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주역사전” 에 대한 검색결과 33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32)

사전(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의 학자 정약용이 주희의 ≪주역본의≫에 근거하여, 주역사법을 추이, 물상, 호체, 효변으로 나누어 풀이하고 괘사와 효사에 주석을 붙인 책. 규장각도서.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의 학자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이 주희(朱熹, 1130-1200)의 《주역본의(周易本義)》에 근거, 주역사법(周易四法)을 풀이한 책.
    정의조선 후기의 학자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이 주희(朱熹, 1130-1200)의 《주역본의(周易本義)》에 근거, 주역사법(周易四法)을 풀이한 책.[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Ju yeok sajeon | MR표기Chu yŏk saj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건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주역절중(周易折中)』 『주역집주(周易集注)』
  • 곤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주역절중(周易折中)』 『()』 『역경질서(易經疾書)』 『주역집주(周易集注)』 「태극기(太極旗)의...
  • 역학서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를 해명하고 있다. 이상의 21항목에 걸친 역의 해명은 곧 다산역학의 주저술인 ≪ ≫의 서론 구실을 하는 것들이므로 이를 ‘역학서언’이라는 제명으로 포괄하여 편집해 놓은 것이다. 다산 역리의 입문서로서 평가될 만한 저술이다. ...

단행본(2)

  • 정본 여유당전서 15- 1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
    분야종교‧철학 | 유형단행본
    1. 卷一 2. 卷二 3. 卷三 4. 卷四
  • 정본 여유당전서 16- 2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
    분야종교‧철학 | 유형단행본
    1. 卷五 2. 卷六 3. 卷七 4. 卷八

고서·고문서(320)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주해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道有變動,故曰爻,爻有等,故曰物。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720 卷八 ITKC_MP_0597A_0720_020_0310 道有變動,故曰爻,爻有等,故曰物。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
    권차명周易四箋 卷八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君子貞例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650 卷一 ITKC_MP_0597A_0650_040_0140 君子貞例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
    권차명周易四箋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幽人貞例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650 卷一 ITKC_MP_0597A_0650_040_0150 幽人貞例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
    권차명周易四箋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是故君子,居則觀其象而玩其辭,動則觀其變而玩其占,是以自天祐之,吉无不利。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720 卷八 ITKC_MP_0597A_0720_010_0130 是故君子,居則觀其象而玩其辭,動則觀其變而玩其占,是以自天祐之,吉无不利。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
    권차명周易四箋 卷八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기초학문(1)

  • 정약용의 ≪≫에 보이는 한자자형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서한용, 게재일 : 2014
    56378 서한용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학연구소 2014 정약용의 ≪≫에 보이는 한자자형에 대한 인식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
    유형논문 | 게재일2014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1)

  • / [언론·출판]

    저자 정약용(1762-1836). 필사본. 20권 10책(결질). 이 책은 <> 무진본으로 원래는 총24권 12책이다. 그런데 <>의 서론에 해당되는 <제무진본>, <사전소인>, <괄례표>, <독역요지>, <역례비석> 등이 들어 있는 자책(1권과 2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