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주진” 에 대한 검색결과 11,0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988)

사전(587)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두 집안의 혼인을 이르는 말. 당 나라 때 서주(徐州) 풍현(.縣)의 한 마을에 주씨와 진씨가 대대로 혼인을 하며 화목하게 살아, 그들이 사는 마을을 촌(村)이라 한 데서 유래함. 백낙천(白樂天)이 촌(村)을 두고 지은 시(詩)가 있음. 第念吾兩人共托管...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신라 중고기의 장수. [내용] 548년(진흥왕 9) 정월에 고구려 양원왕이 동예(東濊)의 군대 6,000명을 동원하여 백제의 독산성(獨山城)을 공격하매 백제의 성왕이 신라에 구원군을 요청하자 신라의 진흥왕이 이에 호응하여 구...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장하게 하였다. 거진 밑에는 제진(諸鎭)을 두어 동첨절제사‧만호(萬戶)‧절제도위(節制都尉) 등이 관장하도록 하였다. 진관체제(鎭管體制)의 확립에 따라 장(將)인 절도사에게는 상당한 권한이 부여되었고, 특히 여러 진의 관둔전(官屯田)은 부세(賦稅)를 면제...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노왕 주개의 아들로, 노국의 세자이다. 16세에 혼사로 근심하는 아버지를 위해, 봄나들이를 핑계로 유옥혜를 보러간다. 유옥혜가 유담의 산소를 찾을 줄 알고 여장을하고 기다렸다가, 여자[주소저]라 속이고 친분을 맺는다. 유옥혜의 집으로 따라갔다가, 이씨부인을 찾아온 이채...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 각도의 병마절도사와 수군절도사가 소재하던 진(鎭).
    정의조선 후기 각도의 병마절도사와 수군절도사가 소재하던 진(鎭).[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jujin | MR표기chuji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단행본(1)

  •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 8-15, 경상북도 양산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박경신, 김구한, 김옥숙, 정아용... | 출판사 : 역락 | 출판일 : 2014.10.28.
    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1. 덕계동 2. 매곡동 3. 명동 4. 상북면 5. 용당동 6. 원동면 7. 동 8. 평산동

고서·고문서(9,322)

  • 『조선왕조실록』 정조실록 12권, 정조 5년 12월 17일 을유 1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정조실록 정조 5년 12월 17일 을유(1781) 1781 昌 義州 白頭山 劒殺峰 龍灣 劒殺峰 江界府...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정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조선왕조실록』 정조실록 26권, 정조 12년 11월 25일 계미 3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정조실록 정조 12년 11월 25일 계미(1788) 1788 昌 嘉山 曉星嶺 金川 靑石洞 昌城 昌...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정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조선왕조실록』 정조실록 31권, 정조 14년 9월 10일 정해 2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정조실록 정조 14년 9월 10일 정해(1790) 1790 昌 昌洲 加德 乫坡知 昌洲 乫坡知 昌洲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정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조선왕조실록』 선조실록 66권, 선조 28년 8월 5일 을사 1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선조실록 선조 28년 8월 5일 을사(1595) 1595 昌 中國 虜 倭 江界 廣寧 倭 㺚虜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선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조선왕조실록』 성종실록 52권, 성종 6년 2월 1일 경진 5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성종실록 성종 6년 2월 1일 경진(1475) 1475 昌 平安道 昌洲 碧團 昌城 朔州 군사 諭平安道...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성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구술자료(4)

  • 은 중학교 때부터 있어요. 그래서 옛날에는, 아마, 아. 그니까 이러한 이야기를 배우는 시간이 따로 있었어요, 옛날에. [조사자: 옛날이야기를?] 네. 옛날이야기를 책을 통해서 다 배웠어요, 저는. 예, 뭐 부모님은 별로 들려 않았어요. 부모님은 그냥 자기 얘기만.
    국가베트남 | 제보자융티탄프엉 [베트남, 여, 1988년생, 유학 3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황금구두 한 짝을 잃어버린 예센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 그럼 계모랑?] 그런 얘기 없, 그런 얘기는. [조사자: 벌 않아요?] 예, 그런 아, 제가 들은 건 벌 받은 게 없는데, 검색해 보니까 벌 받는 게 있는데 그게 어디 성 밖으로 쫓겨나서 뭐 거지가 됐다 뭐 이런 게 있더라고요. [조사자: 그럼 선생님 콩쥐가 예
    국가중국(한국계) | 제보자이화 [중국(한국계), 여, 1974년생, 결혼이주 19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캄보디아 모국에서의 삶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이제 막 뭐든지 모르니까 막막하고. [조사자: 근데 또 한국 어른들은 자세하게 친절하게 가르쳐 않죠?] 어떤 분은 친절하고 어떤 분은. (웃음) 막 [조사자: 그 눈치껏 빨리빨리 알아서 잘 하길 바라시거든요.] 네. 그리고 여기는 저기 직장생활 못하거든요. 그러니까
    국가캄보디아 | 제보자체아다비 [캄보디아, 여, 1983년생, 결혼이주 8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 인공 때라 방에서 낳든 못 혀. [조사자 : 출산하실 때 누가 도와 않으셨어요?] 최복례 : 우리 시어머니가 도와줬제. 시어머니 계신디. 부엌에서 인자 애기들 거시기해가꼬 받어 가꼬 인자 그때는 인자 굴 속으로 들어갔어. 마루 밑에. 시방으로 말허자믄 요 마
    조사지역전남 담양 | 조사일2012년 1월 30일

