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주계서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
사전(6)
- 주계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주계리에 있었던 서원. [내용] 1612년(광해군 4)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구봉령(具鳳齡)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33년(인조 11) ‘주계(周溪)...
- 권춘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원(周溪書院)을 건립하는 데 앞장섰다. 주계서원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진학도(進學圖)』ㆍ『공문언행록(孔門言行錄)』ㆍ『회곡집(晦谷集)』 등이 있다. 『국조방목(國朝榜目)』 『국조인물고(國朝人物...이칭별칭 언회(彦晦)| 회곡(晦谷)
- 김도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였고, 주계서원(周溪書院)ㆍ용계서원(龍溪書院) 등에서 학규 14조를 작성하여 후학들을 양성하였으며, 「남전여씨향약(藍田呂氏鄕約)」을 모방하여 동약(洞約)을 만들어 마을의 기강을 바로 세움과 아울러 풍속을 바로잡는 데 전념하였다. 저서로는 『외암문집』 4권이 있다.이칭별칭 순백(純伯)| 외암(畏庵)
- 권춘란(權春蘭)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또 그는 스승 구봉령의 유문(遺文)을 교정하여 완성된 원고를 만들고, 구봉령을 모시는 주계서원(周溪書院)을 건립하는 데 앞장섰다. 저서로는 『진학도(進學圖)』 · 『공문언행록(孔門言行錄)』 · 『회곡집(晦谷集)』 등이 있다. [묘소와 비문] 묘소는 경상도 안...
- 구봉령(具鳳齡)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제향] 시호는 문단(文端)이다. 묘소는 경상도 안동 미도(味道)의 산기슭에 있는데, 그의 손서(孫壻) 이준(李埈)이 지은 묘갈명(墓碣銘)이 남아있다. 사후에 안동의 주계서원(周溪書院)과 서울의 용산서원(龍山書院)에 제향되었다. [관력, 행적] ...
고서·고문서(11)
- 주계서원(周溪書院) 통문(通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안동 갈전 순흥안씨
- 兼營使가 周溪書院에게 보낸 관문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4073 2462_01 兼營使가 周溪書院에게 보낸 관문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구봉령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관문 한자 고문서 KBR018.JPG 兼營使가 周溪書院에게 보낸 관문 관문 兼營使 周溪書院 甲子...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兼營使가 周溪書院에게 보낸 관문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4074 2462_02 兼營使가 周溪書院에게 보낸 관문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구봉령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관문 한자 고문서 KBR018-1.JPG 구봉령 종가 한국국학진흥원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兼營使가 周溪書院에게 보낸 관문 03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4075 2462_03 兼營使가 周溪書院에게 보낸 관문 03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구봉령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관문 한자 고문서 KBR018-2.JPG 구봉령 종가 한국국학진흥원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具應魯를 周溪書院 都有司로 임명하는 망기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4253 2567_01 具應魯를 周溪書院 都有司로 임명하는 망기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구봉령 종가, 사회관계, 공동체생활, 증빙류, 망기 한자 고문서 KBR124.JPG 具應魯를 周溪書院 都有司로 임명하는 망기 망기 周...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주제어사전(2)
-
주계서원 / 周溪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주계리에 있었던 서원. 1612년(광해군 4)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구봉령(具鳳齡)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33년(인조 11) ‘주계(周溪)’라 사액되었으며, 그 뒤 권춘란(權春蘭)을 추가배향하였다. 선현배향과
-
김도명 / 金道明 [종교·철학/유학]
간행하였다. 주계서원·용계서원 등에서 학규 14조를 작성하여 후학들을 양성하였다. 저서로는《외암문집》 4권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