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주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64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유교
- 예기
- 선비화경휘덕숙빈최씨제문
- 삼례업
- 구경
연구성과물(2,615)
사전(824)
- 주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르러 경전에 포함되면서 예경(禮經)에 속한다고 ‘주례’라는 명칭을 얻게 되었다. ≪예기 禮記≫‧≪의례 儀禮≫와 함께 삼례(三禮)로 일컬어지며, 당대(唐代) 이후 13경(十三經)의 하나로 포함되었다. 성립 시기에 대해서는 고문학파(古文學派)에서는 주나라 초기 주...
- 주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중국 고대 왕조인 주(周)나라의 예(禮).정의중국 고대 왕조인 주(周)나라의 예(禮).[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Ju rye | MR표기Chu ry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주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유교 경전의 하나. 주(周)나라의 관직 제도 등을 기록한 책.정의유교 경전의 하나. 주(周)나라의 관직 제도 등을 기록한 책.[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Ju rye | MR표기Chu ry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周禮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1_S_0038 周禮 경서·경학 未, 六官, 典禮, 土圭, 服不氏, 射鳥氏, 夷隷, 貉隷, 冥氏, 翨氏, 硩蔟氏, 蟈氏, 壺涿氏 國初 六國, 周, 西京, 漢 林存孝, 武帝, 何休, 劉歆, 王莽, 穎濵, 五峯, 鄭玄, 蘇, 胡, 周公, 聖人...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20권 1장 8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周禮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1_S_0070 周禮 경서·경학 穎濵, 穎濵蘇氏, 朱子, 黃帝, 子由 周禮, 漢刑法志, 井田類說, 周禮, 孟子集註, 類說 S_26_01_63 성호사설 26권 1장 63절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26권 1장 6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논문(1)
- 유교이념의 실천도구로서 음식 [종가의 제례음식 자료집성 및 DB구축 | 한국국학진흥원]저자 : 김미영 | 게재정보 : 영남학
고서·고문서(1,712)
- 주례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이 자료는 조선총독부 중추원에서 작성한 것으로, 향음주례(鄕飮酒禮)를 비롯한 주례(酒禮)에 대하여 조사하여 정리한 보고서이다. 성종으로부터 정조연간까지의 왕조실록에서 주례와 관련한 9개의 기사를 발췌하여 수록한 문헌조사 보고서로, 조선총독부 중추원 조사용지에 작성하였...분류일상생활 | 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출판사없음
- 經史門3_周禮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周禮 《周禮》一書, 林存孝以爲“武帝知《周官》末世瀆亂不經之書, 作《十論》、《七難》, 以排棄之”, 何休亦以爲“六國陰謀之書”, 或謂“劉歆附益, 以佐王莽者也”. 愚謂, 《周禮》之顯, 自劉歆始. 穎濱、五峯之論, 亦不爲無據. 然其疑處, 自可疑, 而排陳六官, 規模宏遠, 有非先聖不...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修四書小注例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拾遺 卷之四 【拾遺】雜著 一 15 修四書小注例 42_067_013.jpg 修四書小注例 語意要切者, ○之。 全段不甚可觀, 而其中語句要切者, 之。 有可考觀, 而不至甚要切者, ○之。 雖不甚切, 而義通無病者, 仍舊○之。 有不害義, 有無不關者, ◎之。 全段無...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향음주례홀기(鄕飮酒禮笏記)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유교-경전 | 형식분류고서-경전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찬도호주주례(纂圖互註周禮)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유교 | 형식분류고서-주해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구술자료(12)
