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좌찬성” 에 대한 검색결과 76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40)

사전(58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는 참찬으로 계승), 1415년 1월 찬성으로 각각 계승, 변천되었다. 한편, 1437년에는 의정부서사제(議政府署事制)의 부활로 의정부 기능이 강화되었다. 이에 따라 의정부 소속 관직이 조정되어 찬성 1인이 2인으로 증가되고, 곧 이어 찬성 2인이 각각 ‧우찬성으...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의정부의 종1품 관직.
    정의조선시대 의정부의 종1품 관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jwachanseong | MR표기chwach’ans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안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정 유순(柳洵)ㆍ이손(李蓀) 등과 교우가 깊었다. 그의 필적으로는 광주의 「밀성군침비(密城君琛碑)」ㆍ「한계희비(韓繼禧碑)」와 시흥의 「월성군이철견비(月城君李鐵堅碑)」가 있다. 시호는 공평(恭平)이다. 『중종실록(中宗實錄)...
    이칭별칭 자진(子珍)| 죽창(竹窓), 죽제(竹齊)| 공평(恭平)
  • 이상의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옥동 이서의 증조부로, 별호는 소릉(少陵)이다. 의정부을 지내고, 영의정에 추증된다. 익헌공(翼献公) 시호를 받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TD_L14_D_3430 申浚 인물 佐理靖國功, 高靈 彥施, 叔舟, 我成宗, 昭安 D_15_02_50 대동운부군옥 15권 2장 50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5권 2장 5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152)

  • 栗谷先生全書 卷之十八 墓誌銘 21 (吳公)墓誌銘 18_125_024.jpg (吳公)墓誌銘 萬曆壬午三月九日丁卯, 錦陽君吳公, 卒于羅州廣山之第。 訃聞, 輟朝, 致弔祭賻。 越三月仲夏十五日壬申, 禮葬于涌 涌: 초1‧초국2‧중규1‧중공2에는 “湧”....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안공단비명(安公壇碑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전기-묘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묘문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3818 B003818 강도 江都 정치행정 大東地誌 권1 경기도 江華府 祠院 ... 安東人官禁府都事贈謚忠烈金益兼字汝南光州人進士贈領議政光源府院君謚忠正○右二賢丁丑殉節于本府黃一皓字翼就號芝所昌原人 仁祖辛巳爲淸人所殺官義州府尹贈謚忠烈沈誢字士和靑松人丁丑殉節本府官敦寧都正...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18419 B640269 임진 臨津 군사교통 燕山君日記 十一年(1505) 六月 연산군일기_11106021_006 ○李季仝, 京畿觀察使宋軼, 圖上禁標地界, 東至龍津, 南至龍仁, 北至大灘, 西至臨津, 距京各百里。
    출처전거燕山君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545년 이언적(李彦迪) 유지(有旨)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545년(인종1년) 인종(仁宗)(1515~1545)이 이언적(李彦迪: 1491~1553)에게 내린 명령문이다. 이언적은 이해 윤(閏) 정월 초6일에 ()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병이 나아지지 않아 여전히 관직을 맡을 수 없다는 사직의
    내용분류국왕/왕실-교령-유지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유지 | 현소장처경주 옥산 여주이씨 독락당‧치암 종택‧장산서원

주제어사전(28)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정부의 종1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1400년(정종 2) 4월 도평의사사가 의정부로 개편될 때의 문하시랑찬성사에서 비롯되었다. 1401년(태종 1) 의정부찬성사, 1414년 4월 동판부사, 같은 해 6월 좌참찬·우참찬, 1415년 1월 찬성으로 각각 계

  • 권모 / 權謩 [종교·철학/유학]

    1690년(숙종 16)∼1751년(영조 27). 조선 후기 유학자. 행 의정부 권벌 후손으로, 증조는 권석충, 조부는 권유, 부친은 권두경이다. 고재 이만 등과 교유하였다. 저서로 《낭간헌집》이 있다.

  • 구용 / 具容 [종교·철학/유학]

    1569(선조 2)∼1601(선조 34).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을 지내고 능안부원군에 추봉된 구사맹, 어머니는 평산신씨 증영의정 화국의 딸이다. 사승관계는 미상이다. 1590년 생원시에 합격, 1598년 김화현감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죽창유고』2

  • 구인후 / 具仁垕 [종교·철학/유학]

    1578(선조 11)∼1658(효종 9). 조선 중기의 무신. 증조는 능성군 구순, 할아버지는 구사맹, 아버지는 대사성 구성, 어머니는 별좌 정억령의 딸이다. 뒤에 구홍에게 입양되었다. 인조의 외종형이다. 김장생의 문인이다. 선전관, 고원군수, 갑산부사, 비변

  • 김학성 / 金學性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07∼1875). 종정 증손, 할아버지는 명연, 아버지는 참판 동헌, 어머니는 이의곤의 딸이다. 철종 즉위 후는 중용되어 여러 요직을 거쳤다. 흥선대원군 집권 시에도 계속 중용되어 규장각제학·예문관제학·홍문관제학· 등을 역임하였다. 예조판