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주시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5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1)
사전(128)
- 주시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한 논리에 입각해서 새받침에 의한 표의주의적 철자법, 한자폐지와 한자어의 순화, 한글의 풀어쓰기 등 급진적인 어문혁명을 부르짖었다. 그의 이러한 학문과 주장은 학교와 강습소에서 길러낸 많은 후진으로 형성된 후주시경학파를 통해서 이어지고 크게 영향을 끼치고 있다.이칭별칭 한힌샘, 백천(白泉)
- 근대신어 : 언어(랭게지)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38287 언어 아항 랭게지 랭게지의 絶大한 功勞者 周時經先生을 景仰하는 생각이 언어의 절대적인 공로자 주시경 선생을 경앙하는 생각이 청춘 12 1918 3 59 개화기 국어 어휘자료집4,...출전청춘 | 계통분류 [과학지식] 인문학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언어(랭게지)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38288 언어 아항 랭게지 Language 랭게지의 絶大한 功勞者周時經先生을 景仰하는 생각이 언어의 절대적인 공로자 주시경 선생을 경앙하는 생각이 청춘 12 1918 3 59 개화...출전청춘 | 계통분류 [과학지식] 인문학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말의소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주시경(周時經)이 지은 문법서. 1권. 석인본. 1914년 신문관에서 간행되었다. [내용] 이 책의 내용은 음의 성질, 자음‧모음의 분류와 배열, 자음접변, 자음‧모음의 결합, 음절, 자음의 중화(中和), 운소(韻素), 그리고 습관음(習...
- 국문동식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96년 한글 연구를 위하여 조직되었던 학술단체. [내용] 주시경(周時經) 등이 국문철자법의 통일을 목적으로 1896년 5월 서울 정동 독립신문사 안에 설치했던 최초의 국문연구회이다. 그 해 4월 7일 『독립신문』이 서재필(徐載...
고서·고문서(13)
- 섬록_剡錄7 紙 剡硾 薛能送浙東王大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5069 중국 지방지 섬록 001 기타 剡錄7 紙 剡硾 薛能送浙東王大夫詩 越毫逐厚俸 剡硾得佳名 注曰 近相傳 以搗熟紙名硾 雞林志曰 髙麗紙 治之緊滑 不凝筆 光白可愛 號白硾紙林和靖詩紙軸敲晴響茶鐺煮晚濃和靖又有槐木紙椎贈周太祝詩輕如魚網滑如脂時冩新詩肯寄來硾...국가중국 | 서명섬록 | 왕대기타
- 首從之別 【多人共毆,執下手重者 ○嘉慶二年】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db.itkc.or.kr/inLink?DCI=ITKC_MP_0597A_1370_030_0020_2015_030_XML 030 直隷民沈庭賢等,共毆鄧八牙致死一案,沈庭賢爲下手尤重之犯。若得邀赦恩,則斃命者,無人抵償,未足示儆,沈庭賢著改爲應絞監候,永遠監禁。 262쪽...권차명欽欽新書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反復乎是笏之義, 擇其善者而拄之, 則洒然之觀, 必不但在頹宇弊廨之間而已. 余於是樂爲之記”. 歲癸卯端陽前二日留守金魯鎭書 沁州十景說江都自古以形勝著稱, 而處旣奧僻, 涉又重溟, 文人騷士所空跡, 縱有特異之境, 亦未免揜湮而不章, 余實恨之, 迺於巡過之次, 得十景焉 曰南臺霽月. 曰北塲春...출처전거京畿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채리 양촌 근후장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何耳此去文雅卽同閈之美士 也好賢尙德之心出於秉彛而竊歎執策 奉轡以趨下風跋涉鑽程其誠意之深金 石可透也幸須賜顔款接以副遠外之望 其時同遊諸益未能各幅爲各展間信之語如何餘 只祝侍經加保不備拜拜下照. 丁酉四月十八日弟金永煥再拜.분야문학 | 유형문헌
