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주교지남” 에 대한 검색결과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원하는데 대한 행정적인 측면의 두 가지 내용으로 되어 있다. 부록은 이전에 비변사에서 올렸던 절목에 대해 정조가 그 장단점을 낱낱이 논증해 분명하고 구체적인 법제를 마련하도록 한 내용이다. 이상을 내용으로 하는 원래의 ≪≫은 정조의 문집인 ≪홍재전서 弘齋...
  • 주교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때 왕은 친히 『()』을 제정해 그 운영에 불편이 없도록 했다. 주교사의 관원은 도제조 3인, 제조 6인, 낭청 3인을 두었는데, 대개 준천사의 관원이 겸임하였다. 국왕이 강을 건널 때는 유도장신(留都將臣) 중에서 주사대장(舟師大將)을 임명하였다....
  • 주교(舟橋)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른 면이 많았다. 이에 정조가 주교를 만드는 세부 사항인 『()』을 직접 만들어 이것으로 배다리를 만들도록 하였다. 『』에서 확인할 수 있는 첫 번째 배다리는 1790년 12월에 만들어졌다. 여러 지형상의 이점을 고려해 배다리가 설치된 곳은...
    상위어교량(橋梁) | 동의어배다리 | 관련어거둥[擧動], 경강(京江), 원행(園幸), 의례(儀禮), 한강(漢江), 행차(行次), 행행(行幸), 화성(華城),
  • 주교사(舟橋司)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주교사 주교사 舟橋司 부교(浮橋), 조운(漕運), 준천사(濬川司), (), 감생청(減省廳), 금위영(禁衛營), 농상공부(農商工部), 조세(租稅), 전선(戰船), 교배선(橋排船), 호위선(衛護船), 난간선(欄干船)
    관련어부교(浮橋), 조운(漕運), 준천사(濬川司), 주교지남(舟橋指南), 감생청(減省廳), 금위영(禁衛營), 농상공부(農商工部), 조세(租稅), 전선(戰船), 교배선(橋排船), 호위선(衛護船), 난간선(欄干船)
  • 주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서 지급했다. 국왕의 능행로는 초기에는 삼전도와 한강진이 중시되었으나, 후기에는 광나루와 주교가 설치된 노량진이 중시되었다. 주교를 가설하는 방법은 1790년에 정하여진 ≪ ≫과 1793년에 정하여진 ≪주교사절목≫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주교를...

주제어사전(3)

  • / [언론·출판/언론·방송]

    경성 성결교회 유년주일학교 직원연합회가 1935년 4월 30일에 국한문을 혼용하여 내리 편집하여 발행한 기독교 종교교육 전문 계간지. 주일학교의 역사, 조직, 관리, 교수법, 음악, 동와, 헌금 및 주일학교 진흥책, 동요 등의 내용이 담겨져 있다.

  • / [경제·산업]

    위해 비변사와의 논의를 거쳐 주교를 운영하기로 하고 그 주관 관서로 주교사를 설치하였다. 원래의 ≪≫은 정조의 문집인 ≪홍재전서≫의 권159에 수록되어 순조대에 간행되기도 하였다.

  • 주교사 / 舟橋司 [정치·법제/법제·행정]

    1789년(정조 13)에 설치한 준천사의 산하 관서. 선박·교량 및 호남·호서지방의 조운(漕運) 등에 관한 사무를 관할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1789년(정조 13)에는 왕명에 따라 이를 전담하는 상설기구로 주교사를 설치했다. 이 때 왕은 친히 ≪≫을 제정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