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죽소장” 에 대한 검색결과 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5)

  • 목소장(木梳匠)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목소장 목소장 木梳匠 빗장이 경공장(京工匠), 공장(工匠), 관장(官匠), 외공장(外工匠), 장인(匠人) 반달빗[半月梳], 소성장(梳省匠), 소장(梳匠), 음양소(陰陽梳), () 정치행정/관속 직역 대한민국 고...
    상위어경공장(京工匠), 공장(工匠), 관장(官匠), 외공장(外工匠), 장인(匠人) | 관련어반달빗[半月梳], 소성장(梳省匠), 소장(梳匠), 음양소(陰陽梳), 죽소장(竹梳匠)
  • 소쿠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죽피를 떠서 결어 만든 위가 트이고 테가 둥근 그릇. [내용] 죽공예에 관한 기록은 조선시대의 ≪경국대전≫ 공장조(工匠條)에서 ()‧양태장(凉太匠)‧우산장(雨傘匠)‧선자장(扇子匠) 등 몇몇 죽공예 관계 공인(工人)의 종류를
  • 죽장(竹匠)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竹細匠), () 정치행정/관속 직역 대한민국 조선 조선 최영숙 1907년 공조(工曹), 병조(兵曹), 선공감(繕工監) [정의] 대나무로 다양한 생활용품을 만드는 장인. [개설] 대나무는 단단...
    상위어경공장(京工匠), 공장(工匠), 외공장(外工匠), 장인(匠人) | 동의어죽제장(竹製匠) | 관련어상자장(箱子匠), 선자장(扇子匠), 소장(梳匠), 양태장(凉太匠), 염장(簾匠), 우산장(雨傘匠), 잠장(箴匠), 죽공예(竹工藝), 죽세장(竹細匠), 죽소장(竹梳匠)
  • 참빗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공조에 2인이 있어 수요를 충당하였고 외공장으로는 전라도에 1인이 있었다. 참빗은 재료가 대나무로 예로부터 대가 나는 영ㆍ호남 지역 특산품으로 많은 농가에서 부업으로 제조하였으나, 개화기 이후 두발 간소화와 퍼머의 유행으로 점차 소멸되어 현재는 오...
  • 상의원(尙衣院)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피장(猠皮匠) 2명, 화빈장(火鑌匠) 2명, () 2명, 환도장(環刀匠) 12명, 침선장(針線匠) 40명, 합사장(合絲匠) 10명, 청염장(靑染匠) 10명, 홍염장(紅染匠) 10명, 세답장(洗踏匠) 8명, 도침장(搗砧匠) 14명, 연사장(鍊絲匠) 75명, 방...
    하위어공제(工製), 공조(工造), 공작(工作), 경공장(京工匠), 제색장(諸色匠) | 동의어상방(尙方) | 관련어내탕(內帑), 잠실(蠶室), 의대(衣襨), 상의사(尙衣司), 상방사(尙房司), 상의국(尙衣局), 장복서(掌服署)

주제어사전(1)

  • / [경제·산업]

    죽소 만드는 일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 소는 국장에서 기장, 콩, 보리 등의 곡식을 담던 명기로 해죽을 엮어서 만들며 주척을 이용하였다. 입구의 원지름을 4촌 5푼, 허리의 원지름은 7촌 5푼, 높이는 8푼, 바닥의 원지름은 5촌 5푼이었으며 곡식을 3되 담을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