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주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4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387)
사전(236)
- 주본(奏本)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주본 주본 奏本 계본(啓本), 예물총단(禮物摠單), 예부자(禮部咨) 정치행정/문서·행정용어 개념용어 김혁 [정의] 조선 왕이 중국 황제에게 보내는 외교문서의 하나. [내용] 조...관련어계본(啓本), 예물총단(禮物摠單), 예부자(禮部咨)
- 대방광불화엄경주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간행된 80권 화엄경. [내용] 실차난타(實叉難陀)가 695∼699년간에 번역한 것으로 주본(周本:周나라 本) ≪화엄경≫이라 불림. 목판본. ≪화엄경≫은 불타발타라(佛陀跋陀羅)가 418∼420년간에 번역한 60권본[...연계항목대방광불화엄경주본(大方廣佛華嚴經周本)
- 속감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신라 하대의 불사(佛事) 조영을 위해 속인들로 구성된 공사감독기관. [개설] 872년(경문왕12)에 작성된 「황룡사9층목탑찰주본기(皇龍寺九層木塔刹柱本記)」에 처음 보이며, 성전(成典)‧도감전(俗監典)과 함께 9층목탑의 중수체...
- 자상특사황국옥당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조 명종 때 송순(宋純)이 지은 시조. [구성 및 형식] 정철(鄭澈)의 가사와 단가를 모은 『송강가사(松江歌辭)』 성주본(星州本)에는 정철의 작품으로 실려 있으나 송순의 작품임이 확실하다. 송순의 문집인 『면앙집(俛仰集)』 권...
-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주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경상남도 양산시 통도사 성보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국보(國寶) 12 -서예(書藝)‧전적(典籍)-』(천혜봉 편, 예경산업사, 1985)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46 고...
단행본(2)
- 역주 고산선생연보 [호남지역 주요 문중문헌 조사 및 연구 | 전남대학교]저자 : 김대현(전남대학교 호남한문학연구실 책임교수), 기태완(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연구교수), ... | 출판사 : 정미문화사 | 출판일 : 2012.08.30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서문 서문 일러두기 《고산선생연보》역주본 《고산선생연보》권1 《고산선생연보》권2 《고산선생연보》권3 《孤山先生年譜》卷
- 장서각 소장 고문서 대관 1 - 왕명, 상주-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이민원(원광대학교 역사교육과 초빙교수), 김...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0.03.31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31. 奏本 32. 上疏‧上言 33. 勅令 34. 訓論 35. 論示 36. 訓令 37. 庭請‧批答 38. 紀念證書
논문(2)
- 寒山诗日本古注本的阐释特色与学术价值 [중국 내 최고 수준의 '인문한국학' 교육연구모델 개발 및 시스템 구축 | 南京大學 (Nanjing University)]저자 : 卞东波 | 게재정보 : 南京大学学报 , 게재일 : 2016.05유형논문
- 《精刊补注东坡和陶诗话》与苏轼和陶诗宋代的注本 [중국 내 최고 수준의 '인문한국학' 교육연구모델 개발 및 시스템 구축 | 南京大學 (Nanjing University)]저자 : 卞东波 | 게재정보 : 《复旦学报》(社会科学版) 57권 3호, 게재일 : 2015.05유형논문
고서·고문서(2,008)
- 주본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분류일반 | 소장처규장각
- 주본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분류일반 | 소장처규장각
- 주본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분류일반 | 소장처규장각
- 주본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분류일반 | 소장처규장각
- 주본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분류일반 | 소장처규장각
구술자료(10)
- 오정숙 심청가 공연녹음 ① 김명환 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또는 \'부르타니카\'라고 표기되어 있다. 3)심청가 초압인 \'심봉사 내력\' 대목부터 심봉사가 젖동냥하는 대목까지이다. 대목 구분은 최동현·최혜진, 『전라문화연구소판소리총서 5 판소리사설전집3 \'교주본 심청가\'』(2005, 민속원) 중 \'김연수 바디 심청가\'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오정숙