- 〈국어학 사전〉(1995)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류 : 인문학, 한국어와 문학, 국어학 / 인문학, 언어학 ② 학문주제별 분류 : 언어학 사전, 국어학 사전 ③ 정보유형별 분류 : 언어사전 ■사전의 규모 ■편찬자소개 한글학회는 1908년 우리 말글의 연구와 통일 및 발전을 목적으로 창립된 학술단체로 주시경의...대표표제어〈국어학 사전〉(1995) 해제 | 편저자 한글학회 | 권수 1책
구술자료(1)
- 예비검속 때 억울하게 아버지를 잃다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주도의 4개 경찰서 죠? 제주시경찰서, 또 모슬포경찰서, 서귀포경찰서 그 관내에 있던 예비검속자들을 전부 해병대에 인도해가지고 예비검속자로 하여금 죽음을 맞도록 했지요. 그래 죄가 있을 수 없는 거 아니요. 물 론 교도소에 갔다 온 사람, 형기를 마쳐서 갔다 온 사람.조사지역제주 | 조사일2014년 01월 22일
기초학문(3)
- 주시경 문법 ‘드’ 구성 성분의 체계와 기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남경완, 게재일 : 200941455 남경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9 주시경 문법 ‘드’ 구성 성분의 체계와 기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유형논문 | 게재일2009
- 20세기 초중반 한국어학의 사상적 면모: 주시경과 게봉우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063583 한국연구재단 인하대학교한국학연구소 2010 20세기 초중반 한국어학의 사상적 면모: 주시경과 게봉우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10
- 서평 : \"국어\"의 언어적 근대는 기획된 것인가 -김병문, 『언어적 근대의 기획: 주시경과 그의 시대』 (소명출판, 2013)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466032 한국연구재단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14 서평 : \"국어\"의 언어적 근대는 기획된 것인가 -김병문, 『언어적 근대의 기획: 주시경과 그의 시대』 (소명출판, 2013) - https://www.krm.or.kr/kr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16)
- 日語夜學生募集廣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本所에셔日語夜學一年速成科를設야文法과普通話를專門으로教授터이오니入學코자는이는陽十一月二十日內로來請시오 課業時間은每夜二時 月謝金은新貨一圜 南大門內靑年學院 日語夜學講習所 所主兼教師 柳一宣 幹事 全德基 周時經 教師 前日本農學教師 渡邊新太郞 李丙植게재일1906년 11월 19일 | 기사분류광고
- 日語夜學生募集廣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本所에셔日語夜學一年速成科를設여文法과普通話를專門으로教授터이오니入學코자는이는陽十二月二十日內로來請시오 課業時間은每夜二時 月謝金은新貨一圜 南大門內靑年學院 日語夜學習講習所 所主兼教師 柳一宣 幹事 全德基 周時經 教師 前日本農學教師 渡邊新太郞 李丙植게재일1906년 11월 16일 | 기사분류광고
- 日語夜學生募集廣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本所에셔日語夜學一年速成科를設야文法과普通話를專門으로敎授터이오니入學코자는이는陽十一月二十日內로來請시오 課業時間은每夜二時 月謝金은新貨一圜 南大門內靑年學院 日語夜學講習所 所主兼敎師 柳一宣 幹事 全德基 周時經 敎師 前日本農學敎師 渡邊新太郞 李丙植게재일1906년 11월 20일 | 기사분류광고
- 日語夜學生募集廣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本所에셔日語夜學一年速成科를設야文法과普通話를專門으로敎授터이오니入學코자는이는陽十一月二十日內로來請시오 課業時間은每夜二時 月謝金은新貨一圜 南大門內靑年學院 日語夜學講習所 所主兼敎師 柳一宣 幹事 全德基 周時經 敎師 前日本農學敎師 渡邊新太郞 李丙植게재일1906년 11월 21일 | 기사분류광고
- 日語夜學生募集廣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本所에셔日語夜學一年速成科를設야文法과普通話를專門으로教授터이오니入學코자는이는陽十一月二十日內로來請시오 課業時間은每夜一時 月謝金은新貨一圜 南大門內靑年學院 日語夜學講習所 所主兼教師 柳一宣 幹事 全德基 周時經 教師 前日本農學教師 渡邊新太郞 李丙植게재일1906년 11월 17일 | 기사분류광고
