄동설한에 과 딸기를 얻은 효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실명은 잊었으나 전해오는 효자 이야기라고 하며 제공하였다.*
    조사일시1981-08-11 | 조사장소경기도 강화군 양도면 | 제보자박옥순
  • 맹종의 얻기과 왕상의 잉어얻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item id="914" 서지id="tsu_2602" 기사서지id="Q_2602_608_0000_0000"><br/><Sync Start="1246326"><P class="KRCC"><classserial>[장성읍 설화 ]</classserial><br/><제목>...
    조사일시1982-01-13 | 조사장소전라남도 장성군 장성읍 수산리 | 제보자차상준
  • 맹종의 얻기와 왕상의 잉어얻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우리나라는 효도를 많이 하는 나라이기에 교육상 좋은 이야기를 많이 해야 한다고 하고 나서, 이 고장의 차씨 열녀이야기를 들려 달라고 하니까, 비문을 가보면 될 것이 아니냐고 하다가 그럼 비문대로라도 이야기 하겠다고 하면서 들려 주었다. 사실은 진작 이야기를 하려다...
    조사일시1982-01-13 | 조사장소전라남도 장성군 장성읍 수산리 | 제보자차상준

신문·잡지(31)

  • 弊의論斷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음쥭군슈 박쥬헌씨 군분파소 슌검이 민형간 모단송와 제반군무에 간셥지안이 일이 업슨즉 과연슌금의 권한이 그러게드면 그슌검들만 두어도 죡터인 소위군슈 다만 허소비와갓치 국고금만 허비 모양이니 그슌검의 월권을 금단던지 군슈를 업시던지 죠량판리 라...
    게재일1907년 5월 31일 | 기사분류잡보
  • 〈筍〉 (〈〉)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신년휘호
    작품명_원문〈筍〉 | 게재일19280101 | 게재판 | 게재면13 | 게재단1-4
  • 리두진 민주청년사 평양특별시 대환리 11번지 조선민주청년동맹 중앙위원회 기관지 한창수 김, 박성규 ○○전선으로 향하는 큰 길가에서 간호원 김 동무와 부상병 박성규 동무는 잡아쥔 손을 힘껏 흔들며 마지막 인사를 주고받았다. 『분대장 동무의...
    대표표제어민주청년_1951_1004_03 | 책임주필리두진
  • (일본안의)조선문화_1973_18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목차 표지없음 対馬の朝鮮系仏像彫刻 菊一 4 李朝繪画と室町水墨画 松下隆章 14
    발행국가일본 | 발행연도1973
  • (일본안의)조선문화_1973_20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表紙写真について 19 (座談会)対馬と朝鮮をめぐって 上田正昭, 岡崎 敬, 金達寿, 菊一, 永留久惠, 李進熙 20 故国見の旅 鄭貴文...
    발행국가일본 | 발행연도1973

멀티미디어(3)

  • 15세기 중반 ()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O/X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경제_278_토공_15세기_중반_() 경제_333_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5세기 중반 마른[乾]
    [HGIS에 기반한 조선시대 전국지리지의 공간적 재현과 역사지도 제작 | 고려대학교]
    15세기 중반 마른[乾]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O/X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경제_177_토공_15세기_중반_마른[乾] 경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5세기 중반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O/X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경제_414_토산_15세기_중반_ 경제_469_토산_15세기_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기타자료(1)

  • ;趙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1945 남한 경기 인천고등여학교 2-40 졸업대장(1912-1946) n.r. 141면 조;趙 함경남도 1 4279년 6월 22일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인천고등여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4)

  • / [생활/식생활]

    대나무의 어린 줄기. 대나무는 동양의 열대·아열대에서 자생하는 식물로서, 은 고급 식품재료로 이용되고 있다. 조선시대의 문헌인 『증보산림경제』·『임원경제지』 등에도 밥·정과·나물 등 다양한 조리법이 수록되어 있다. 어린 은 많은 맛성분이 어울려서

  • 대나무 / [과학/식물]

    우리 나라에서 널리 식재되고 있다. 땅속줄기로 길게 옆으로 뻗으며 해마다 5월 중순에서 6월 중순에 걸쳐 을 낸다. 껍질은 흑갈색의 반점이 있고 맛은 쓰다. 줄기의 높이는 20m에 달하나 추운 지방에서는 3m밖에 자라지 않는다.

  • 생채 / 生菜 [생활/식생활]

    익히지 않고 날로 무친 나물. 생채는 각 계절마다 새로 나오는 채소나 산나물이 모두 쓰이는데, ≪증보산림경제≫에 보면 특히 갓류·넘나물[黃花菜]·두릅·구기의 어린 순··감국화 같은 향신채(香辛菜)가 많이 쓰였음을 알 수 있다. 종류로는 식초·기름·간장 또는 소금을

  • 하일즉사 / 夏日卽事 [문학/한문학]

    더위 속에도 짧은 모자와 가벼운 적삼을 입으니 그리 덥지 않다고 했다. 3·4구에서는 장맛비 속에서 대의 이 터져 나오는 정경과, 이와는 달리 힘없이 바람에 따라 흩날리는 꽃잎을 읊었다. 5·6구에서는 글 짓는 일에서 이름을 숨기고, 벼슬길에서 시비를 벗어나고 싶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