- 오정숙 심청가 공연녹음 ① 김명환 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또는 \'부르타니카\'라고 표기되어 있다. 3)심청가 초압인 \'심봉사 내력\' 대목부터 심봉사가 젖동냥하는 대목까지이다. 대목 구분은 최동현·최혜진, 『전라문화연구소판소리총서 5 판소리사설전집3 \'교주본 심청가\'』(2005, 민속원) 중 \'김연수 바디 심청가\'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명환
- 오정숙 심청가 (Ⅲ) 공연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정숙 심청가Ⅰ~Ⅴ에 걸쳐 테이프 또는 테이프 표지에 \'부르타니\' 또는 \'부르타니카\'라고 표기되어 있다. 3)\'부녀이별\' 대목부터 \'심청의 용궁행\' 대목까지이다. 대목 구분은 최동현·최혜진, 『전라문화연구소판소리총서 5 판소리사설전집3 \'교주본 심청가\'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오정숙
- 오정숙 심청가 (Ⅳ) 공연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타니카\'라고 표기되어 있다. 4)\'심청의 용궁행\' 대목부터 \'뺑덕이네 생김새와 행실\' 대목까지이다. 대목 구분은 최동현·최혜진, 『전라문화연구소판소리총서 5 판소리사설전집3 \'교주본 심청가\'』(2005, 민속원) 중 \'김연수 바디 심청가\'에 기초하였다.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오정숙
- 오정숙 심청가 (Ⅳ) 공연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타니카\'라고 표기되어 있다. 4)\'심청의 용궁행\' 대목부터 \'뺑덕이네 생김새와 행실\' 대목까지이다. 대목 구분은 최동현·최혜진, 『전라문화연구소판소리총서 5 판소리사설전집3 \'교주본 심청가\'』(2005, 민속원) 중 \'김연수 바디 심청가\'에 기초하였다.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여
기초학문(2)
- 청대 만주본위의 민족정책과 문화충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춘복, 게재일 : 201259118 이춘복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2 청대 만주본위의 민족정책과 문화충돌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유형논문 | 게재일2012
- 韓國 符點口訣의 記入 位置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5201_id=10004603&local_id=10005536 國寶 204號 周本華嚴經 卷第36에 記入된 角筆 口訣의 解讀 및 飜譯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research.html?dbGubun=S유형논문 | 게재일2005
신문·잡지(110)
- 戶口奏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부에셔 한셩오셔와 십삼도호구춍슈를 됴샤야 쥬본을 드렷 한셩오셔에 가호가 만삼쳔십일호에 인구가 십구만륙쳔십구오 각도에 가호가 일삼십구만일쳔이십삼호에 인구가 오팔십이만구팔구라더라게재일1906년 12월 3일 | 기사분류잡보
- 法部奏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평리원 션고죄인 라인영씨등 삼십인의 션고안건이 다시번복 되리라은 임의긔얏거니와 법부에셔 작일에 션고안을 쥬본얏 라인영 김동필 강상원 지팔문 박죵셥 김경션 황문슉 황성쥬 리경진 죠화츈 리용 민형식 최익진 리셕죵 리광슈 윤츙하 리승대 셔챵보 김영 최동식...게재일1907년 7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宮相奏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금번 황례폐하 상호압실에 그 상호를 의론 등졀은 쟝례원으로 야곰 마련 거 으로 궁부 대신 리윤용씨가 상 쥬야 그로 랍신 쳐분을 봉승얏더라게재일1907년 8월 2일 | 기사분류잡보
- 法部奏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봉상졔죠 셔상대 숑관량씨와 뎐무과기 김쳘영 심우 원희졍 삼씨와 봉시에 리유졍씨등은 모다형상 심샤 일이잇셔 나치일로 법부에셔쥬본을올녀 하되얏더라게재일1907년 7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法部奏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 법부에셔 경무김묵씨의 보고를인야 학부협판민형식씨의 구라쥬본을 텬폐에상쥬가얏다더라게재일1907년 4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17)
