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주시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2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1)
사전(128)
- 주시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한 논리에 입각해서 새받침에 의한 표의주의적 철자법, 한자폐지와 한자어의 순화, 한글의 풀어쓰기 등 급진적인 어문혁명을 부르짖었다. 그의 이러한 학문과 주장은 학교와 강습소에서 길러낸 많은 후진으로 형성된 후주시경학파를 통해서 이어지고 크게 영향을 끼치고 있다.이칭별칭 한힌샘, 백천(白泉)
- 근대신어 : 언어(랭게지)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38287 언어 아항 랭게지 랭게지의 絶大한 功勞者 周時經先生을 景仰하는 생각이 언어의 절대적인 공로자 주시경 선생을 경앙하는 생각이 청춘 12 1918 3 59 개화기 국어 어휘자료집4,...출전청춘 | 계통분류 [과학지식] 인문학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언어(랭게지)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38288 언어 아항 랭게지 Language 랭게지의 絶大한 功勞者周時經先生을 景仰하는 생각이 언어의 절대적인 공로자 주시경 선생을 경앙하는 생각이 청춘 12 1918 3 59 개화...출전청춘 | 계통분류 [과학지식] 인문학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말의소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주시경(周時經)이 지은 문법서. 1권. 석인본. 1914년 신문관에서 간행되었다. [내용] 이 책의 내용은 음의 성질, 자음‧모음의 분류와 배열, 자음접변, 자음‧모음의 결합, 음절, 자음의 중화(中和), 운소(韻素), 그리고 습관음(習...
- 국문동식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96년 한글 연구를 위하여 조직되었던 학술단체. [내용] 주시경(周時經) 등이 국문철자법의 통일을 목적으로 1896년 5월 서울 정동 독립신문사 안에 설치했던 최초의 국문연구회이다. 그 해 4월 7일 『독립신문』이 서재필(徐載...
고서·고문서(83)
- 國語文法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國語文法 卷一 國語文法_卷一 겻의 簡略한 갈래 주시경 1910 박문서관 국립중앙도서관 개화기 사찬독본 한국어 현대띄어쓰기를 적용하였음 一 만이 一 임이만 一 씀이만 一 금이 一 몬금 一 일금서명國語文法 | 자료명겻의 簡略한 갈래
- 國語文法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國語文法 卷一 國語文法_卷一 엇기의 몸 주시경 1910 박문서관 국립중앙도서관 개화기 사찬독본 한국어 현대띄어쓰기를 적용하였음 一 낫몸 (본) 크 검 차 착하 흔하 一 모힌 몸 (본) 검븕서명國語文法 | 자료명엇기의 몸
- 國語文法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國語文法 卷一 國語文法_卷一 겻기의 몸 주시경 1910 박문서관 국립중앙도서관 개화기 사찬독본 한국어 현대띄어쓰기를 적용하였음 一 낫몸 (본) 에 一 모힌 몸 (본) 에는 그 남아는 다 이러함서명國語文法 | 자료명겻기의 몸
- 國語文法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國語文法 卷一 國語文法_卷一 기몸 박굼 주시경 1910 박문서관 국립중앙도서관 개화기 사찬독본 한국어 현대띄어쓰기를 적용하였음 어느 기든지 서로 박구어 쓰지 못하면 말(다)을 꿈일 수가 없음으로 각 기의 결에를 서로 박구어 씀...서명國語文法 | 자료명기몸 박굼
- 國語文法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國語文法 卷一 國語文法_卷一 기뜻 박굼 주시경 1910 박문서관 국립중앙도서관 개화기 사찬독본 한국어 현대띄어쓰기를 적용하였음 돌질[돌은 임인데 질을 더하여도 임이라 그러하나 돌과 돌질은 그 뜻이 한가지가 안이니 이 질은 그서명國語文法 | 자료명기뜻 박굼
구술자료(1)
- 예비검속 때 억울하게 아버지를 잃다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주도의 4개 경찰서 죠? 제주시경찰서, 또 모슬포경찰서, 서귀포경찰서 그 관내에 있던 예비검속자들을 전부 해병대에 인도해가지고 예비검속자로 하여금 죽음을 맞도록 했지요. 그래 죄가 있을 수 없는 거 아니요. 물 론 교도소에 갔다 온 사람, 형기를 마쳐서 갔다 온 사람.조사지역제주 | 조사일2014년 01월 22일
기초학문(3)
- 주시경 문법 ‘드’ 구성 성분의 체계와 기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남경완, 게재일 : 200941455 남경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9 주시경 문법 ‘드’ 구성 성분의 체계와 기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유형논문 | 게재일2009
- 20세기 초중반 한국어학의 사상적 면모: 주시경과 게봉우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063583 한국연구재단 인하대학교한국학연구소 2010 20세기 초중반 한국어학의 사상적 면모: 주시경과 게봉우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10
- 서평 : \"국어\"의 언어적 근대는 기획된 것인가 -김병문, 『언어적 근대의 기획: 주시경과 그의 시대』 (소명출판, 2013)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466032 한국연구재단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14 서평 : \"국어\"의 언어적 근대는 기획된 것인가 -김병문, 『언어적 근대의 기획: 주시경과 그의 시대』 (소명출판, 2013) - https://www.krm.or.kr/kr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16)
