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주방” 에 대한 검색결과 12,67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626)

사전(63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궁중 양조장. [내용] 초기에는 고려시대의 예에 따라 사온서(司醞署)라는 정규관청을 두고 궁중에서 소요되는 주류의 양조를 전담하게 하였다. 그러나 임진왜란 이후에 이 관제가 혁파되어 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게 되었다. 근...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궁정 인물화에 능했던 중국 당나라 때의 화가(618~907)
    정의궁정 인물화에 능했던 중국 당나라 때의 화가(618~907) | 문광부표기Ju Bang | MR표기Chu P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37년경에 쓰여진 저자 미상의 술 만드는 법에 관한 책. [내용] 1책. 한글 필사본. 지방에서 중앙으로 올리는 문서(文書)의 초고(草稿)를 뒤집어서 적어놓은 것으로서 여기에 간지가 나오는데, 이것으로 미루어 1837년경에 전라도에서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00년대 중엽에 쓰여진 저자 미상의 조리서. [내용] 1책. 필사본. 책력(冊歷)의 용지를 뒤집은 반고지(反古紙)에 술빚기를 주로 한 조리가공법을 필사한 것이므로 ‘역문’이라는 가제를 이성우(李盛雨)가 붙였다. 대청가경(大淸嘉慶)...
  • 내소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조선 시대에 왕과 왕비의 수라를 마련하는 곳. 방과 창으로 구성된 몸채가 있고, 이를 청, 방, 부엌, 곳간으로 구성된 행랑이 둘러싸고 있다. 나인들이 왕과 왕비의 수라를 장만하는 곳으로 화재의 우려가 있어 왕의 침전과 떨어진 곳에 설치하였다. 일상식을 장만하는...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논문(1)

고서·고문서(11,628)

구술자료(20)

  • 서울 20161119_서울시 중구 을지로 러시아거리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자와의 약속 시간을 여유 있게 앞두고 만난 조사팀과 박교수는 근처에 있던 ‘사마르칸트시티(Samarkant city)’라는 이름의 우즈베키스탄 식당에서 식사를 하였는데, 그 식당의 사장과 장이 마침 우즈베키스탄 사람이었던 터라 조사 취지를 설명하고 조사 참여 의향을
    제보자옵샨코바야나 [우즈베키스탄, 여, 1980년생, 이주노동 10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대전광역시에도 분포한다. 서부 충남의 얼카덩어리 류와 상면 소호니 곡의 영향으로 재창출된 잦은 호미매기소리이다. * 잘하네 곡과 에헤라 방애호의 흔적이 보인다. * 쌈쌀 때는 “우 - ” “어 - ” 할 뿐이다.
    녹음지역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 마장2리 (무내미) | 녹음날짜2014.5.1 | 가창방식멕받형
  • 성낙신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송달원, 송민련, 송요찬, 양주동, 영도다리, 옹진군, 옹진중학교, 와세다대학교, 왜관, 용두동, 월남, 월미도, 육군정보학교, 육군첩보부대, 이석범, 이장송, 일본, 입양, 장용순,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총련), 적십자사, 제1부두, 제주도, 제송국, 중앙정보부,
    구술자성낙신 | 직업자영업 | 지역황해도
  • 리가 딱 나온 거예요. 그래갖고. ‘아! 뱀(범)이다. 어떻게 해.’ 그래서 너무 놀란 거예요. ‘범이다, 범이다!’ 이랬죠, 오누이가. 그래서 엄마가 막 이 있는 사이에 얘들이 뒤로 이렇게 해서 나온 거예요. 집을 나왔어요. 집을 나와 갖고 이제 막 뛰어가는데
    국가중국 | 제보자리칭후아(이청화) [중국, 여, 1976년생, 결혼이주 17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나, 이것 좀 밥 좀 해라.” 쟤가 어떻게 밥을 하는지 얘기 하게 그렇게 하잖아요. 그래서 그 피나는 “네, 알겠어요.” 그래 가서, “엄마, 냄비 어딨어요?” “냄비 거기 저기 있는데. 가스렌지 밑에 있어요.” “안 보여요.” 그렇게 말했어요. 또 “엄마, 국자
    국가필리핀 | 제보자멜로니 [필리핀, 여, 1985년생, 결혼이주 6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33)

