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주척” 에 대한 검색결과 1,37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51)

사전(294)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주례(周禮)에 규정된 주(周)나라 때 사용하던 척도. 은 영조척의 0.66배에 해당하는 척도로 남자의 손바닥길이를 기준으로 한 19.19cm를 1척으로 하여 만들어진 것이라 하며, 청나라때에는 1척이 19.7cm와 19.8557cm로 고증되기도 하였다. 우리...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 [내용] 우리나라는 중국의 모든 문물제도가 주대(周代)에 그 근원을 두고 있다는 유가이념(儒家理念)에 영향을 받아 고려 때부터 국가가 관리하는 도량형의 기본단위로 을 채택하여왔다. 세종 때 ≪사기 史記...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
    정의길이를 나타내는 단위.[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Ju cheok | MR표기Chu ch’ŏ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C2_D_0254 나라 北極, 夏謳 東韓 慕齋請封世子 D_20_02_01 대동운부군옥 20권 2장 1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0권 2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E2_D_0783 관직 翰苑, 古文, 時態, 宰相, 文翰, 後生 金黃元 麗史 D_20_01_100 대동운부군옥 20권 1장 100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0권 1장 10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2)

  • 한중관계사상의 교역과 교통로 [한중관계사 상의 교역과 교통로 | 대구대학교(제2캠퍼스)]
    저자 : 동아시아교통사연구회 ... | 출판사 : 주류성출판사 | 출판일 : 20190703
    본 연구는 한중관계상의의 교역과 교통로를 동아시아란 공간적 범위 속에서 살펴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고대사 전공자만 아니라 중국고대사 전공자와의 학제간 연구를 지향하였다. 크게 보아 ➀ 한국 고대의 교역과 교통로 연구와 ➁ 동아시아 교통로 연구로 구분된다. ➀ 한...
  • 朝鮮王朝事大使行之硏究 [중국문화대학 | Chinese Culture University]
    저자 : 葉泉宏... | 출판사 : 上大聯合 | 출판일 : 2014.06.
    분야역사 | 유형단행본
    第二章 明淸易代與事大交鄰政策的變遷 第一節 航海朝天使行與明淸易代的外交調整 第二節 吳允謙事大交鄰使行經驗的成就 第三章 易代時期朝鮮與中國關係的調 第一節 〈明初濮眞征高麗〉傳說探原與時代反映

고서·고문서(964)

  • 김주석 판결문( 金 判決文)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
    CJA00001237-0034 국가기록원 대구지방법원 金 判決文 김주석 판결문 판결문 일본어 1916. 10. 18. 판사 末廣淸吉 주세령 위반 김주석(농업, 57세)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면 성산동 4쪽 한국근대사 면허를 받지 않고 자기 집에서 탁주 1말
    제목김주석 판결문( 金周錫 判決文) | 사건유형주세령 위반 | 소장처국가기록원
  • 을축년 금주석(琴)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 1849년 민주석(閔) 등 상서(上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부안 우반 부안김씨
  • 족척말(末) 기환(基煥)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성주 명곡 벽진이씨 완석정 종택
  • 唐汴史倪若水謝手勑謝之縱散其鳥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630 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ITKC_MP_0597A_1630_030_1420 唐汴史倪若水謝手勑謝之縱散其鳥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기초학문(1)

  • 白居易 三種年譜 異說比較考[Ⅱ]---忠史 이후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경동, 게재일 : 2006
    34287 김경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어중문학회 2006 白居易 三種年譜 異說比較考[Ⅱ]---忠史 이후 시기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
    유형논문 | 게재일2006