기초학문(9)

  • 고려후기 東北面의 지방제도 변화: 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윤경진, 게재일 : 2015
    62151 윤경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5 고려후기 東北面의 지방제도 변화: 의 변화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한국 근대 대원의 파견과 운영(1883-1894)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한철호, 게재일 : 2007
    23855 한철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동학학회 2007 한국 근대 대원의 파견과 운영(1883-1894)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
    유형논문 | 게재일2007
  • 그람시(A.Gramsci)를 통해 본 지식인과 교육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주진호, 게재일 : 2005
    10869 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05 그람시(A.Gramsci)를 통해 본 지식인과 교육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4가지 온대성 지피식물의 실내포름알데히드 제거효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주진희, 게재일 : 2007
    29936 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조경학회 2007 4가지 온대성 지피식물의 실내포름알데히드 제거효과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07
  • 공정거래법상 부당지원행위 규제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주진열, 게재일 : 2012
    58088 열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법학연구소 2012 공정거래법상 부당지원행위 규제에 대한 비판적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
    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1,019)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갈닌홍쥬군슈 윤시영씨가 읍하각동에 회집인민즁에 우심빈곤 셩을 구제기위야 그곳에쥬 일본병참에 젹치미십여셕을 츌급야 그셩을구휼케라고 탁지부에 보고얏 탁지부에셔일본군령부에교셥인허지라 군슈가 빈호를 쵸츌즉 호슈가 일구십오호오 인구가오...
    게재일1906년 6월 29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토역로 다시상 쥬지 말나신 쳐분이 나리신후에 원로대신들이 부쳐알외고  상소다더라
    게재일1902년 12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 各稅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탁지부에셔 각디방에 파견 셰무쥬에게 야 속속부임라 마다 쵹 셰무쥬들은 부임려비와 무쳐리상에 소입물품비를 지면 곳발뎡거 다며  날마다 쵹되 그것은 구획이업시 다만 나려가라기만 다고 괴탄 사도잇고 혹직쳥원 사도 잇다...
    게재일1907년 8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 輪船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부텰도 회샤에 일인등이 소본 화륜션 일쳑과 비단두궤 대에 진상하엿다더라
    게재일1902년 10월 7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龍(二友商店) 서울 龍 二友商店 貫鐵町 218 식료품 - 식료잡화 소매 18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朱振龍(二友商店)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식료잡화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기타자료(46)

  • 환;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환;煥 경상남도 창원 소화19년12월22일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마산상업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7016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23―10―30 99면 현;鉉 함남 제4회 1911년 4월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7637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31―09―10 163면 현;鉉 함남 본과제4회 1911년 4월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8260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34―10―28 136면 현;鉉 함남 제4회 1911년 4월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8220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33면 현;現 제5회 1936-09-30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 권위주의 정권 시기 정보기관의 형성과 변천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정주진 | 연세대학교 | 2023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32)

  • / [정치·법제/국방]

    진관편제에서 절도사가 있는 진. 에는 병영과 수영이 상당한 조직과 설비를 갖추고 있었으며, 대개 많은 유방병과 병선이 배치되어 있었다. 조선초기 지방군사제도로서의 진관체제의 확립에 따라 →거진→제진의 명령계통이 확립되었는데 장(將)인 절도사에게는 상당

  • 현동집터 / 慶峴洞집터 [역사/선사시대사]

    경상북도 경주시 진현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집터[住居址]. 집터의 평면 형태는 긴네모모양[長方形]2동(제1·3호), 네모모양[方形]1동(제2호)이며 장축방향은 동서향이다. 제1호 집터는 길이 13.5m, 너비 480㎝, 깊이 10㎝로서 내부에는 벽도랑[壁溝]이 너비 20

  • 우수영 / 右水營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전라도와 경상도에 설치한 수군의 . 조선시대에는 왜구와 접촉이 극심한 전라도와 경상도에 한하여 수군절도사가 상주하는 을 각각 두 곳에 설치. 한성에서 보아 각 도의 서편, 즉 우편을 전담하는 을 우수영, 동편 즉 좌편을 전담하는 을 좌수영이라

  • 병마수군절제사 / 兵馬水軍節制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정3품의 외관직 무관. 전라도의 제(濟)의 경우만이 해당되었다. 제주목(濟州牧)과 대정현(大靜縣), 정의현(旌義縣)의 3읍)으로 편성되었는데, 군사적으로는 제주목사를 육군과 수군을 겸찰하는 거진의 장으로서의 병마수군절제사(兵馬水軍節制使)로 삼아 제진

  • 대승의림장 / 大乘義林章 [종교·철학/불교]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의적이 당나라 승려 규기의 『대승법원의림장』의 내용을 보조한 불교서. 『동역전등목록(東域傳燈目錄)』, 『나라록(奈良錄)』, 『법상종장소(法相宗章疏)』, 『법상종장소(法相宗章疏)』 등의 기록에 따르면 의적 저술로 추정되는 12권의 책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