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주작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2)
사전(31)
- 주작기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그려져 있으며, 화염각(火焰脚)과 기각(旗脚)이 달려 있다. 기 바탕과 화염각(火焰脚) 및 영자(纓子)는 홍주(紅紬), 깃은 흑주(黑紬)를 쓴다. 黑紬四尺纓子紅紬七寸五分前謄錄一尺今番減磨鍊朱雀旗二每部五幅付所入質紅紬四十尺火焰脚紅紬三十六尺, (국장1903/038ㄴ04~0...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주작기(朱雀旗)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주작기 주작기 朱雀旗 노부(鹵簿), 대가(大駕), 대장(大仗), 반장(半仗), 법가(法駕), 소가(小駕), 소장(小仗), 의장(儀仗) 사신기(四神旗) 왕실왕실의례/예기 물품 도구 대한민국 조선 강제훈상위어노부(鹵簿), 대가(大駕), 대장(大仗), 반장(半仗), 법가(法駕), 소가(小駕), 소장(小仗), 의장(儀仗) | 관련어사신기(四神旗)
- 김명삭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원나라 무종 황제 때 진권이 난을 일으키자, 오인응[오금선]과 함께 출정하여 붉은 갑옷을 입고 주작기를 들고 나가 남방에 진을 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북진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황치원의 야습을 짐작한 원수 김홍의 명을 받아 원산 아래 매복해 있다가 주작기를 신호로 적과 싸운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공명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丁奉)의 군대를 격퇴하고 조자룡(趙子龍)과 함께 본국으로 돌아가는 대목까지를 노래한 것이다. 가사는 “공명이 갈건야복(葛巾野服)으로 남병산 올라 단(壇) 높이 모으고 동남풍 빌제, 동에는 청룡기(靑龍旗)요, 북에는 현무기(玄武旗)요, 남에는 주작기(朱雀旗)요,...
고서·고문서(31)
- 別山打令 (자진산타령)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壽亭候 關雲長이 曹操를 잡으랴고 軍令狀 맛다짐 두고 華容道에 陣을 칠 졔 東에 靑龍旗 西에 白虎旗 南의 朱雀旗 北에 玄武旗 中央에 黃信旗 셰우고 鴛鴦陳 치고 曹操 잡을 計較를 生覺하는구나 沈奉司 擧動 보아라 屈冠祭服 졍이 하고 어린 沈淸 품에 품고 自歎歌 하는 말이...구분잡가 | 편저자이왕직 아악부
- 別山打令 (자진산타령)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漢壽亭候 關雲長이 曹操를 잡으랴고 軍令狀 맛다짐 두고 華容道에 陣을 칠 졔 東에 靑龍旗 西에 白虎旗 南의 朱雀旗 北에 玄武旗 中央에 黃信旗 셰우고 鴛鴦陳 치고 曹操 잡을 計較를 生覺하는구나 沈奉司 擧動 보아라 屈冠祭服 졍이 하고 어린 沈淸 품에 품고 自歎歌 하는...구분잡가 | 편저자이왕직아악부
- 가진산타령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제 장구애비 뭇버러지 등물이 두루처 보짐 싼다 한수정 관운장이 조조를 잡으려고 군령장에 맛다짐 두고 화룡도에 진을 칠 제 동에 청룡기 서에 백호기 남에 주작기 북에 현무기 중앙에 황신기 세우고 원앙진 치고 조조 잡을 계교를 생각하는구나 심봉사 거동을 보아라 굴관제복 정...구분잡가 | 편저자姜槿馨
- 賜四緋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正四品,肅拜明堂開八扉。 金床五白悄無色,陣勢今高朱雀旂。 么三只堪黑衣補,準六猶誇烏帽歸。 千回百轉向國誠,知汝丹心天下稀。 張生敢專翠裘賜,晉宫初驚文雉飛。 玆言莫遣外廷知,恐有官方兜攬譏。 114 ~ 115쪽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眞珠船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자진산타령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軍令躼의 맛다짐두고 華容道의 진을 칠 졔 동의 쳥룡긔 셔의 호긔 남의 朱雀旗 北의 玄武旗 中央의 黃神旗 셰우고 원앙진 치고 조조 잡을 계교을 生覺하넌구나 沈奉事 擧動을보아라 屈巾祭服을 正히하고 어린 심쳥니 퓸의 퓸고 자탄가 난말리 北邙山川이 요지 야속한냐 심쳥니을...구분잡가
주제어사전(1)
-
주작기 / 朱雀旗 [정치·법제/국방]
조선 시대에 군기인 대오방기의 하나. 진영의 앞에 세워 전군, 전영 또는 전위를 지키는 사각기이다. 붉은 바탕에 머리가 셋인 주작과 청ㆍ적ㆍ황ㆍ백 등 4가지 채색으로 구름무늬가 그려져있으며, 화염각과 기각이 달려 있다. 기 바탕과 화염각 및 영자는 홍주, 깃은 흑주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