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주방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9)
사전(57)
- 역주방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00년대 중엽에 쓰여진 저자 미상의 조리서. [내용] 1책. 필사본. 책력(冊歷)의 용지를 뒤집은 반고지(反古紙)에 술빚기를 주로 한 조리가공법을 필사한 것이므로 ‘역주방문’이라는 가제를 이성우(李盛雨)가 붙였다. 대청가경(大淸嘉慶)...
- 주방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 권미의 낙서에 “하생원주방문책(河生員酒方文冊)”이라는 글이 있고 그 오른쪽 옆에는 필체가 다른 “정월27일전1냥(正月二七日錢一兩)”이라는 글이 적혀 있는 것으로 미루어 하씨 성을 가진 무명의 한 선비에 의하여 지어졌고 소장자가 정월 27일에 1냥으로 사온...
- 김승지댁주방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60년(철종 11)에 쓰여진 저자 미상의 조리서. [서지적 사항] 1책. 한글 필사본. [내용] 앞부분에는 계절에 따라 수확되는 곡식이나 과일을 이용하여 술을 담그는 법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고, 뒷부분에는 생선요리법 몇...
- 송령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솔방울을 넣어 빚는 술. [내용] 『주방문(酒方文)』ㆍ『술만드는 법』ㆍ『양주방』 등에 기록되어 있다. 만드는 법은 푸른 솔방울 한말을 따서 물로 깨끗이 씻은 다음 물 세 동이를 붓고 오래 삶아서 두 동이가 되게 한 뒤 깨끗하게 걸러서 식...
- 호산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데 있다. 조선 중엽 이후의 『산림경제』‧『주방문(酒方文)』 등의 문헌에 기록되어 있다. 제조법은 다음과 같다. 초하룻날 멥쌀 1말5되를 깨끗이 씻어 하룻밤 담갔다 건져서 떡가루처럼 빻아 냉수 7되를 먼저 풀고 다시 끓인 물 8되를 뿌리면서 섞어 죽처럼 된 것을...
고서·고문서(18)
- 도민(島民)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命, 依津處斷。 請還寢罪人睦重衡, 停刑之命, 仍令鞫廳, 更加嚴刑, 期於得情。 措辭見上 日昨茶坐, 全羅道錦城縣荷衣·苔錦·上下三島民人等, 來呈一狀, 以爲貞明公主房免稅田二十結, 在於島中, 其後傳系於該宮外裔, 稱以宣廟朝全一島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민(島民)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命, 依津處斷。 請還寢罪人睦重衡, 停刑之命, 仍令鞫廳, 更加嚴刑, 期於得情。 措辭見上 日昨茶坐, 全羅道錦城縣荷衣·苔錦·上下三島民人等, 來呈一狀, 以爲貞明公主房免稅田二十結, 在於島中, 其後傳系於該宮外裔, 稱以宣廟朝全一島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중(島中)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6618 B066618 도중 島中 도서 일반 英祖實錄 六年(1730) 十二月 영조실록_10612029_002 ○諫院申前啓, 不允, 末端京外決訟啓聞事, 依啓。 憲府【持平嚴慶遐。】申前啓, 不允。 又啓: “全羅道錦城縣荷衣、苔錦上下三島民呈狀以爲: ‘貞明公主房免稅田二十結,출처전거英祖實錄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중(島中)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措辭見上 日昨茶坐, 全羅道錦城縣荷衣·苔錦·上下三島民人等, 來呈一狀, 以爲貞明公主房免稅田二十結, 在於島中, 其後傳系於該宮外裔, 稱以宣廟朝全一島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민(島民)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52457 B052457 도민 島民 도서 일반英祖實錄 六年(1730) 十二月 영조실록_10612029_002 ○諫院申前啓, 不允, 末端京外決訟啓聞事, 依啓。 憲府【持平嚴慶遐。】申前啓, 不允。 又啓: “全羅道錦城縣荷衣、苔錦上下三島民呈狀以爲: ‘貞明公主房免稅田二十結, 在...출처전거英祖實錄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3)
- 漢尹奔走訪問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한셩부윤 △의병씨작일상오에일본령부궁강소장을 방문고하오일시경에 부에 잠시진 얏다가 다시 일본리쳥과 통감부 목총장 귀산사무관 학원총무장관 국빈비셔관과부참여관 렴쳔씨를 뎨로방문얏다더라게재일1907년 5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녹기_1941_06_0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健康日本明るい日本-國民學校はきたへる-釜山第六國民學校 伊佐山宣子 150 健康家族訪問-仲よし健康家族頴川善之助氏宅 151 하위기사 있음 我が家の健康...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1
- 조선공론_1914_02_10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75 1화의 제목은 總督府廊下巡り (1) 2화에서 바뀜. 80쪽 작은기사있음. 파일분절요망. 南山の乃木祭, 80쪽. 遣されたる人びと 出征軍人遣族訪問記 一記者 81 83쪽 하단에 작은기사있음. 파일분...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4
기타자료(1)
- 25. No. 258:보고서, 1946.06.20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기간 중 이북지역 및 외국에서 귀국한 한국인 누계 1,825,816명, 테러관련사항으로 이승만 박사의 청주방문시 시행되지 못한 테러음모가 있었음. 관련자를 체포하고보니 전원 부강리의 청년연맹, 여성연맹, 노동연맹, 인민위원회의 간부였음. 몰수품이 다이너마이트, TNT,...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G-2,Headquarters, USAFIK | 수신자Headquarters, USAFIK
주제어사전(11)
-
주방문 / 酒方文 [생활/식생활]
연대·저자 미상의 조리서(調理書).1책. 한글필사본. 이 책은 총 41매인데 그 중 12매는 공백이다. 공백부분에는 <상사별곡 相思別曲>·<춘면곡 春眠曲>·<시주별곡 詩酒別曲>·<천주가 天酒歌> 등의 풍류가사와 몇 수의 한시가 적혀 있다.
-
김승지댁주방문 / 金承旨宅酒方文 [생활/식생활]
1860년에 과실주 담그는 법·생선요리법·장담그는 법 등에 관하여 저술한 조리서. 1책. 한글 필사본. 앞부분에는 계절에 따라 수확되는 곡식이나 과일을 이용하여 술을 담그는 법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고, 뒷부분에는 생선요리법 몇 종류와 장담그는 방법이 기록되어 있다.
-
백화주 / 百花酒 [생활/식생활]
여러 종류의 꽃을 넣어 빚는 술. 술에 향기와 약효를 아울러 주므로 가향주(加香酒)인 동시에 약용 약주라 할 수 있다. 그 제법은 『음식보(飮食譜)』·『민천집설()民天集說』·『증보산림경제』·『규곤요람(閨壼要覽)』·『규합총서(閨閤叢書)』·『김승지댁주방문(金承旨宅酒方文)
-
감향주 / 甘香酒 [생활/식생활]
술밑을 만들어 빚은 약주. 단양주이며 맛이 꿀같고 향기롭다. 『음식디미방』·『요록(要錄)』·『규곤요람(閨壺要覽)』·『규합총서(閨閤叢書)』·『양주방』·『김승지댁주방문』 등에 그 제조법이 기록되어 있다.
-
감주 / 甘酒 [생활/식생활]
쌀과 누룩으로 빚은 감미가 있는 술. 단시일 안에 속성으로 만들어진 술로 알코올을 약간 함유하고 감미가 있어 엿기름으로 만든 감주와는 다르다. 만드는 법은 ≪주방문 酒方文≫·≪증보산림경제≫·≪임원십육지≫·≪술 만드는 법≫ 등에 적혀 있다.≪술 만드는 법≫에서는 “찹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