멀티미디어(60)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https://ocks.korea.ac.kr/ocks/index.do) 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이 강좌는 한국어, 한글연구에대한관심이있는국내외대학원생들을대상으로 주시경, 김두봉, 김규식 등 근대 문법가들의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https://ocks.korea.ac.kr/ocks/index.do) 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이 강좌는 한국어, 한글연구에대한관심이있는국내외대학원생들을대상으로 주시경, 김두봉, 김규식 등 근대 문법가들의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https://ocks.korea.ac.kr/ocks/index.do) 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이 강좌는 한국어, 한글연구에대한관심이있는국내외대학원생들을대상으로 주시경, 김두봉, 김규식 등 근대 문법가들의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https://ocks.korea.ac.kr/ocks/index.do) 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이 강좌는 한국어, 한글연구에대한관심이있는국내외대학원생들을대상으로 주시경, 김두봉, 김규식 등 근대 문법가들의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https://ocks.korea.ac.kr/ocks/index.do) 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이 강좌는 한국어, 한글연구에대한관심이있는국내외대학원생들을대상으로 주시경, 김두봉, 김규식 등 근대 문법가들의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연구과제(1)
-
한국 선도사상의 3수문화-선도문헌과 대종교계열의 학자들을 중심으로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조남호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 2013 | 국내 | 충남
주제어사전(31)
-
주시경 / 周時經 [교육]
1876년(고종 13)∼1914년. 본관은 상주. 국어의 연구와 운동을 통하여 일제침략에 항거한 국어학자. 황해도 봉산 출생. 1897년 배재학당 만국지지 특별과를 졸업, 이어 보통과에 입학하여 1900년 졸업했다. 1896년 독립협회 조직에 참여, <독립신문>의 교정
-
신찬조선어법 / 新撰朝鮮語法 [언어/언어/문자]
1922년 이규방(李奎昉)이 주시경(周時經)의 문법을 참조하여 펴낸 중등학교용 3부법 문법서. 김원우(金元祐)의 권두서와 자서에 의하면, 저자는 1910년경에 주시경으로부터 국어문법을 배우고, 평양에서 교편을 잡으면서 주시경의 ≪조선어문법 朝鮮語文法≫을 참조하여 19
-
우리말본 / 우리말본 [언어/언어·문자]
최현배가 지은 문법책. 1937년에 초판, 1955년에 개정판,이후 여러 차례 개정판이 나왔다. 최현배는 주시경의 문하에서 가르침을 받았는데, 주시경의 학문은 민족주의 입장에서 시작되었다. <우리말본>은 그 씨가름에서 월가름에 이르기까지 옛 설명을 그대로 쓴 것이 거
-
국문문법 / 國文文法 [언어/언어/문자]
1905년 국어학자 주시경(周時經, 1876∼1914)이 손으로 써서 만든 국어 문법책. 『국문문법(國文文法)』은 주시경이 1905년 2월부터 6월까지 상동청년학원(尙洞靑年學院)에서 국어를 가르칠 때 등사해서 학생들에게 나눠준 것을 합철한 것이다. 필사본(筆寫本)으로
-
권정선 / 權靖善 [교육/교육]
을 고안하는 데 있었다고 한다. 이 책은 운학(韻學)과 한자음 연구로부터 벗어나 『훈민정음』 연구가 본격적으로 연구되던 때의 저작이다. 영조 때의 운학자(韻學者) 이사질(李思質)의 후계자로 조선조의 마지막을 지킨 한글학자라 할 수 있으며, 주시경(周時經)에게도 많은 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