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주청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7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0)
사전(195)
- 주청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등의 파송, 혹은 궁정 간의 통혼문제 등에도 주청사가 파견되었다. 또한, 군사적인 면에 있어서도 청병‧원병‧파병 등에 관하여 양국 사이에 논의의 여지가 있을 때 주청사‧진주사 등이 파견되었다. 사신의 구성원은 대개 정사‧부사‧서장관(書狀官 : 종사관)‧통사(通事...
- 주청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대중국관계에서 외교관계로 보내던 비정규적인 사절 또는 그 사신.정의조선시대 대중국관계에서 외교관계로 보내던 비정규적인 사절 또는 그 사신.[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jucheongsa | MR표기chuch’ŏng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주청사(奏請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주청사 주청사 奏請使 고명장(告命狀), 시호(諡號), 주문사(奏聞使), 진주사(陳奏使) 정치외교/사행 직역 대한민국/중국 조선 태조~철종 박성주 [정의] 조선시대의 비정기적...관련어고명장(告命狀), 시호(諡號), 주문사(奏聞使), 진주사(陳奏使)
- 주문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대중국관계에 있어서 비정기적인 사절 또는 그 사신. [내용] 중국과의 사이에 외교적으로 알려야 할 일이 있을 때, 임시로 파견하였던 비정기적인 사절이다. 그 성격이나 기능은 진주사(陳奏使)와 같다. 주청사(奏請使)가 내용...
- 유후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시문과에 급제한 뒤 부사ㆍ부호군을 지내고 1864년(고종 1)에 이조참판, 이듬해 공조판서를 지냈으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남인계 인사 중용책에 따라 1866년 우의정에 이르렀다. 같은 해 주청사(奏請使)로 청나라에 다녀와 그곳 서양인들의 동정을 알렸는데...이칭별칭 재가(載可)| 매산(梅山), 낙파(洛坡), 영매(嶺梅)| 문헌(文憲)
고서·고문서(65)
- 을해년 주청사복명시궤주 발기(奏請使復命時饋酒件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발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발기
- 送(黃岡)(金重晦)以奏請使赴京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拾遺 卷之一 【拾遺】賦 178 送(黃岡)(金重晦)以奏請使赴京 39_121_117.jpg 送(黃岡)(金重晦)以奏請使赴京 秋風起漢曲, 送君行萬里。 萬里獻國忱, 泣雪先朝恥。 嗟! 君誦三百, 專對承恩旨。 吾王解錦袍【臨發, 主上解衣以賜。】, 賜爵彤雲裏。 祖帳臨野橋...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가도(椵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29 B000429 가도 椵島 도서 평안북도 承政院日記 仁祖 10年 7月 28日_002 ○奏請使洪靌等書目, 一行到椵島, 見沈副總問答事, 及護送將官童盡忠定給事。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평안북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가도(椵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43 B000443 가도 椵島 도서 평안북도 承政院日記 仁祖 10年 7月 28日_002 ○奏請使洪靌等書目, 一行到椵島, 見沈副總問答事, 及護送將官童盡忠定給事。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평안북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經史篇八]論史門五_朝鮮皇帝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朝鮮皇帝 近世凡我國事, 中朝無不曲從. 遼、瀋間, 號稱朝鮮皇帝, 此說其來久矣. 我從祖斗峯公, 萬曆末爲奏請使赴燕, 蒙特 蒙特: 성균관대본(가)에는 ‘特蒙’으로 되어 있다. 旨準請, 其報家中書云“皆云‘朝鮮皇帝’”, 蓋上國之恩, 厚於我如此. 不然, 壬辰東征, 不憚中土疲弊,...서명星湖僿說類選卷之九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주제어사전(18)
-
주청사 / 奏請使 [정치·법제/외교]
, 인질·숙위 등의 파송, 혹은 궁정간의 통혼문제 등에도 주청사가 파견되었다.
-
변무사 / 辨誣使 [정치·법제/외교]
조선시대 왕실이나 국가의 중요사실이 중국에 잘못 알려질 경우 이를 해명 또는 정정하기 위하여 보내는 특별사절 또는 그 사신. 왕실이나 국가의 중요사실이 중국조정에 잘못 전해졌거나 오해의 소지가 있어 문제가 야기되었을 때 이를 해명하고 그 정정을 요구하기 위해 파견되었
-
김익 / 金熤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3∼1790). 우의정으로 진주 겸 주청사의 정사가 되어 청나라에 다녀왔으며, 다시 동지사은사가 되어 청나라에 다녀왔다. 응교·대사헌·강호유수·우의정 등을 거쳐 영의정에 올랐다.
-
주문사 / 奏聞使 [정치·법제/외교]
조선시대 대중국관계에 있어서 비정기적인 사절 또는 그 사신. 중국과의 사이에 외교적으로 알려야 할 일이 있을 때, 임시로 파견하였던 비정기적인 사절이다. 그 성격이나 기능은 진주사와 같다. 주청사가 내용을 알리고 그에 대한 답변을 청하는 성격이 강한 반면, 주문사는
-
유척기 / 兪拓基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1∼1767). 김창집의 문인으로 책봉주청사의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온 뒤, 신임사화 때 유배되었다. 영조가 즉위 후 풀려나 경상도·함경도·평안도관찰사, 도승지·호조판서 등을 거쳐, 우의정·영의정에 올랐다. 명필가였고, 금석학에도 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