- 경상 20170105_부산 사상구 주례동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20170105_051_1921_사상구 2017 경상 20170105 경상 2017. 01. 05(목) 19:50-21:10 부산 사상구 주례동 안나가르캅축 [러시아, 여, 1993년생, 유학 3년차] 조사자 3인 조홍윤, 황승업, 김자혜 조사자는 부산 지역의제보자안나가르캅축 [러시아, 여, 1993년생, 유학 3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용과 싸운 영웅 다브린야 니케치치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러시아 20170105_051_008_러시아_03_안나가르캅축_L_용과 싸운 영웅 다브린야 니케치치 전설 용과 싸운 영웅 다브린야 니케치치 2017. 01. 05(목) 밤 부산 사상구 주례동 안나가르캅축 [러시아, 여, 1993년생, 유학 3년차] 조사자 3인 조홍윤국가러시아 | 제보자안나가르캅축 [러시아, 여, 1993년생, 유학 3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지혜로운 소녀 마샤와 어리석은 곰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러시아 20170105_051_013_러시아_03_안나가르캅축_F_지혜로운 소녀 마샤와 어리석은 곰 민담 지혜로운 소녀 마샤와 어리석은 곰 2017. 01. 05(목) 밤 부산 사상구 주례동 안나가르캅축 [러시아, 여, 1993년생, 유학 3년차] 조사자 3인 조홍윤국가러시아 | 제보자안나가르캅축 [러시아, 여, 1993년생, 유학 3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전쟁 예고하여 가솔을 지킨 다마보이 신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러시아 20170105_051_001_러시아_03_안나가르캅축_M_전쟁 예고하여 가솔을 지킨 다마보이 신 신화 전쟁 예고하여 가솔을 지킨 다마보이 신 2017. 01. 05(목) 밤 부산 사상구 주례동 안나가르캅축 [러시아, 여, 1993년생, 유학 3년차] 조사자국가러시아 | 제보자안나가르캅축 [러시아, 여, 1993년생, 유학 3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개구리 공주와 결혼한 이반 왕자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러시아 20170105_051_009_러시아_03_안나가르캅축_F_개구리 공주와 결혼한 이반 왕자 민담 개구리 공주와 결혼한 이반 왕자 2017. 01. 05(목) 밤 부산 사상구 주례동 안나가르캅축 [러시아, 여, 1993년생, 유학 3년차] 조사자 3인 조홍윤,국가러시아 | 제보자안나가르캅축 [러시아, 여, 1993년생, 유학 3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6)
- 정도전의 유교국가론과 주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부남철, 게재일 : 200829295 부남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8 정도전의 유교국가론과 주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조선 후기 周禮의 수용과 國家禮 - 다산 정약용의 〈주례〉 이해와 국가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인규, 게재일 : 201618821 김인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16 조선 후기 周禮의 수용과 國家禮 - 다산 정약용의 〈주례〉 이해와 국가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유형논문 | 게재일2016
- 조선 후기 周禮의 수용과 國家禮 - 반계 유형원의 國家禮와 주례의 이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인규, 게재일 : 201718822 김인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17 조선 후기 周禮의 수용과 國家禮 - 반계 유형원의 國家禮와 주례의 이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유형논문 | 게재일2017
- 祭天 祭地와 山川海瀆嶽의 民族禮樂的 考察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민홍, 게재일 : 200109472 이민홍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1 祭天 祭地와 山川海瀆嶽의 民族禮樂的 考察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유형논문 | 게재일2001
- 漢代 禮制의 지방정착화에 관하여-鄕飮酒禮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수덕, 게재일 : 201553910 이수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아인문학회 2015 漢代 禮制의 지방정착화에 관하여-鄕飮酒禮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23)
- 金孝信(義州旅舘)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孝信(義州旅舘) 신의주 金孝信 義州旅舘 老松町 - - 여관업 - 15 - 新義州商工人名錄, 1938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孝信(義州旅舘) | 지역신의주 | 품목- | 영업종목여관업 | 자료출처新義州商工人名錄, 1938년