- 日語夜學生募集廣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本所에셔日語夜學一年速成科를設야文法과普通話를專門으로教授터이오니入學코자는이는陽十一月二十日內로來請시오 課業時間은每夜二時 月謝金은新貨一圜 南大門內靑年學院 日語夜學講習所 所主兼教師 柳一宣 幹事 全德基 周時經 教師 前日本農學教師 渡邊新太郞 李丙植게재일1906년 11월 19일 | 기사분류광고
- 日語夜學生募集廣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本所에셔日語夜學一年速成科를設여文法과普通話를專門으로教授터이오니入學코자는이는陽十二月二十日內로來請시오 課業時間은每夜二時 月謝金은新貨一圜 南大門內靑年學院 日語夜學習講習所 所主兼教師 柳一宣 幹事 全德基 周時經 教師 前日本農學教師 渡邊新太郞 李丙植게재일1906년 11월 16일 | 기사분류광고
- 日語夜學生募集廣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本所에셔日語夜學一年速成科를設야文法과普通話를專門으로敎授터이오니入學코자는이는陽十一月二十日內로來請시오 課業時間은每夜二時 月謝金은新貨一圜 南大門內靑年學院 日語夜學講習所 所主兼敎師 柳一宣 幹事 全德基 周時經 敎師 前日本農學敎師 渡邊新太郞 李丙植게재일1906년 11월 20일 | 기사분류광고
- 日語夜學生募集廣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本所에셔日語夜學一年速成科를設야文法과普通話를專門으로敎授터이오니入學코자는이는陽十一月二十日內로來請시오 課業時間은每夜二時 月謝金은新貨一圜 南大門內靑年學院 日語夜學講習所 所主兼敎師 柳一宣 幹事 全德基 周時經 敎師 前日本農學敎師 渡邊新太郞 李丙植게재일1906년 11월 21일 | 기사분류광고
- 日語夜學生募集廣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本所에셔日語夜學一年速成科를設야文法과普通話를專門으로教授터이오니入學코자는이는陽十一月二十日內로來請시오 課業時間은每夜一時 月謝金은新貨一圜 南大門內靑年學院 日語夜學講習所 所主兼教師 柳一宣 幹事 全德基 周時經 教師 前日本農學教師 渡邊新太郞 李丙植게재일1906년 11월 17일 | 기사분류광고
멀티미디어(60)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https://ocks.korea.ac.kr/ocks/index.do) 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이 강좌는 한국어, 한글연구에대한관심이있는국내외대학원생들을대상으로 주시경, 김두봉, 김규식 등 근대 문법가들의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https://ocks.korea.ac.kr/ocks/index.do) 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이 강좌는 한국어, 한글연구에대한관심이있는국내외대학원생들을대상으로 주시경, 김두봉, 김규식 등 근대 문법가들의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https://ocks.korea.ac.kr/ocks/index.do) 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이 강좌는 한국어, 한글연구에대한관심이있는국내외대학원생들을대상으로 주시경, 김두봉, 김규식 등 근대 문법가들의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https://ocks.korea.ac.kr/ocks/index.do) 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이 강좌는 한국어, 한글연구에대한관심이있는국내외대학원생들을대상으로 주시경, 김두봉, 김규식 등 근대 문법가들의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https://ocks.korea.ac.kr/ocks/index.do) 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이 강좌는 한국어, 한글연구에대한관심이있는국내외대학원생들을대상으로 주시경, 김두봉, 김규식 등 근대 문법가들의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연구과제(1)
-
한국 선도사상의 3수문화-선도문헌과 대종교계열의 학자들을 중심으로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조남호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 2013 | 국내 | 충남
주제어사전(31)
-
주시경 / 周時經 [교육]
1876년(고종 13)∼1914년. 본관은 상주. 국어의 연구와 운동을 통하여 일제침략에 항거한 국어학자. 황해도 봉산 출생. 1897년 배재학당 만국지지 특별과를 졸업, 이어 보통과에 입학하여 1900년 졸업했다. 1896년 독립협회 조직에 참여, <독립신문>의 교정
-
신찬조선어법 / 新撰朝鮮語法 [언어/언어/문자]
1922년 이규방(李奎昉)이 주시경(周時經)의 문법을 참조하여 펴낸 중등학교용 3부법 문법서. 김원우(金元祐)의 권두서와 자서에 의하면, 저자는 1910년경에 주시경으로부터 국어문법을 배우고, 평양에서 교편을 잡으면서 주시경의 ≪조선어문법 朝鮮語文法≫을 참조하여 19
-
우리말본 / 우리말본 [언어/언어·문자]
최현배가 지은 문법책. 1937년에 초판, 1955년에 개정판,이후 여러 차례 개정판이 나왔다. 최현배는 주시경의 문하에서 가르침을 받았는데, 주시경의 학문은 민족주의 입장에서 시작되었다. <우리말본>은 그 씨가름에서 월가름에 이르기까지 옛 설명을 그대로 쓴 것이 거
-
국문문법 / 國文文法 [언어/언어/문자]
1905년 국어학자 주시경(周時經, 1876∼1914)이 손으로 써서 만든 국어 문법책. 『국문문법(國文文法)』은 주시경이 1905년 2월부터 6월까지 상동청년학원(尙洞靑年學院)에서 국어를 가르칠 때 등사해서 학생들에게 나눠준 것을 합철한 것이다. 필사본(筆寫本)으로
-
권정선 / 權靖善 [교육/교육]
을 고안하는 데 있었다고 한다. 이 책은 운학(韻學)과 한자음 연구로부터 벗어나 『훈민정음』 연구가 본격적으로 연구되던 때의 저작이다. 영조 때의 운학자(韻學者) 이사질(李思質)의 후계자로 조선조의 마지막을 지킨 한글학자라 할 수 있으며, 주시경(周時經)에게도 많은 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