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주자서절요”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4)
사전(54)
- 주자서절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리 나라 성리학 발달의 근간이 되었다. 특히, 조선 중기 이후 우리 나라에서 성리학 연구가 활발해진 것도 ≪주자서절요≫의 출간으로 일어난 학계의 변화라고 볼 수 있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주자서절요 ...
- 주자서절요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이황(李滉, 1501-1570)이 《주자대전(朱子大全)》에 실린 주희(朱熹, 1130-1200)의 서찰을 뽑아 엮은 서간집.정의이황(李滉, 1501-1570)이 《주자대전(朱子大全)》에 실린 주희(朱熹, 1130-1200)의 서찰을 뽑아 엮은 서간집.[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Juja seo jeoryo | MR표기Chuja sŏ chŏry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매산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祭祀)를 위하여 만든 선원의계안(仙源義契案)에 대하여 쓴 서문이며, 그밖에 「중월이담설(中月而禫說)」ㆍ「대근사록책(對近思錄策)」ㆍ「태극도설웅씨주변(太極圖說熊氏註辨)」 등이 있다. 서(序)에는 저자가 편집한 『주자서절요집해』와 『가례집요(家禮輯要)』에 대한 서문...
- 주자서절요기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이황(李滉)이 편찬한 『주자서절요』 가운데 난해한 구절을 문인 이덕홍(李德弘)이 질의하고 이황이 답한 내용을 모아 엮은 책. [내용] 15권 2책. 필사본. 간기가 없어 간행여부는 자세하지 않으나 이덕홍의 저서인 『간재...
-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주자서절요 주자서절요 朱子書節要 유학서 한문 한국 조선 중종~선조 성낙수 박종국 2016 이황 성주부 1561, 1567, 1586, 1611 10권 8책, 20권 10책 목활자본...
고서·고문서(28)
-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유교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朱書節要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1270 0635_02 朱書節要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이전 종가, 일상생활, 교육생활, 이황, 朱書節要, 朱子書節要 한자 전적 WL236-2.JPG 이전 종가 상주박물관자료구분전적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1810년 하백원(河百源)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810년(순조10)2월 8일에 하백원이 동문 안수록에게 답한 서간이다. 딸이 천연두에 걸려 사경을 헤매고 있어 괴로운 심사를 전하고, 안수록의 아들의 혼인날짜가 정해진 것을 축하했다. 근래에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를 하루에 겨우 몇 쪽씩 볼 뿐이고,운평집(雲坪集)의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순천 죽산안씨 송매정
- 朱書節要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1269 0635_01 朱書節要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이전 종가, 일상생활, 교육생활, 이황, 朱書節要, 朱子書節要 한자 전적 WL236.JPG 활자본 李滉 編 선장본 미상 33.9 21.6 10책 이...자료구분전적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1754년 권정침(權正忱)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서절요』를 읽는데 자주 충고해 달라고 하였다. 계정의 스승이 건강을 회복했는데도 문병하지 못하는 것을 죄송스러워 하였다. 이어서 휴가를 받아 귀향하는 것이 언제인지 묻고, 서부의 인척 형에게 안부를 전해달라고 하였다. 종제의 혼사는 어제 권사영에게 편지를 보내 허락했다...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기초학문(1)
- 퇴계 『朱子書節要』 편집의 방법적 특징과 의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강진석, 게재일 : 200300499 강진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퇴계학연구원 2003 퇴계 『朱子書節要』 편집의 방법적 특징과 의의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유형논문 | 게재일2003
신문·잡지(1)
- 조선_1928_16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御大典記事-朝鮮に於て執行されたる諸儀 6 朝鮮線布史 (8) 稅田谷五郞 19 李退溪の編纂自省錄と朱子書節要 松田甲 40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8
연구과제(1)
-
정본 퇴계전서(定本 退溪全書) 편성 사업 (2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이광호 | 퇴계학연구원 | 2018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3)
-
주자서절요 / 朱子書節要 [종교·철학/유학]
유가류(儒家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5책, 판종은 필사본(筆寫本)이다. 규격은 30.1×20.3cm, 반곽은 20.2×15.8cm이다. 표제는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이다. 조선시대 이황(李滉)이 편찬하였다. 권수는 8권 5책이다. 각재보장(覺齋寶
-
이상진 / 李象辰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10∼1772). 1756년(영조 32) 성균관에 들어갔으며, 뒤에 귀향하여 《대학》·《논어》·《중용》·《주자서절요》 등을 탐독하면서 후진양성에 전념하였다. 저서로는 《하지유집》 7권 3책이 있다.
-
도산서절요 / 陶山書節要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문신·학자 이황이 학자나 문인들과 시사·경학에 관해 논의한 서신을 모아 엮은 유학서. 본서는 퇴계(退溪)이황(李滉: 1501∼1570)이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를 만들어 주자의 학문세계를 이해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이황의 핵심사상을 그의 서신을 통해 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