- 주본정자;朱本正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8438 남한 전북 전주여자고등보통학교 2-45 전주여자고등보통학교, 졸업증서대장, 1930년~1945년 n.r. 96면 12. 1941년 3월 19일 제12회 졸업생 주본정자;朱本正子 소화...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주본재계;朱本宰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2059 남한 경남 마산상업학교 2-25 제17회 卒業記念寫眞帖 1941―03 0 주본재계;朱本宰契 함안군 가야면 미산리 제17회 1941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마산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주영제;朱永濟;주본현길;朱本賢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3625 남한 경성 휘문중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149면 주영제;朱永濟;주본현길;朱本賢吉 경성부 초음정 13;경성부 성북정 100-1 제4회 1942년 졸업예정자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일환;金日煥;금강주본;金岡宙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6609 남한 충남 공주고등보통학교 2-06 졸업대장(충남공주고등학교) n.r. 72-1면 김일환;金日煥;금강주본;金岡宙本 제16회 1941년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공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주만우;朱萬尤;주본정부;朱本正夫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5004 남한 전남 광주제일고등학교 2-08 광주제일고등학교 졸업대장(1925-1941) n.r. 77면 17. 제17회 졸업자 1941년 주만우;朱萬尤;주본정부;朱本正夫 광주 제17...학교소재지역전남 | 학교명광주제일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8)
-
대한제국기 재판기록 자료집성 및 DB-사법품보(司法稟報) 역주-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한상권 | 덕성여자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
월인천강지곡 (月印千江之曲)
한국 학술 번역사업 | Thorsten TRAULSEN | Ruhr-Universität Bochum | 2014 | 국외 | 해외
-
조선후기 선불교(禪佛敎)의 교리논쟁 연구: 선문수경禪文手鏡과 선문사변만어禪門四辨漫語
한국 학술 번역사업 | 강문선 | 동국대학교 | 2018 | 국내 | 서울
-
『고려사』 세가 숙종 ~ 의종 영역
한국 학술 번역사업 | Howard Kahm | 연세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
『고려사』 세가 명종 ~ 원종 영역
한국 학술 번역사업 | Howard Kahm | 연세대학교 | 2022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20)
-
주본 / 奏本 [정치·법제/외교]
중국의 천자(天子)에게 올리는 글. 긴요한 사건에 대한 상주서(上奏書)이다.『명회전』에 의하면 백성들이 조정에 올리는 글을 주본(奏本)이라 하였고 동궁에게 올리는 글을 계본(啓本)이라 하였는데 주·계본이 모두 세자(細子)를 쓰고 서식이 복잡하여 불편하다고 하여 제본
-
진주방물주본 / 陳奏方物奏本 [정치·법제]
1882년 고종이 임오군란 때 청으로 압송된 생부 대원군을 환국시켜주도록 청 황제에게 아뢰며 보낸 방물 주본. 황세저포 20필로부터 유매묵 50정에 이르기까지 총 14종의 진헌예물 목록이 적혀 있다.
-
대방광불화엄경주본 / 大方廣佛華嚴經周本 [종교·철학/불교]
당나라 승려 실차난타가 번역한 『화엄경』을 목판으로 간행한 불교경전. 실차난타(實叉難陀)가 695∼699년간에 번역한 것으로 주본(周本: 周나라 本) 『화엄경』이라 불림. 목판본. 『화엄경』은 불타발타라(佛陀跋陀羅)가 418∼420년간에 번역한 60권본[晉本]과 반
-
황제대호진칭주본 / 皇帝大號進稱奏本 [정치·법제]
1907년(광무 11) 7월 22일 내각총리대신 이완용(李完用) 등 7인이 순종에게 황제의 호칭을 사용할 것을 상주한 주본. 순종은 같은 해 7월 18일에 이미 고종의 대리조서에 의해 사실상 제위를 물려받았다. 이 상주에 대해 순종은 '대조(大朝)'의 처분을 받들어
-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 紺紙銀泥大方廣佛華嚴經周本 [종교·철학/불교]
고려후기 『대방광불화엄경』 주본을 감색 종이에 은니로 필사한 불교경전. 당나라 실차난타(實叉難陀)가 번역한 『화엄경』 주본 80권 가운데 권37 1권 1첩은 보물 제754호, 권5와 권6 2권 1첩은 보물 제755호로 지정되었다. 호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1)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