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좌참찬” 에 대한 검색결과 77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36)

사전(51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에서 비롯되었다. 의 명칭은 의정부 성립 때의 문하시랑찬성사를 계승한 동판(의정)부사(同判府事)가 1414년 좌‧우참찬으로 분립, 개칭되면서 일시 나타나기도 하였다. 그러나 명실상부하게 정착된 것은 1437년(세종 19) 10월 이후부...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정부에 속한 정이품 문관직
    정의의정부에 속한 정이품 문관직 | 문광부표기Jwachamchan | MR표기Chwach’amch’a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자헌대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문신 정2품 하계의 품계명. [내용]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文散階)의 품계인 정헌대부‧자헌대부가 제정되어 그대로 수록되었다. 정2품에 해당하는 관직으로는 군‧위‧‧우참찬‧지사‧판서‧판윤‧대...
  • TD_L14_D_3942 鄭甲孫 인물 判書, 登第, 忠廉, 慷慨, 立朝, 奇節, 大憲, 朝廷, 獨擊鶻, 東萊 仁仲, 欽之, 我太宗, 貞節 D_17_02_27 대동운부군옥 17권 2장 27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2장 2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4086 成任 인물 登第, 寬厚, 博雅, 善書, 能詩, 晩唐體, 昌寧 重卿, 安齋, 恭惠公, 念祖, 我英廟, 文安, 世明 D_17_05_05 대동운부군옥 17권 5장 5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5장 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222)

  • 栗谷先生全書 卷之十七 神道碑銘 16 (趙公)神道碑銘 17_071_017.jpg (趙公)神道碑銘 公諱彦秀, 字伯高 伯高: 초1‧초국2‧중규1‧중공2에는 공란으로 비워져 있음., 漢山人。 遠祖諱岑, 仕麗朝, 官至判中樞院事。 判樞之曾孫曰文剛公諱末生, 大爲英...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72795 B072795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24年 6月 23日_007 ○閔鎭長請對入侍。 入侍時, 東萊府使朴權拿問事, 榻前下敎。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526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526년(중종21) 손중돈(孫仲暾: 1463~1529)을 의정부(議政府)()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의정부는 조정의 모든 관리들을 통솔하고 정치와 행정을 총괄하던 조선시대 최고의 행정기관이었다. 조선초기에는 왕권이 강화되어 육조(六曹)...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경주 양동 경주손씨 서백당
  • 16872 B016872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正祖實錄 元年(1777) 六月 정조실록_10106025_003 ○以尹東暹爲議政府, 洪樂純爲平安道觀察使, 金鍾秀爲京畿觀察使, 李福源爲江華府留守。
    출처전거正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8323 B018323 거제현령 巨濟縣令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2年 3月 3日_022 ○以李正英爲刑曹判書, 睦來善爲, 鄭之虎爲大司諫, 柳命賢爲副應敎, 安如石爲獻納, 姜碩賓爲副修撰, 李煦爲司諫, 兪夏謙爲注書, 許爲載寧郡守, 張羽瀛爲巨濟縣令, 安㙫爲丹城縣監,...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36)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정부의 정2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1400년(정종 2) 도평의사사가 의정부로 개편될 때의 참찬문하부사에서 비롯되었다. 1414년의 은 1433년에 종1품의 찬성으로, 1437년에는 좌·우찬성으로 개칭, 1414년의 우참찬이 얼마 뒤 좌·우참찬으

  • 김유경 / 金有慶 [종교·철학/유학]

    1669(현종 10)∼1748(영조 24).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자진, 아버지는 진사 두징, 어머니는 윤필은의 딸이다. 1710년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정언, 대사간, 대사헌, 형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 민우수 / 閔遇洙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694∼1756). 문충공 민진후의 아들이다. 봉릉참봉·세자세마·명릉참봉 등을 거쳐 사헌부대사헌·성균관좨주·세자찬선·원손보양관 등을 역임하였다. 사후 자헌대부 에 증직되었다. 저서로는《정암집》이 있다.

  • 이격 / 李格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무신(1748∼1803). 아버지는 부만이다. 1769년(영조 45)에 무과에 급제하여 병마절도사·도총부총관 등을 역임했다. 홍국영과의 갈등으로 남양에 유배되었다. 아들 이현직이 어영대장에 오르자 에 추증되었다.

  • 이성규 / 李聖圭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32∼1799). 이공 5대손, 1753년(영조 29) 정시문과에 급제하였다. 이후 예문관검열·사헌부지평·이조정랑을 거쳐 홍문관에 들어갔으며, 대사헌을 여러 차례 역임하고 에 이르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