  • 언의 낱말 엑센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순복, 게재일 : 2005
    12910 박순복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음성학회 2005 제언의 낱말 엑센트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248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시대적 가치관에 따른 디자인 변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진애리, 게재일 : 2011
    43655 진애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1 시대적 가치관에 따른 디자인 변화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언의 어휘 분화현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원보, 게재일 : 2012
    53642 김원보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언어연구학회 2012 제언의 어휘 분화현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언 담화표지 ‘계메’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문순덕, 게재일 : 2012
    53968 문순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언어연구학회 2012 제언 담화표지 ‘계메’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언 동명사 구문의 문법화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강정희, 게재일 : 2008
    25882 강정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어문연구학회 2008 제언 동명사 구문의 문법화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
    유형논문 | 게재일2008

신문·잡지(196)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본잇 리쥰용씨 월경에나 방환이 되리라 항셜이 쟈쟈다더라
    게재일1906년 3월 13일 | 기사분류잡보
  • 亦設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우에말바 경부텰도에서 오월일일 직통으로부터 승의 편의을위야 음식만드 쥬방잇 일이등챠를달고 왕며 승에 쳥구로 음식을 판기로 다더라
    게재일1905년 4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 報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공쥬 진위졍위 리민직씨가 령관으로 죄인을 긔포에 진안군거 젼 쳔군슈 리원즁씨를 음으로모라 잡아가두고 물을 토다가 여의히되지 아니 고로 엇더케 보고얏던지 지금 경위원에 피슈지라 젼라북도 관찰 죠한국씨가 진안군유의등소로 부에 보고기를 리원...
    게재일1902년 6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 關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쳥국 졍부에셔 관동쥬에 방곡령을 펴다고 일본 관헌의게 통쳡엿 일본 관헌이 반야 갈아 관동쥬 임의 일본에 빌닌인즉 외국과 갓치 녁이라 엿다더라
    게재일1907년 8월 18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 漢尹奔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한셩부윤 △의병씨작일상오에일본령부궁강소장을 방문고하오일시경에 부에 잠시진 얏다가 다시 일본리쳥과 통감부 목총장 귀산사무관 학원총무장관 국빈비셔관과부참여관 렴쳔씨를 뎨로방문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5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55)

  • 경복궁 소지 발굴조사 보고서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경복궁 소지 발굴조사 보고서 Y5-0023_#1 유구 Y5-0023 경복궁 소지 및 흥복전지 [사진 18] 외소지 전경(남에서) 2013-12-05_0.3520777_Y5-0023 경복궁 소지 및 흥복전지 [사진 18] 외소지 전
    제목경복궁 소주방지 발굴조사 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서남방언과 제언_5주차_1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3주차. 중부방언과 동북방언 4주차. 서북방언과 동남방언 5주차. 서남방언과 제언 6주차. 한국어의 사회 방언 1 7주차. 한국어의 사회 방언 2 8주차. 한국어의 사회 방언 3 9주차. 한국어의 사회 방언과 의사소통 34주차. 세계 속의 한국어 이영제 교수,
    강좌제목한국어의 방언 | 강의자이영제 교수, 신우봉 교수, 손다정 교수, 손혜진 교수
  • 서남방언과 제언_5주차_2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3주차. 중부방언과 동북방언 4주차. 서북방언과 동남방언 5주차. 서남방언과 제언 6주차. 한국어의 사회 방언 1 7주차. 한국어의 사회 방언 2 8주차. 한국어의 사회 방언 3 9주차. 한국어의 사회 방언과 의사소통 35주차. 세계 속의 한국어 이영제 교수,
    강좌제목한국어의 방언 | 강의자이영제 교수, 신우봉 교수, 손다정 교수, 손혜진 교수
  • 서남방언과 제언_5주차_3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3주차. 중부방언과 동북방언 4주차. 서북방언과 동남방언 5주차. 서남방언과 제언 6주차. 한국어의 사회 방언 1 7주차. 한국어의 사회 방언 2 8주차. 한국어의 사회 방언 3 9주차. 한국어의 사회 방언과 의사소통 36주차. 세계 속의 한국어 이영제 교수,
    강좌제목한국어의 방언 | 강의자이영제 교수, 신우봉 교수, 손다정 교수, 손혜진 교수
  • 서남방언과 제언_5주차_4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3주차. 중부방언과 동북방언 4주차. 서북방언과 동남방언 5주차. 서남방언과 제언 6주차. 한국어의 사회 방언 1 7주차. 한국어의 사회 방언 2 8주차. 한국어의 사회 방언 3 9주차. 한국어의 사회 방언과 의사소통 37주차. 세계 속의 한국어 이영제 교수,
    강좌제목한국어의 방언 | 강의자이영제 교수, 신우봉 교수, 손다정 교수, 손혜진 교수

