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주금” 에 대한 검색결과 1,87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64)

사전(319)

  • TD_I9_S_0061 언어 堂, 衣繡夜行, 故鄕, 衣錦晝游, 白日衣繡, 晝繡堂 建武二年 魏, 江夏 韓魏公, 項羽, 景丹, 櫟陽侯, 唐中宗, 魏元忠, 張允, 太祖, 張遼, 汪丞相 東觀漢紀, 風俗通 S_28_01_54 성호사설 ...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28권 1장 5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E3_S_0022 법률 國之貧富, 穀, 酒池, 糟堤, 天地山川之祭 舜禹以前 京師, 大都, 鄕邑, 國家 禹, 劉先主 酒誥, 少牢饋食 S_16_01_18 성호사설 16권 1장 18절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16권 1장 1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의 유외(流外: 品外) 서리직(胥吏職). [내용] 관제에 의하면 태의감(太醫監)에 속하며 정원은 2인이다. ‘’이란 주술로써 악기(惡氣)를 막는다는 뜻으로, 명칭에서 보듯이 의료에 종사하는 기술관이었다. 그 뒤의 연혁은 분명하...
  • 박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의 의료담당 전문관직. [내용] 태의감(太醫監)에 소속되었으며, 정원은 1인이고, 품계는 종9품이었다. 국가로부터 10석(石)을 녹봉으로 받았다. 『고려사(高麗史)』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전의시(典醫寺)의 관직. [내용] 주문(呪文)을 읽어 질병을 물리치는 것을 담당하였다. 문종정제(文宗定制)에 정원은 2인(박사 1인, 공 2인 병치)으로 되어 있다. 998년(목종 1) 12월에 정한 전시과(田柴科)에 전...

단행본(1)

  • 고문서집성 114 - 제주 진주 강씨, 곡산 강씨, 김해 김씨, 경주 김씨, 제주 고씨, 동래 정씨 고문서 [한국고문서 조사, 연구 및 보존처리 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김학수(연구책임자), 김소희, 조미은, 노인환, 조광현, 조정곤, 조창은...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5.09.10.
    분야언론‧출판 | 유형단행본
    書 濟州 納邑 金海金氏 金龍徵 後孫家 古文書 濟州 金海金氏 金熙冑 後孫家 古文書 濟州 慶氏 門中會 古文書 濟州 濟州高氏 宗親會 古文書 濟州 東萊鄭氏 鄭希賢 後孫家 古文書

고서·고문서(1,334)

  •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
    문화‧생활 작품 조선 燕巖集 卷之三 潘南朴趾源美齋著 孔雀舘文稿○策 策 先人文字多散佚. 如「伯夷論」等篇, 從人家古紙中得之. 今尙有有目無文者十數種, 未可期其一一蒐棄, 而若「策」三編, 輩行長老, 多有誦道其句語者, 可知其流傳不泯矣. 謹空其卷以俟他日書塡, 或冀...
    대표표제어酒禁策 | 목차孔雀舘文稿○策
  • 蠻布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610 與猶堂全書補遺○眞珠船 ITKC_MP_0597A_1610_000_1230 蠻布囊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眞珠船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詩文門1_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韓 魏公作堂, 說者謂出於項羽. 然羽只道如“衣繡夜行”, 未嘗言“錦”也. 按, 《東觀漢紀》: “建武二年, 封景丹爲櫟陽侯, 上謂曰‘富貴不歸故鄕, 如衣錦夜行, 故以封卿’”, 猶未及“”之名. 唐 中宗送魏元忠云“衣錦晝游, 在乎玆日”, 魏公之事, 蓋祖此. 項羽“衣繡”...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八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人事門10_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國之貧富, 繫於民食, 民食者, 穀也. 生穀爲主, 而不禁其害穀, 亦徒爲耳. 害穀之甚者, 莫如酒, 酒是必禁之物. 舜、禹以前, 無酒而天下治, 非難曉也. 禁非一切, 則法終不行壹, 怪夫聖人之爲法疏而不密也. 禹旣知必有亡國, 則何不於於: 동양문고본에는 ‘爲’로 되어 있다.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六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5013 중국 금석문 총서 만석지 001 기타 滿石誌5 城隍廟記 城隍廟記 東營杜克中撰[幷書] 世之有生則能恩信一方 歿則能血食千祀 此古昔之忠良也 故朱邑之 廟于桐鄕 柳宗元之廟于羅池 時人謂子孫承祀之不如 盖平素之恩信 及民 民之不能忘也...
    국가중국 | 서명만주금석지 | 왕대기타  

구술자료(19)

  • 경순왕과 이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만강 근처 유금이들의 유래를 물으니, 이 사람 저 사람 한 마디씩 하다가, 이승안이 이야기를 처음부터 했다. 그런데 ?유금이들?은 아니고 ?주금이 들?이라고 했다. *
    조사일시1979-02-24 | 조사장소경상북도 월성군 현곡면 가정1리 | 제보자이승안
  • 북청곡 음반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촌 전갑섬 여재성 조신일 동선본 고장욱 고장옥 이정열 김수석 이근화선 김어금 박양숙 유성숙 선 미상 미상 24:09 00:00 녹음목록 A면 애원성 돈돌라리 삼삼이 양촌전촌전갑섬
    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여재성
  • 북청곡 음반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촌 전갑섬 여재성 조신일 동선본 고장욱 고장옥 이정열 김수석 이근화선 김어금 박양숙 유성숙 선 미상 미상 24:09 00:00 녹음목록 A면 애원성 돈돌라리 삼삼이 양촌전촌전갑섬
    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조신일
  • 북청곡 음반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촌 전갑섬 여재성 조신일 동선본 고장욱 고장옥 이정열 김수석 이근화선 김어금 박양숙 유성숙 선 미상 미상 24:09 00:00 녹음목록 A면 애원성 돈돌라리 삼삼이 양촌전촌전갑섬
    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동선본
  • 북청곡 음반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촌 전갑섬 여재성 조신일 동선본 고장욱 고장옥 이정열 김수석 이근화선 김어금 박양숙 유성숙 선 미상 미상 24:09 00:00 녹음목록 A면 애원성 돈돌라리 삼삼이 양촌전촌전갑섬
    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고장욱

