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주자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9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86)
사전(118)
- 주자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활자의 주조를 관장하던 관서. [내용] 그 명칭은 조선 태종이 1403년에 설치한 주자소에서 비롯한다. 그러나 중앙관서가 주자인쇄의 업무를 수행한 것은 고려 때의 서적포(書籍鋪)로 거슬러 올라간다. ‘서적’의 명칭이 붙은 기관...
- 주자소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활자의 주조를 관장하던 관서.정의조선시대 활자의 주조를 관장하던 관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Jujaso | MR표기Chujas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주자소(鑄字所)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주자소 주자소 鑄字所 승정원(承政院), 교서관(校書館) 주자(鑄字), 병진자(丙辰字), 경자자(庚子字), 갑인자(甲寅字), 계미자(癸未字), 경오자(庚午字), 을해자(乙亥字), 정축자(丁丑字), 을유자(乙酉字), 갑진자(甲辰字), 계...상위어승정원(承政院), 교서관(校書館) | 관련어주자(鑄字), 병진자(丙辰字), 경자자(庚子字), 갑인자(甲寅字), 계미자(癸未字), 경오자(庚午字), 을해자(乙亥字), 정축자(丁丑字), 을유자(乙酉字), 갑진자(甲辰字), 계축자(癸丑字), 병자자(丙子字), 경진자(庚辰字), 책방(冊房), 춘추강자(春秋綱字)
- 근대신어 : 주자소(주자소)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50923 주자소 자항 주자소 百姓의 을 通시고 주자소 지으시고 백성의 뜻을 통하시고 주자소를 지으시고 玄采 幼年必讀 8 1906 113 개화기 국어 어휘자료집3, 56면 출판...출전幼年必讀 | 계통분류 [사회생활] 출판 [과학지식] 공간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고문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을 살펴볼 수 있다. 『한경지략(漢京誌略)』의 기록을 보면 주자소(鑄字所) 옆에 있는 건물을 고문관이라 하고, 어느 시기에 설치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혹은 이곳이 옛 홍문관(弘文館)이라는 내용이 있다. 1859년(철종 10)에 재주정리자(再鑄整理字)로 간...
고서·고문서(263)
- 생생자보(生生字譜)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주해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4159 B014159 강도 江都 정치행정 英祖實錄 十年(1734) 十二月 영조실록_11012010_004 ○南陽府使崔宗周上疏陳邑弊, 仍請江都移轉米壬子舊逋, 姑爲停退, 使將散四之民, 得以懷保焉, 批令廟堂稟處。출처전거英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經史門10_旌儒廟碑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而是非當世, 以自取禍.” 又引後漢黨錮之事, 以橫議激訐爲戒. 朱子斥之曰: “佑之識趣如此. 此其所以役於伾、文之黨, 而取隨人執下之譏也.” 余以爲朱子所指, 專爲黨錮發也. 佑之譏黨錮, 雖有如朱子所指者, 若秦儒之亂邦危言, 不知明哲之義, 則何可掩也?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七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귀후소(歸厚所)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0605 B030605 귀후소 歸厚所 정치행정 世宗實錄 十四年(1432) 八月 세종실록_11408016_004 ○漢城府啓: “僧徒等於都城內外, 興販橫行, 窺免軍役。 自今除禪敎宗歸厚所埋骨、書冊粧褙、鑄字所刻字、汗蒸別窰僧外, 無所任僧, 竝論罪充軍。” 從之。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6452 B076452 동래東萊 정치행정 肅宗實錄 七年(1681) 正月 숙종실록_10701007_002 ○兼吏曹判書金錫冑上疏言:○東萊府使尹敬敎朴忠有識, 此時諫諍顧問之地, 本不合捨此人遠出。 目今三司乏人之憂, 甚於邊倅之難得, 若失此人, 恐爲輕重失適之歸也。○上許其遞。출처전거肅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4)