기타자료(62)

  • ;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0025 일본 東京 法政大學 法政大學校友名鑑 1941―05―25 152면 김;金 조선 1938년 3월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法政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6814 남한 경성 경성광산전문학교 1-06 京城鑛專會報 제1호 1940―05―28 137면 (학과)전수과 김;金 경성부 사직정 173 柳方;(본적)평북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광산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황주룡;黃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9585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119면 황주룡;黃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임주룡;林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9871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208면 임주룡;林 제8회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윤주룡;尹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5253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慶北公立中學校同窓會報 제17호 1942―12 33면 윤주룡;尹 청송군 청송면 금곡동 835 제7회 1929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53)

  • / [생활/식생활]

    조선시대 궁중 양조장. 초기에는 고려시대의 예에 따라 사온서라는 정규관청을 두고 궁중에서 소요되는 주류의 양조를 전담하게 하였다. 그러나 임진왜란 이후에 이 관제가 혁파되어 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게 되었다. 1671년(현종 12)에는 한발에 의한 대기근으로 이

  • 내소 / 內燒 [정치·법제]

    조선 시대에 왕과 왕비의 수라를 마련하는 곳. 방과 창으로 구성된 몸채가 있고, 이를 청, 방, 부엌, 곳간으로 구성된 행랑이 둘러싸고 있다. 나인들이 왕과 왕비의 수라를 장만하는 곳으로 화재의 우려가 있어 왕의 침전과 떨어진 곳에 설치하였다. 일상식을 장만하

  • / 燒 [정치·법제]

    조선 시대에 궁중의 음식을 만드는 . 내소과 외소으로 나뉘는데 내소은 왕ㆍ왕비의 평상시의 조석 수라상을 비롯한 일상식을 장만하고 각종 찬품을 맡아한다. 이에 반해 외소은 궁중의 잔치 음식을 장만하였다. 조선시대 말기에는 평상시의 조석 수라상이나 다

  • 언 / 濟 [언어/언어/문자]

    제주도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 행정구역상 추자면은 제주도에 속하나, 전라도 방언이 쓰이므로 제언을 사용하는 지역에 해당하지 않는다. 제언은 그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고어(古語)가 많이 남아 있는 방언으로 알려져 왔다. 하지만 ‘ᄋᆞ’를 제외하면, 제언에

  • 문 / [생활/식생활]

    연대·저자 미상의 조리서(調理書).1책. 한글필사본. 이 책은 총 41매인데 그 중 12매는 공백이다. 공백부분에는 <상사별곡 相思別曲>·<춘면곡 春眠曲>·<시주별곡 詩酒別曲>·<천주가 天酒歌> 등의 풍류가사와 몇 수의 한시가 적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