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주역본의구결부설”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8)
- 주역본의구결부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요컨대 근대국어 전기의 자료인 것이다. 簡易堂集 中世國語口訣의 硏究(安秉禧, 一志社, 1977) 奎章閣韓國本圖書解題 1(서울大學校圖書館, 1978) 주역본의구결부설 ...
- 근대신어 : 체계(體系)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例, 而義則有變易.(崔岦, 簡易集 1권「周易本義口訣附說投進疏」) 말에는 체계성이 있으나 의리에는 변이가 있다. 體系: 小林花眠, 新しき用語の泉, 帝國實業學會, 1922, 821면 중) 體系: 馮天瑜, 新語探源: 中西日文化互動與近代漢字術語生成, 中...출전天道敎會月報[天道敎會月報社] | 계통분류 [과학지식] 인문학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체계(體系)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簡易集 1권「周易本義口訣附說投進疏」) 말에는 체계성이 있으나 의리에는 변이가 있다. 體系: 小林花眠, 新しき用語の泉, 帝國實業學會, 1922, 821면 중) 體系: 馮天瑜, 新語探源: 中西日文化互動與近代漢字術語生成, 中華書局, 2004, 39...출전全線[赤壁社] | 계통분류 [과학지식] 인문학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체계(體系)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而義則有變易.(崔岦, 簡易集 1권「周易本義口訣附說投進疏」) 말에는 체계성이 있으나 의리에는 변이가 있다. 體系: 小林花眠, 新しき用語の泉, 帝國實業學會, 1922, 821면 중) 體系: 馮天瑜, 新語探源: 中西日文化互動與近代漢字術語生成, 中華書局...출전新語辭典[靑年朝鮮社] | 계통분류 [과학지식] 인문학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체계(體系)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有變易.(崔岦, 簡易集 1권「周易本義口訣附說投進疏」) 말에는 체계성이 있으나 의리에는 변이가 있다. 體系: 小林花眠, 新しき用語の泉, 帝國實業學會, 1922, 821면 系統: 小林花眠, 新しき用語の泉, 帝國實業學會, 1922, 374면 중) 體系...출전新語辭典[民潮社] | 계통분류 [과학지식] 인문학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고서·고문서(2)
- 주역대전 : 豫卦_효사-삼효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것이다. 『본의』와 최립(崔岦) 『주역본의구결부설(周易本義口訣附說)』의 토를 참조하여 번역하였음. 中國大全 傳 六三, 陰而居陽, 不中不正之人也, 以不中正而處豫, 動皆有悔. 盱, 上視也. 上瞻望於四則以不中正, 不爲四所取. 故有悔也. 四豫之主, 與之切近, 苟遲遲而不前...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 주역대전 : 未濟卦_효사-상효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문장가로 인정받아 중국과의 외교문서를 많이 작성하였다. 또한 역학(易學)에 심오하여 『주역본의구결부설(周易本義口訣附說)』 등 2권의 저서를 남겼다. 문집으로 『간이집』이 있고 시학서(詩學書)로 『십가근체시(十家近體詩)』와 『한사열전초(漢史列傳抄)』 등이 있다.이 말하였...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주제어사전(1)
-
주역본의구결부설 / 周易本義口訣附說 [언어/언어/문자]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최립(崔岦)이 『주역』에 한글로 구결을 단 책. 책머리에 범례와 소가 있어서 편찬의도를 알 수 있다. 저자가 사신으로 명나라에 가서 『주역』 1부를 사가지고 와서 탐독하였는데 의문이 생기면 스스로 설명을 덧붙였다고 한다. 한편, 우리나라에 행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