- 죽고 죽이는 와중에서 살아남기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으로 다 감어갖고 거시기를 늘에 담어서 우리집이를 왔어 인자. 전화가 왔어. 그 소재지, 그때 옛날에는 주자소라고 했지. 시방 지서거당. 전화를 왔드라고. 느닷없이 인자 우리 어매 아버 지는 죽다시피 해부렀제. 그 다음날 아들이 가서 고로고 죽었다고 헌디 얼마나 좋다고조사지역전남 함평 | 조사일2012년 2월 19일
- 경찰 가족임을 숨기고 힘겹게 살아가다(두번째 구연)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다 감어갖고 거시기를 늘에 담어서 우리집이를 왔어 인자. 전화가 왔어. 그 소재지, 그때 옛날에는 주자소라고 했지. 시방 지서거당. 전화를 왔드라고. 느닷없이 인자 우리 어매 아버 지는 죽다시피 해부렀제. 그 다음날 아들이 가서 고로고 죽었다고 헌디 얼마나 좋다고 헐조사지역전남 함평 | 조사일2012년 2월 19일
- 인민의용군의 탈출과 국군으로 참전한 전쟁의 기억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테 받아쓰기를 이렇게 해. 그란께 인자 “면사무소를 가서 주자소를 보고, 학교로 요렇게 돌아온다.” 고 인자, “면사무소를 가서” 그라고 인자, 그놈을 노트에 다가 쓰라고 한께, 이 상수 형이 받침을 쓸 줄을 몰라. 그란게 ‘며 사무소가가’(일동 웃음) 면사무소를 보고조사지역전남 보성 | 조사일2013년 5월 22일
- 보고 들은 전쟁을 전하다(2)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라고 그 그 밑에 오믄 면사무소 장정옥씨 집이라구 그 집이가 일본 그 주자소, 인자 지서가 거가 있었단 말이여. 그래가꼬 인자 거그를 인자 그때 어른들 얘기를 들어보믄 이사람 작은아부지 였든가 그런 얘기를 했싸. 일본 지서장이 요새같으믄 당신 여기 온지 메칠 전에 비밀조사지역전남 보성 | 조사일2014년 7월 12일(2차)
기타자료(1)
- 청주 운천동사지 발굴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다. 흥덕사지로 판명된 연당리사지와는 매우 인접한 사지이며 넓게는 한 사역권에 포함될 수도 있으므로 이 사지는 곧 흥덕사에 부속된 암자정도의 작은 사찰지로 볼 수 있으며 이곳에서 금속활자가 주조되기도 하여 일종의 주자소라고도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사지는 10세기...발행연도1985 | 발굴기관청주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충청북도
주제어사전(5)
-
주자소 / 鑄字所 [언론·출판/출판]
조선시대 활자의 주조를 관장하던 관서. 명칭은 태종이 1403년에 설치한 주자소에서 비롯한다. 그 뒤 주자소는 1460년(세조 6) 5월에 교서관으로 소속을 옮기고 동시에 전교서라 개칭하였다. 직제도 ≪경국대전≫의 교서관조를 보면 야장 6인, 균자장 40인, 인출장
-
갑인자 / 甲寅字 [언론·출판]
1434년(세종 16) 주자소에서 만든 동활자. 1420년에 만든 경자자의 자체가 가늘고 빽빽하여 보기가 어려워지자 좀더 큰 활자가 필요하다하여 1434년 갑인년에 왕명으로 주조된 활자이다.
-
향례합편 / 鄕禮合編 [사회/가족]
조선후기 이병모 등이 정조의 명을 받아 향례(鄕禮)에 관한 것을 모아 엮은 의례서.향례기록문서. 3권 2책. 1797년(정조 21) 정유자(丁酉字)와 정리자(整理字)를 써서 주자소(鑄字所)에서 간행되었다. 권1은 향음주례(鄕飮酒禮), 권2는 향사례(鄕射禮)와 향약(鄕
-
계축자 / 癸丑字 [역사/조선시대사]
1493년(성종 24) 주자소(鑄字所)에서 만든 동활자. 중국 명조(明朝)의 신판(新板)인 《자치통감강목 資治通鑑綱目》을 자본으로 하여 1493년 계축년에 주성하였다. 그러나 어느 책을 발간하기 위하여 계축자(癸丑字)를 주조하였는가에는 실록에 밝혀져 있지 않다. 성현
-
제거 / 提擧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사옹원·내의원 등 여러 관서의 정·종3품 관직. 무록관으로 조선 초기에는 내의원·상림원·충호위·복흥고·주자소·사옹원 등에 다수 설치되어 있었으나 1448년(세종 30) 이후에 대부분 폐지되고 사옹원에만 두게 되었다. ≪경국대전≫이 편찬되는 과정에 제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