신문·잡지(14)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향일 화죡강부쟝직씨가 장셔서 한국에 척식민업을 계획야오 이로 그 화죡들이 그 소문을듯고 련쇽히 닐어나 그 업을 경영 와됴 직 셰쳔호셩작 상마릐봉등졔씨가 목하에 차차 한국식민업들을 계획한다더라
    게재일1905년 6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 원산 李 - 海岸通6 - - 철물(金物)상 판매 11 - 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李周錫(-) | 지역원산 | 품목- | 영업종목철물(金物)상 | 자료출처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鐵陶商店) 원산 李 鐵陶商店 海岸通6 - - 토기,도자기및칠기(漆器)류,석비(石碑)제조,놋쇠그릇(眞鍮器)상 판매 11 - 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
    대표표제어李周錫(鐵陶商店) | 지역원산 | 품목- | 영업종목토기,도자기및칠기(漆器)류,석비(石碑)제조,놋쇠그릇(眞鍮器)상 | 자료출처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 (新興婦人商會)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사건 근대 朴(新興婦人商會) 서울 朴 新興婦人商會 永登浦町 168-21 포백류 - 포목(布木) 소매 33.6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
    대표표제어朴周錫(新興婦人商會) | 지역서울 | 품목포백류 | 영업종목포목(布木)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春川觀察使冕氏再莅東都革罷雜稅公決寃...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春川觀察使冕氏再莅東都革罷雜稅公決寃訟宣布德化人皆稱訟矣忽有遞歸之說孰不驚膽哉本道儒生奮發上京云故生亦不勝膽落上洛廣佈伏乞廟堂恤我蒼生特使仍任千萬伏望 淮陽郡 齋任 宋楠식
    게재일1904년 12월 3일 | 기사분류광고

기타자료(76)

  • 천주석;千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천주석;千 경상남도 함안 소화15년 3월4일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마산상업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강주석;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0095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212면 강주석;姜 제13회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주석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주석중;中 경상남도 창원 소화14년 3월3일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마산상업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주석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8219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33면 주석기;基 제5회 1936-09-30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주석범;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6151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7 74면 1. 제7. 생도 (1936년 10월 1일 현재);5)상과 제2학년 주석범;範 (원적)경기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20)

  • / [과학기술/과학기술]

    주나라에서 만들어 썼다는 자. 한 자 길이 약 20㎝이다. 조선 세종대에 황종척을 만들어 그 6촌 6리를 1척으로 규정하면서 공식적인 척도를 얻었다. 현전하는 것 중에 1773년 서울 수표교에 표시한 것이 1척=19.5㎝, 1837년에 제작된 공주 보관의 측우

  • 송주석 / 宋 [종교·철학/유학]

    1650(효종 1)∼1692(숙종 18). 조선 후기의 문신. 갑조 증손, 할아버지는 시영, 아버지는 기태, 어머니는 이정한의 딸이다. 아버지 기태가 시열에게 입양하였기 때문에 친할아버지는 시영이다. 1683년(숙종 9)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예문관검열, 홍문관수

  • 러시아 파견 특명전권공사 冕 신임장 / [정치·법제]

    고종 황제가 주석면을 특명전권공사로 삼아 러시아 수도에 주차하게 해 양국 간 교섭에 관한 일을 주관하게 하겠다는 내용으로 러시아 황제에게 보내기 위해 작성한 신임장. 1904년(광무 8) 2월 6일에 작성하였다.

  • 기리고차 / 記里鼓車 [과학기술/과학기술]

    조선시대 때 거리를 측정하던 수레. 세종 때의 기리고차도 그 바퀴의 둘레가 세종(世宗) 18척이 되는 직경 119.15㎝의 양바퀴 초거로서 바퀴가 1백 번 회전할 때마다 나무인형이 북을 쳐 소리로 1리를 알리도록 만들었다. 물론 바퀴의 회전수는 톱니바퀴로 자

  • 소 / 筲 [생활]

    국장에서 기장, 콩, 보리 등의 곡식을 담던 명기. 소는 해죽을 엮어서 만들며 을 이용하였다. 입구의 원지름을 4촌 5푼, 허리의 원지름은 7촌 5푼, 높이는 8푼, 바닥의 원지름은 5촌 5푼이었으며 곡식을 3되 담을 수 있었다. 대나무는 흑진칠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