신문·잡지(140)

  • 勒募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지금탁지부에 셜시 농공은자본금을 한고에오십환식야 삼쳔고를모집되 한번에 오원식열번에 거시라 졍부대소 관리들에계도 몃쥬식복뎡야 아모리간구관인이라도 한두고식 안이자듬을고슈원관찰부에도긔별야일쳔오쥬를 모집야 보라 얏스 관찰부에셔 다슈고금을 모...
    게재일1906년 5월 31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무 리용익씨가 쥬에 금단 방침을 엄립엿데 발령기를 쥬젼과 긔계 착득로 죵로 대도상에다 소화다 엿다더라
    게재일1902년 5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錫(裕生商會) 서울 錫 裕生商會 鍾路 3-97 포백류 - 포목(布木) 소매 132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朱金錫(裕生商會) | 지역서울 | 품목포백류 | 영업종목포목(布木)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조선출판경찰월보 003호 구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03호 구초 구초(歐洲吟草) 미기재 박영철(朴榮喆) 경성(京城) 조선_1928년 11월 1일 삭제 치안 한문 구초 1. 파란(波蘭)[폴란드] 부흥국(復興國...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03호 구주금초 | 출판물명구주금초(歐洲吟草)
  • 株式會社漢城農工銀行苐一回納入廣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本銀行株式을請入신各位는左記各項에依야苐一回을納入심을希望홈 一 納入金額 各位請入株數에應야一株에對야金五圜의 計評內金貳圜은已納保証金으로振替터이니壹株에 殘金參圜의 計評으로追納事 一 納入期限 本月二十八日(陰閏四月六日)노限홈 一 納入處소 度支部內本銀行設立事務所...
    게재일1906년 5월 26일 | 기사분류광고

연구결과보고서(1)

기타자료(50)

  • 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6071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7 73면 1. 제7. 생도 (1936년 10월 1일 현재);4)상과 제3학년 식;植 (원적)함남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용;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9918 남한 경성 연희전문학교 1-36 연희전문학교일람 1940 84면 1. 3. 각 과별 졸업생;16) 제16회 졸업생 (1934년 3월 졸업);(2) 상과 용;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연희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용;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9000 남한 경성 연희전문학교 1-36 연희전문학교일람 1939 80면 1. 3. 각 과별 졸업생;16) 제16회 졸업생 (1934년 3월 졸업);(2) 상과 용;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연희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남;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9057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회원명부 1939―12―20 67면 (학과)본과신제도 남;南 함경남도 함흥부 본정 3-229 10회 1932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경;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0970 남한 경북 대구신명여학교 2-18 信明제1호 1934―03―20 70면 경;卿 대구부 서성정 2정목 10;경성부 황금정 식산은행 사택 10회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신명여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11)

  • / [경제·산업/경제]

    영리를 목적으로 사업에 투자하는 돈. 주식이라고 할 때는 두 가지의 의미가 있다. 첫째, 주식은 자본의 구성부분이다. 즉, 주식회사의 자본은 비율적 단위로 세분화되는데 이것을 주식이라 한다. 둘째, 주식의 성질에 관한 통설인 사원권설(社員權說)에 따르면 주식은 회사에

  • 성관 / 羅城館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나주시에 있는 조선전기 나주목사 이유인이 건립한 관청.시도유형문화재. 정면 5칸, 측면 4칸의 겹처마 팔작지붕건물. 보물 제2037호. 이 건물은 조선 초기 목사 이유인(李有仁)이 건립한 것으로, 1603년(선조 36)에 크게 중수하였고, 1884년(고종 21

  • 석리유적 / 黃石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황해도 황주군 금석리에 있는 초기철기시대의 덧널무덤[木槨墓] 유적. 출토된 유물은 청동기로 세형동검(細形銅劍) 1점, 쇠뇌[弩機] 1점, 을자모양동기[乙字形銅器] 1쌍, 삿갓모양동기[笠頭筒形銅器] 1쌍, 삿갓모양원통[笠頭形圓筒] 1점, 양산대끝[蓋弓帽] 1점, 고삐끼우

  • 상주김준신의사제단비 / 尙俊臣義士祭壇碑 [역사/조선시대사]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 판곡리에 있는 1800년대에 제작된 김준신 의사의 제단비. 경상북도 기념물 제113호. 김준신의 행적은 <선조실록>과 <선무원종공신녹권(宣武原從功臣錄券)>에는 누락되었다가, 영정조 때 상주 사림의 건의로 충의단을 세워 당시 순절 장사들을 봉향할

  • 국창선조비영인광주김씨일고 / 菊窓先祖妣令人光氏逸稿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이찬(李燦)의 부인인 광주김씨의 시집. 목활자집. 권두에 이만인(李晩寅)의 서문과 권말에 황난선(黃蘭善)의 발문이 있다. 「기사제사간자준(寄舍弟司諫子峻)」 외 시 43수, 부록으로 차운시 11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기원(寄遠)」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