- 金孝信(義州旅舘)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孝信(義州旅舘) 신의주 金孝信 義州旅舘 老松町 - - 여관업 - 15 - 新義州商工人名錄, 1938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孝信(義州旅舘) | 지역신의주 | 품목- | 영업종목여관업 | 자료출처新義州商工人名錄, 1938년
- 岡田キクエ(九州旅舘)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岡田キクエ(九州旅舘) 신의주 岡田キクエ 九州旅舘 本町 - - 여관업 - 12 - 新義州商工人名錄, 1938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岡田キクエ(九州旅舘) | 지역신의주 | 품목- | 영업종목여관업 | 자료출처新義州商工人名錄, 1938년
- 岡田キクエ(九州旅舘)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岡田キクエ(九州旅舘) 신의주 岡田キクエ 九州旅舘 本町 - - 여관업 - 12 - 新義州商工人名錄, 1938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岡田キクエ(九州旅舘) | 지역신의주 | 품목- | 영업종목여관업 | 자료출처新義州商工人名錄, 1938년
- 민세안재홍전집 : 半島財界의 十傑(1) 朴興植氏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806 1933 10 15 1 1 半島財界의 十傑(1) 朴興植氏 잡지 삼천리 43호, 5권 10호 54~57쪽 인물평 사회 간접자료 선집외 朴興植, 安在鴻, 結婚式 主禮 B19331015삼천01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기타자료(37)
- 박주풍;朴疇豊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8661 남한 경성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1-33 교우회원주소급명부 1934―10 27면 박주풍;朴疇豊 함북;茂山 延杜 公醫 제9회 1919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박주풍;朴疇豊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8279 남한 경성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1-33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일람 1934 113면 2. 제7편. 졸업생일람;1) 졸업생명부;(9) 1919년 졸업생 11인 박주풍;朴疇豊 (출신지)...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박주풍;朴疇豊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7935 남한 경성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1-33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일람 1928 45면 2. 제8. 졸업생;9) 1919년 졸업생 11인 박주풍;朴疇豊 (출신지)함북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금주풍수;金住豊秀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金住豊秀 (본적)평남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교단 문원) 제자의 주례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단 문원) 제자의 주례 (교단 문원) 제자의 주례 교육 문헌 초등교육 교사문화 잡...범주1초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용안 | 사료철명교육월보
주제어사전(25)
-
주례 / 周禮 [종교·철학/유학]
유교의 경전 중 하나. <의례>, <예기>와 함께 통상 삼례로 일컬어진다. 주대의 성왕 때 주공단이 저술했다고 전해진다. 이 책은 주대의 관제를 기록한 일종의 행정법전이다. 천, 지, 춘, 하, 추, 동을 상징하여 관제를 세우고 천관, 지관 등과 같이 끝에 관자가 붙은
-
향례삼선 / 鄕禮三選 [사회/가족]
1888년 민영준이 향음주례·향사례 및 향약에 관해 1888년에 간행한 의례서.항례기록문서. 1책. 고활자본. 편자가 평양부윤으로 있을 당시 편자의 7대조 민유중(閔維重)이 관서지방의 감사로 재직중 『소학』·『오례의 五禮儀』·『가례 家禮』 등을 간행하여 교화에 힘써
-
선비화경휘덕숙빈최씨제문 / 先妣和敬徽德淑嬪崔氏祭文 [역사/조선시대사]
숙빈최씨 제문. 1756년(영조 32) 1월 1일, 영조가 숙빈최씨에게 '휘덕(徽德)'이란 시호를 가상하고 죽책(竹冊)과 은인(銀印)을 올리기 위해 지은 제문이다. 주례(周禮)에 근거하여 '선비(先妣)'라는 칭호를 사용할 것을 고하였다.
-
삼례분휘 / 三禮分彙 [사회/가족]
중국의 고전인 삼례, 즉 『주례(周禮)』·『의례(儀禮)』·『예기(禮記)』의 내용을 항목별로 분류하여 모은 책. 1권 1책. 사본. 내용은 사람이 처신해야 할 도덕과 국가생활·사회생활·가정생활에서 지켜야 할 예의절차를 모았다. 예(禮)의 원초적인 뜻을 아는 데 도움이
-
계례 / 筓禮 [사회/가족]
도 여자가 15세가 되면 계례를 행한다고 하였다. 계례에는 어머니가 중심이 되고, 친척 중에서 어질고 예법을 아는 부인을 주례로 삼아 사흘 전에 청한다. 당일이 되면 날이 밝는 대로 의복을 준비하고 차례대로 서서 기다리고 있다가, 주례가 도착하면 주부가 나아가 맞아들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